본문 바로가기
셀트리온은 지난 10일(현지 시간) 캐나다 보건당국(Health Canada)으로부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램시마'가 염증성장질환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추가 적응증을 승인받았다고 13일 밝혔다. 지난 2012년 국내 허가를 받은 램시마는 존슨앤드존슨가 판매 중인 '인플릭시맵' 성분의 류마티스관절염치료제 ‘레미케이드’의 첫 바이오시밀러 제품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2014년 캐나다 보건복지부로부터 램시마를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성 관절염, 건선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6월 염증성장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오리지널 의약품을 처방받는 환자가 중도에 약을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약)로 바꿔도 효과가 유지된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기존에는 오리지널 의약품 처방 환자와 바이오시밀러 처방 환자간 효능ㆍ안전성이 동등하다는 연구만이 진행됐다. 9일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8일(현지시간)부터 11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는 2016 유럽 류마티스학회(EULAR)에서 바이오시밀러 3개 제품의 스위칭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스위칭 임상시험은 오리지널 약품을 투여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일정한 시점에 바이오시밀러로 전환하
메디포스트는 8일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관련 기술에 관해 미국에서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허의 명칭은 ‘인간 제대혈 유래 간엽 줄기세포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전구세포 또는 신경줄기세포의 신경세포로의 분화 및 증식 유도용 조성물’이다. 메디포스트는 현재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뉴로스템(NEUROSTEM)’에 이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 특허 기술은 손상된 뇌 신경세포의 재생을 유도하는 기능이 뛰어난 줄기세포를 선별하는 등 ‘뉴로스템’의 역가를 탐색하는 데 사용된다. ‘뉴로스템’은
국내 바이오기업 에이프로젠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일본 니찌이꼬제약과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GS071'의 미국 임상3상 시험을 승인했다고 8일 밝혔다. 레미케이드는 얀센이 개발한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로 특허가 대부분의 국가에서 만료됐다. 이 때문에 에이프로젠 등 여러 바이오기업에서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고 있다. 가교 임상시험의 임상시험 대행기관(CRO)은 미국 인벤티브가 맡았다. 성공적 일본 임상3상 결과를 고려해 미국 FDA가 이례적으로 추가 자료 요청 없이 신속하게 미국 임상 시험을 승인했다고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이 글로벌 제약사인 MSD와 항암제 개발 연구를 대상으로 한 ‘빅파마 공동 연구개발 프로그램(Joint R&D Program)’을 시작한다.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은 지난 7일 '2016 BIO International Convention'이 열리고 있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메리어트 마르퀴이스에서 글로벌 제약사인 MSD와 ‘공동 연구개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MSD는 미국 뉴저지에 본사를 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현재 140개 국 이상에 전문의약품, 백신,
HLB 엘레바, 'FGFR2 저해제' 왜 인수? 확장성은?
오스코텍, 제노스코 완전 자회사 추진.."정관변경"
에이비엘, "이번엔" 릴리에 'BBB 플랫폼' 26억弗 L/O
지놈앤컴퍼니, ‘마이크로바이옴’ 위암 2상 “최종 결과”
광동제약, 경영총괄 사장에 박상영 부사장 승진
알테오젠, 3Q 누적 매출액 1514억·영업익 873억
씨어스, 3분기 매출 157억·영업이익 67억 "역대최대"
FNCT, 新타깃 ‘CSF3 항체’ IPF 전임상 “논문 게재”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일동제약 임원 인사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갤럭스, 이수앱지스와 '신약개발 공동연구' MOU
에이비엘, 릴리와 220억 전략적 지분투자 계약
HLB그룹, 英LMR에 1.45억弗 BW·EB 발행 “완료”
GC녹십자, ‘수두백신 2회접종’ 베트남 3상 “IND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