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수앱지스(ISU ABXIS)는 26일 미국 항암제 개발기업에 ErbB3 항체 후보물질 ‘바레세타맙(barecetamab, ISU104)’를 총 8550만달러(한화 1185억원) 규모로 전세계 권리를 라이선스아웃(L/O)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상대 기업은 공개하지 않았다. 계약에 따라 이수앱지스는 계약금 300만달러(한화 41억5900만원)에 더해 개발, 허가, 판매 마일스톤 등으로 8250만달러(한화 1143억4100만원) 총 8550만달러를 지급받게 된다. 판매에 따른 로열티는 별도다. 마일스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동아에스티(Dong-A ST)가 연구개발(R&D)이 제약사의 본업이라고 강조하면서, 옛 동아의 R&D DNA를 되살리기 위해 비만 치료제, 대사이상관련지방간염(MASH) 치료제, 항체-약물접합체(ADC) 등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먼저 동아에스티의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를 통해 비만치료제 'DA-1726' 글로벌 임상1상을 진행중이며, 오는 2025년 상반기에 종료할 계획이다. DA-1726은 옥신토모듈린 유사체(oxyntomodulin analogue) 계
다케다(Takeda)가 CD38 항체 후보물질의 면역혈소판감소증(immune thrombocytopenia, ITP) 임상2b상에서 혈소판 반응률(platelet response)을 개선한 결과를 내놨다. 혈소판 반응률은 ITP에서 혈소판 수치를 개선하는 치료효과를 평가하는 지표다. 다케다는 지난달 영업이익률 개선을 위해 파이프라인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가운데 CD38 항체 메자기타맙(mezagitamab, TAK-079)’에 대해서는 중증근무력증 임상2상을 중단하면서도 ITP 임상은 개발 진행을 결정했다. 현재 ITP 치료제로는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오는 7월3일 애널리스트 간담회와 유튜브를 통한 온라인 간담회를 각각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회사의 차세대 이중항체 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개발 전략을 공유하며, 이번달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4)에서 공개된 4-1BBxPD-L1 ‘ABL503(TJ-L14B, Ragistomig)’과 ROR1 ADC ‘ABL202(LCB71, CS5001)’의 임상1상 중간 데이터를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애널리스트 간담회는 여
클래시스(Classys)는 25일 이사회를 열고 이루다(ilooda)를 흡수합병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클래시스는 피합병회사인 이루다와 1: 0.1405237의 비율로 합병한다. 클래시스는 합병법인의 존속법인으로 남고 이루다는 소멸된다. 주주확정 기준일은 7월10일이며, 합병반대의사통지 접수시간은 7월10일부터 7월24일까지다. 합병기일은 10월 1일, 신주상장예정일은 10월22일이다. 백승한 클래시스 대표는 “이번 합병은 세계 최고의 미용의료 플랫폼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적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씨셀(GC Cell)은 다음달 27일부터 29일까지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개최되는 ‘The Liver Week 2024’에 참가한다고 26일 밝혔다. The Liver Week은 대한간학회를 비롯해 총 4개의 국내 연관 학회(한국간담췌외과학회, 대한간암학회, 대한간이식연구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며, 간질환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글로벌 간질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국제학술대회다.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 ’Towards Precision Medicine in Practice and Research o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그동안 오랜기간 쌓아온 ‘글루카곤(glucagon, GCG) 메커니즘’에 대한 차별화된 접근을 기반으로, 비만과 관련 동반질환(comorbidity)에서 GIP/GLP-1 이중작용제 ‘터제파타이드(tirzepatide, 젭바운드)’와의 뚜렷한 경쟁 우위를 확인해 가고 있다. 비만에서 GLP-1 인크레틴(incretin) 약물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비만과 관련된 심혈관·신장·대사질환(CVRM)에서 글루카곤의 이점에 대한 단서가 하나둘 잡히고 있다. 지금까지 GLP-1/GCG 임상
독일 머크(Merck KGaA)가 IAP 저해제인 ‘제비나판트(xevinapant)’의 두경부편평세포암종(SCCHN) 임상3상에 실패하며 개발을 중단한다. 제비나판트는 머크의 핵심 항암제 에셋으로, 머크가 지난 2021년 스위스 디바이오팜(Debiopharm)으로부터 계약금 1억8800만유로(2억2600만달러)를 포함 총 8억9800만유로(10억8000만달러)에 사들인 에셋이다. 디바이오팜은 지난달 국내 지놈앤컴퍼니(Genome & Company)로부터 CD239 항체를 라이선스인(L/I)한 파트너사로도 알려져 있다. 제비나판트는
앨라일람 파마슈티컬(Alnylam Pharmaceuticals)의 트랜스티레틴(TTR) RNAi 약물 ‘암부트라(Amvuttra, vutrisiran)’가 드디어 핵심 심근병증(ATTR-CM) 적응증에서 사망과 심혈관사건 위험을 낮추는데 성공한 임상3상 결과를 내놨다. 앨라일람은 이전 회사의 1세대 TTR RNAi 약물인 ‘온파트로(Onpattro, patisiran)’로 심근병증에 대한 적응증 확대를 시도했으나 효능 부족으로 인해 결국 약물 승인에 실패한 바 있다. 그러나 앨라일람은 약물의 안정성(stability)과 효능을 높
