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웃페이스(OutPace)가 시리즈B로 1억4400만달러를 유치했다. 아웃페이스는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 기술 기반의 단백질 설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아웃페이스는 단백질 설계기술로 개발한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해 낮은 암세포 선택성과 지속성, 독성을 유발하는 높은 약물용량 등 기존 한계를 개선한 고형암 타깃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아웃페이스는 지난 2020년 라이엘 이뮤노파마(Lyell Immunopharma)에서 분사(spinout)한 기업으로 마크 라조이(Marc Lajoie) 박사와 스캇 보이킨(Scott B
마드리갈 파마슈티컬(Madrigal Pharmaceuticlals)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 ‘레즈디프라(Rezdiffra, resmetirom)’의 올해 2분기 매출은 1460만달러를 기록했다. 시판후 3개월만의 성과로, 이는 애널리스트 예상치 380만~540만달러 보다 높은 성적이다. 빌 시볼드(Bill Sibold) 마드리갈 CEO는 7일(현지시간) 실적발표에서 “이번 분기 목표로 하는 의료진(top physician)의 20%가 레즈디프라를 처방하기 시작했으며, 이들 의료진이 전체 약물
엘레베이션 온콜로지(Elevation Oncology)가 2년전 중국에서 사들인 클라우딘18.2(CLDN18.2) 항체-약물접합체(ADC)로 자체 진행한 임상1상 결과를 첫 공개했는데, 애초 기대와는 다르게 CLDN18.2 저발현(< 20%) 위암 환자에서 전체반응률(ORR)이 0%로 나와 충격을 주고있다. 엘레베이션은 지난해 8월부터 애매한 기준(?)인 ‘CLDN18.2를 발현할 것으로 여겨지는(likely to express)’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했으며, 지난 6일(현지시간) CLDN18.2 ADC ‘EO-3021’의
에자이(Eisai)는 지난 6일(현지시간) 시드테라퓨틱스(SEED Therapeutics)와 종양, 신경퇴행 분야의 다양한 표적에 대한 분자접착제(molecular glue) 발굴, 개발을 위해 15억달러 규모의 개발 및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딜과 함께 에자이는 SEED의 2400만달러 규모 시리즈A-3 투자도 리드했다. SEED는 비욘드스프링(BeyondSpring)의 자회사로 분자접착제를 개발하는 회사다. SEED 창업멤버로는 유비퀴틴(ubiquitin)을 매개로한 단백질 분해의 과정을 규명한 200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1개월 장기지속형 GLP-1/GIP 이중작용제(dual agonist)와 VAP-1 저해제의 대사장애 관련 지방간염(MASH) 임상 개발을 중단했다. 노보노디스크는 지난 7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발표에서 이같은 파이프라인 개발현황을 업데이트했다. 노보노는 1개월 장기지속형 GLP-1/GIP을 개발한다고 밝힌지 불과 3개월만인 지난 5월에 임상1상의 개발을 중단한 것으로 드러났다. 노보노디스크는 지난 2월 4분기 실적발표 자료에서 1개월 GLP-1/GIP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다고 공개했었다
레비셉트(Levicept)가 p75NTR-Fc 융합단백질의 골관절염 임상2상에서 통증을 개선한 결과를 내놨다. 레비셉트의 p75NTR-Fc 융합단백질 후보물질 ‘LEVI-04’은 뉴로트로핀-3(NT-3)의 활성을 억제해 진통효과를 제공하고, 만성통증 상태에서 발현되는 과도한 뉴로트로핀을 줄여 항상성을 회복시키는 기전이다. 기존에 비마약성(non-opioid) 진통제로 임상개발되던 NGF(nerve growth factor) 항체는 낮은 효능과 급성골관절염 진행, 신경병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한계가 있었다. 레비셉트는 LEVI-
제브라 테라퓨틱스(Zevra Therapeutics)의 초희귀질환 C형 니만픽병(NPC) 치료제 ‘아리모클로몰(arimoclomol)’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위원회 회의에서 ‘11:5’로 찬성을 이끌어내며 어느정도 임상적 이점을 인정받았다. 이는 3년전인 2021년 승인거절 보다는 진전된 결과이지만, 아직 효능에 대한 불확실성 의견이 남아있어 승인여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이번 FDA 자문위에서 논의한 아리모클로몰은 희귀 신경질환 NPC치료제로 개발된 HSP(heat shock protein) 증폭제(amplifier)이
로슈(Roche)가 상가모 테라퓨틱스(Sangamo Therapeutics)와 특정 신경퇴행성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에 대한 유전자치료제(genomic medicine) 개발을 위해 19억5000만달러 규모로 딜을 맺었다. 이번 딜로 로슈는 타우(tau)와 비공개 타깃에 대한 징크핑거 저해제(zinc finger repressors, ZFR), 혈뇌장벽(BBB)을 투과하는 정맥투어(IV) 방식의 AAV 캡시드 기술에 대한 권리를 확보했다. 타우 단백질은 아밀로이드베타(Aβ)와 함께 알츠하이머병(AD)의
