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압타머사이언스(Aptamer sciences)는 22일 퇴행성 치료제 개발회사 뉴라메디(Neuramedy)와 뇌혈관장벽(BBB) 셔틀 압타머를 적용한 항체기반 파킨슨병 치료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양사는 지난 2020년 파킨슨병 치료제 및 진단제품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그동안의 공동연구를 바탕으로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을 위해 본 계약을 체결했다. 양측은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압타머-항체 복합체 후보물질을 개발할 계획이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결과물은 양사가
중추신경계(CNS) 및 희귀질환 전문 신약 개발기업 바이오팜솔루션즈는 22일 preIPO로 750억원 규모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하나금융투자, 하나캐피탈, 신한캐피탈, IBK캐피탈, 산은캐피탈, 하나저축은행 등이 참여했다. 바이오팜솔루션즈는 유치한 자금을 이용해 연구 중인 파이프라인의 임상개발을 확대하고 개발을 가속화 할 계획이다. 바이오팜솔루션즈는 자체개발한 뇌전증 치료제 후보물질 ‘JBPOS0101’의 소아연축(Infantile Spasms) 미국 임상 2a상를 완료했으며, 중첩성뇌전증(status e
암진단·신약개발 기업인 씨티셀즈(CTCELLS)가 시리즈A 브릿지 투자로 130억원 유치를 마무리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해 4월 시리즈A로 50억원의 유치한지 1년만의 후속투자다. 이번 라운드에는 신규 기관으로 인터베스트와 미래에셋캐피탈이 참여했으며, 기존 투자자인 LSK인베스트먼트, 인라이트벤처스, UTC인베스트먼트, SK바이오사이언스 등도 후속투자에 참여했다. 씨티셀즈는 이번 투자금을 설비 투자, 신규 인력 채용에 투입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상황에 대해서는 내년 상반기까지 세포치료제와 단백질치료제 프로그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최근 태국의 밀로트 래버러토리스(Milott Laboratories)와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초도물량 60만여 회분에 대한 선적 및 발송을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밀로트는 태국의 화장품 및 헬스케어 분야 OEM/ODM(주문자 상표 부착생산/제조자 개발생산) 전문회사다. 이번 수출 품목은 일동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한 프로바이오틱스 원료 및 반제품이며, 밀로트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등의 상품으로 허가를 거쳐 태국 현지에 유통될 예정이다. 회사측은 향후 수출원료의 균종과 제형을 다양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사노피(Sanofi)로부터 파킨슨병 등 퇴행성뇌질환 치료 이중항체 후보물질 'ABL301(αSynxIGF-1R)'에 대한 라이선스아웃(L/O) 계약금 7500만달러(약 910억원)를 수령 완료했다고 22일 밝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 1월 사노피와 계약금 7500만달러 및 단기 기술료(마일스톤) 4500만달러를 포함한 총 10억6000만달러 규모의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사노피는 2월 25일(현지시간) 미국 반독점개선법(HSR) 등의 행정절차 승인 후
SK바이오사이언스는 21일 자체 개발 및 생산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BP510’의 2000억원 규모로 정부와 선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계약 상대방은 대한민국 질병관리청으로 계약금액은 2000억원이다. 이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최근 매출액 대비 88.65%에 달하는 규모다. 이번 계약은 올해 12월말 또는 계약 당사자간 별도 합의해 연장한 기간 내에 GBP510의 한국 인허가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해지될 수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현재 임상 3상 데이터를 분석 중으로 올해 상반기 중 GBP510
아펠리스(Apellis)는 지난 16일(현지시간) C3 저해제 ‘엠파벨리(Empaveli, pegcetacoplan)’로 진행한 2개(OAKS, DERBY)의 지도모양위축증(geographic atrophy, GA) 3상 18개월간 장기 추적분석에서 GA병변면적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킨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했다. 아펠리스는 이번 데이터를 포함한 신약허가신청서(NDA)를 올해 2분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할 예정이다. 만약 엠파벨리가 승인받게 되면 GA로는 첫 약물이 된다. GA는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이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AI 바이오마커 ‘루닛스코프 IO(Lunit SCOPE IO)’를 이용해 면역항암제의 약물 반응을 예측한 연구결과를 종양학 최고권위지인 JCO(Journal of Clinical Oncology, IF: 44.54)에 게재했다고 21일 밝혔다. Lunit SCOPE IO는 암조직내 종양침투림프구(tumor-infiltrating lymphocyte, TIL)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AI 바이오마커로, 이번 JCO 논문에서는 기존의 PD-L1 바이오마커가 가진
파멥신은(PharmAbcine) 지난 18일 mRNA 플랫폼 기업 알엔에이진(RNAGENE)과 mRNA 항암 및 면역치료제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양사는 파멥신의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를 통해 발굴된 유효물질을 알엔에이진의 mRNA 신약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mRNA 항암제와 면역치료제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파멥신은 1천억개 이상의 다양한 항체를 보유한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 ‘HuPhage’를 보유하고 있으며 알엔에이진은 mRNA 약물전달시스템인 mRNA-LNP 플랫