프로젠(Progen)은 25일 라니 테라퓨틱스(Rani Therapeutics)와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프로젠의 GLP-1/GLP-2 이중작용제 ‘PG-102’에 라니의 경구용 캡슐 기술 ‘라니필(RaniPill™ HC)’을 적용해 주 1회 투여하는 ‘RPG-102/RT-114’를 개발할 계획이다. 계약금이 없는 공동개발 계약으로 프로젠과 라니는 전세계에서 RPG-102/RT-114의 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책임, 개발비용, 수익을 50대 50으로 분배한다. 라니는 미국, 유
HLB는 25일 이사회를 열고 33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CB 발행대상자는 에프앤에프와 박지훈, 김수진, 이동희 등이다. CB의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은 각각 1.0%, 4.0%이며 전환가액은 6만5953원이다. 이날 코스닥 시장에서 HLB의 주가는 7만2800원으로 마감했다. 시가하락에 따른 최저 전환가액은 4만6167원이다. 납입일은 7월16일, 만기일은 2027년 7월16일이다. 전환 청구기간은 2025년 7월16일부터 2027년 6월16일까지다. HLB는 이번 CB 발행을
SG메디칼(SG Medical)은 25일 삼중음성유방암(TNBC)에 대한 비대칭 이중항체 기반의 NK세포 인게이저 개발연구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신약 기반 확충 연구 부문 유효물질단계’ 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SG메디칼은 향후 3년 동안 TNBC에 대한 Trop2xNKp46 타깃 NK세포 인게이저의 선도물질 개발을 위한 지원을 받는다. SG메디칼은 고려대(주관기관), 성신여대 연구팀과 함께 Trop2xNKp46 타깃 NK세포 인게이저를 공동개발하고 있다. SG 메디칼은 정상택 고려대 교수 연구팀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s)은 25일 SGLT-2 저해제 ‘엔블로(Envlo, enavogliflozin, DWP16001)’의 당뇨병성 신장질환에 대한 임상3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대웅제약은 중등증 만성 신장질환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성 신장질환 환자 348명을 대상으로 엔블로와 위약을 투여해 효능과 안전성을 분석한다. 1차종결점은 엔블로 투여후 24주 시점의 당화혈색소(HbA1c) 변화량에 대한 위약 대비 우월성 확인으로 설정했다. 2차종결점은 당화혈색
지씨셀(GC Cell)은 25일 미국 관계사인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가 미국 머크(MSD)와의 CAR-NK 고형암 치료제에 대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해지했다고 공시했다. 아티바와 머크는 지난 2021년 1월 계약금 3000만달러를 포함 총 18억8100만달러 규모에 고형암을 타깃으로 한 3종의 CAR-NK를 공동 연구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해당 머크와의 계약과 관련해, 아티바는 지씨셀과 연구(research) 업무계약을 체결해 지씨셀이 연구 용역을 진행해 왔다. 그러나 3년만에
아젠엑스(argenx)의 피하주사(SC)제형 FcRn 항체 ‘비브가르트 하이트룰로(VYVGART Hytrulo)’가 희귀 자가면역성 신경질환(CIDP)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으며 적응증 확대에 성공했다. 비브가르트 하이트룰로는 지난해 6월 중증근무력증(gMG)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으며 첫 SC제형 FcRn(neonatal Fc receptor) 항체로 시장에 나왔으며, 이번에 만성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신경병증(CIDP)으로까지 적응증을 확대하게 됐다. 비브가르트 하이트룰로는 지난해말 면역혈소판감
비만약의 라벨확대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일라이릴리(Eli Lilly)가 GLP-1/GIP 기반 비만약 ‘젭바운드(Zepbound, tirzepatide)’의 수면장애 적응증 추가를 위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허가신청을 완료했다. 경쟁약물로, 노보노디스크는 지난 3월 GLP-1 기반 비만약 ‘위고비(Wegovy, semaglutide)’를 심장약으로 라벨확대에 성공한 이후, 심부전, 신장질환, 무릎 골관절염(osteoarthritis)에서도 위고비의 효능을 도출하며 앞서가고 있다. 릴리는 지난 4월 젭바운드가 수면무호흡증(o
셀트리온제약, 신규 '이중페이로드' 플랫폼 "첫 공개"
유한양행, ‘TKI’ EGFR 엑손20도 효능..‘EGFRx4-1BB’ 공개
펩트론, ADC의 "세포유입∙효능↑" 플랫폼 초기결과 '공개'
릴리, ‘GLP-1/GIP’ 폭발적 증가 "1Q 매출, 전년比 45%↑”
머크, ‘키트루다' 美 생산시설 착공..”10억弗 투자”
노바티스, 레귤러스 17억弗 인수.."신장질환 강화"
AZ, 신경과학 임상개발 "3건 중단..파이프라인 제로(0)"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EP2/4 저해제' 고형암 "FDA 1상 IND 신청"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상 "ASCO 발표"
이뮨온시아, 공모가 상단 3600원 확정.."329억 조달"
바이젠셀, 테라베스트와 'GD2 CAR-NK' 공동개발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