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신창민 기자
▲GC녹십자 KSBB-AFOB 발표 현장(회사 제공)
GC녹십자(GC Biopharma)는 지난 23일부터 27일까지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열리는 KSBB-AFOB 컨퍼런스 2025에서 ‘난발현성 단백질을 위한 세포주 개발(Cell Line Development for Difficult-to-Express Proteins)’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KSBB-AFOB 컨퍼런스는 한국생물공학회(KSBB)와 아시아생물공학연합(AFOB)가 공동 주최하는 행사다. 올해는 ‘바이오 제조의 최전선: 지속 가능한 바이오 경제를 형성하다(Frontiers in Bio manufacturing: Shaping a Sustainable Bio economy)’를 주제로, 전세계 40여개국에서 약 3000명의 산학연관 바이오 전문가가 참석했다.
발표에 따르면 세포주는 신약개발에 필요한 단백질을 만드는 기본 세포로, 생산효율과 안정성이 신약개발 성패를 좌우한다. 하지만 일부 단백질은 구조가 복잡하고 발현율이 낮아 기존 방식으로는 생산이 어려워 신약개발의 병목 현상으로 꼽혀왔다. 이번 발표에서 GC녹십자는 발현이 까다로운 단백질(difficult-to-express protein, DTEP)의 생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포주 개발 플랫폼을 소개했다.
GC녹십자는 발표에서 △단일세포 클로닝(single-cell cloning)을 통한 균질성 및 안정성 확보 △단백질 구조, 안정성, 기능, 활성의 체계적 조기분석 및 최종반영 △마이크로 바이오리액터(micro bioreactor) 등 최신 자동화장비 활용을 통한 공정효율 극대화를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특히 해당 플랫폼을 사용해 개발한 세포주의 장기배양 안정성 평가와 단백질발현 시험결과를 공개하며 개발역량을 설명했다.
이번 발표를 진행한 김용재 GC녹십자 EDD(Early Drug Development) 유닛장은 “난발현성 단백질에 대한 효율적인 세포주 개발은 바이오신약 파이프라인 확장의 필수 조건”이라며 “GC녹십자는 차별화된 세포주 개발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