셀러스(Cellus)는 호주 퀸즐랜드(Queensland)에 현지법인 'Cellus Austailia PTY LTD'를 설립하고 본격적인 전임상 개발에 나섰다고 21일 밝혔다. 셀러스는 지난해 10월 호주법인을 설립했다. 셀러스는 호주법인을 통해 대사항암제 후보물질 ‘CLS-A1’의 동물 독성평가 및 글로벌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호주법인을 통해 호주 정부에서 제공하는 R&D 세금우대 혜택으로 개발비용을 절감하고 호주 소재 글로벌 CDMO를 통해 동물 독성평가, 임상시료 생산을 진행한다는 전략이다. CDMO의 생산 네트워크를 활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종양미세환경(TME) 특이적으로 T세포를 활성화하는 4-1BB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T(Grabody-T)’ 기반 신규 T세포 인게이저(T cell engager) 데이터를 추가 공개한다. 난소암과 삼중음성유방암(TNBC) 등 고형암을 타깃하는 ‘first-in-class’ B7-H4x4-1BB 이중항체 ‘ABL103’으로, 내년 하반기 미국 임상시험계획서(IND) 제출을 앞두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내달 8일부터(현지시간) 열리는 미국 암 연구학회(AACR)에서 ABL103의 전임상 데이터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의 대주주인 삼성물산과 삼성전자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2조원을 투입한다. 삼성물산은 지난 18일 공시를 통해 계열회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1조2168억원을 출자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삼성물산은 삼바 주식 190만4239주를 취득하게 된다. 취득후 삼성물산의 삼바 지분은 43.06%다. 삼성물산은 이번 유상증자 참여목적을 “중장기 성장동력인 바이오사업 투자를 확대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16일 삼성바이오로직스에 8
알테오젠(Alteogen)이 18일 감사보고서 제출이 지연됐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7조 제1항에 의거해 외부감사인은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서를 정기 주주총회 1주일 전인, 이날까지 회사에 제출해야 하지만 제출하지 못한 상태다. 알테오젠의 주총 예정일은 3월 28일이다. 알테오젠은 2021년 회계연도 감사와 관련, 현재까지 당사 및 종속회사의 전환우선주(CPS) 회계처리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심리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음에 따라 감사보고서의 제출이 지연됐다고 설명했다. 알테오젠은
대웅제약은 18일 경증 및 중등증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DWJ1248(성분명: 카모스타트 메실레이트)'의 국내 임상2/3상을 중단한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임상 2b상에서 코로나에 확진된 대상자 중 고위험군 또는 고령의 환자에게서 증상개선을 확인했으나, 최근 코로나와 관련된 전문가 의견 및 종합적 상황을 고려해 임상중단을 결정했다. 또 오미크론 변이형이 우점종이 되면서 중증 발전비율이 급감했고 코로나19 확진자들이 빠르게 회복됨에 따라 경증 치료제 개발의 의학적 중요성이 낮아졌다고 판단했다. 대웅
대웅제약은 18일 KB바이오메드와 골다공증 치료제인 테리파라타이드(teriparatide)의 합성 펩타이드 또는 재조합 펩타이드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대웅제약과 KB바이오메드는 주사제인 테리파라타이드를 경구용으로 적용하기위한 제형개발 단계부터 전임상 및 임상개발, 상업화 단계까지 협력관계를 유지할 예정이다. KB바이오메드는 경구용 제제 개발 및 초기 전임상을 진행하고, 대웅제약은 제형개발, 제조공정 기술개발, 전임상, 글로벌 임상 및 상업화를 담당한다. 이후 신규 출원한 지적재산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골관절염 치료제 후보물질 '엔게디1000(E1K)’의 임상 2상을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이번 임상 2상은 만 40~70세 이하의 중등증 무릎 골관절염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E1K 단회 투여 후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며 전국 8개 기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E1K는 생체 유래 아미노산 5개로 구성되어 있는 짧은 펩타이드로 통증경감과 연골재생의 작용기전을 가진다. 김해진 엔솔바이오 대표는 “국내에서 골관절염 통증치료제로 임상을 진행해 가능한 빨리 국내 골관절염 환자들을 치료할 수
노바티스, ‘BAFF-R 항체’ 쇼그렌 3상 “최초 성공"
에이비엘, 'DLL4xVEGF' 2/3상 "내년 1Q 판독 연기"
노바티스 "또", 'BAFF-R 항체' ITP 3상도 "성공"
美브릿지 분사 ‘차세대 RAS’, 나스닥 “SPAC 상장”
길리어드, 항암제 'CAR-T' 매출부진 "계속"..경쟁심화
리가켐, 'CEACAM5 ADC' WCLC서 "차별성 공개"
사이톰엑스, ‘마스킹’ EpCAM ADC 1상 “1명 사망”
바이엘도 ‘KRAS G12D’ 합류, 퀌쿼트와 “13억弗 딜”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HLB 엘레바, 브라이언 김 신임 대표 선임
비나이 프라사드, 사임 “10일만에” FDA 복귀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제약, 2Q 매출 1313억..전년比 12.1%↑
대원제약, 상반기 매출 3017억..전년比 1.9%↑
쓰리빌리언, 상반기 매출 46억..전년比 107%↑
SG메디칼, ‘암 오가노이드’ 신약개발 플랫폼 “UKC 발표”
동국생명과학, 상반기 매출 699억..전년比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