에이비엘바이오(ABL Bio)의 DLL4xVEGF 이중항체 ‘ABL001(CTX-009)’이 담도암(BTC) 치료제의 임상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이제 영역을 1차치료제로도 확대하고 있다. ABL001은 신생혈관 및 종양혈관 생성에 중요한 DLL4와 VEGF-A를 차단하는 기전의 이중항체이다. 에이비엘 글로벌 파트너사 컴패스 테라퓨틱스(Compass Therapeutics)는 6일(현지시간) 담도암 환자 150명을 대상으로 2차치료제 세팅에서 ABL001을 평가하는 임상2/3상에서 환자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해당 COMP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의 미국 파트너사 이뮤노반트(Immunovant)가 6일(현지시간 기준) 실적발표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FcRn 항체 ’HL161‘와 후속 프로그램인 ’HL161ANS(IMVT-1402)‘에 대한 개발 계획을 밝혔다. 두 FcRn 항체는 한올바이오파마가 개발해 지난 2017년 이뮤노반트 모회사인 로이반트 사이언스(Roivant Sciences)에 라이선스아웃한 물질이다. 이뮤노반트는 현재 진행중인 바토클리맙 중증근무력증(MG) 임상3상 환자등록을 완료했으며, 예정대로
미국 머크(MSD)가 이제 PD-1 블록버스터 ‘키트루다’가 잡지 못하는 남은 폐암 영역인, 소세포폐암(SCLC)으로 돌진하고 있다. 목표는 정해졌으며 이번엔 T세포 인게이저(T cell engager, TCE)와 항체-약물접합체(ADC) 병용요법이라는 새로운 시도이다. 머크는 채 1년도 안 돼, ADC 파트너사인 다이이찌산쿄와 다시금 추가 공동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이번 딜에서는 머크가 올해초 하푼 테라퓨틱스(Harpoon Therapeutics)를 6억8000만달러에 인수하며 사들인 DLL3 TCE ‘MK-6070’에 대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전문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과 샤르코-마리-투스병(CMT), 뒤센근이영양증(DMD) 등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하는 이엔셀(ENCell)이 이번달 코스닥시장에 상장한다. 장종욱 이엔셀 대표는 지난 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수준의 GMP 역량을 바탕으로 CGT CDMO 분야에서 국내 최대 트랙레코드를 보유하고 있다”며 “한번 수주 이후에는 지속적인 매출이 발생하는 사업특성상 지속적인 매출성장을 기대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줄
MBX는 5일(현지시간) 시리즈C로 6350만달러의 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MBX는 지난 2019년 설립된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소재 바이오텍으로 지난 2022년에는 시리즈B로 1억1500만달러의 투자금을 받았다. MBX의 켄트 호이럭(Kent Hawryluk) CEO는 MB2의 공동창업자이자 CEO, 어비디티(Avidity Biosciences)의 공동창업자이자 CBO를 역임했다. MB2는 지난 2015년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에 인수됐다. 이번 투자는 오비메드(OrbiMed), Deep Track Capit
아이오니스 파마슈티컬스(Ionis Pharmaceuticals)가 로슈(Roche)와 공동개발하는 보체인자B(CFB) 타깃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의 지도모양위축(geographic atrophy, GA) 임상개발을 중단했다. GA 발생의 주요 원인은 비정상적인 보체(complement)의 신호전달이다. 로슈는 습성 황반변성(wAMD) 치료제 ‘바비스모(Vabysmo, faricimab-sova)’를 중심으로 안과질환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으며, 나머지 시장인 GA 치료제 개발에도 꾸준히 도전하고 있다. GA는 주된 실
코로나19 백신의 매출감소로 모더나(Moderna)의 올해 상반기 매출이 4억8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81.5% 급감했다. 모더나는 올해 매출예상치를 40억달러에서 30억~35억달러로 하향조정했다. 모더나(Moderna)는 지난 1일(현지시간) 실적발표 자리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모더나의 올해 2분기 매출은 2억41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30% 감소했다. 모더나는 유럽지역에서의 매우 낮은 코로나19 백신 판매, 정부와 백신공급 계약 연기,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백신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 등을 매출감소 이유로 설명했
바이오엔텍(BioNTech)이 젠맙(Genmab)과 공동개발하는 PD-L1x4-1BB 이중항체의 임상3상을 포함한 추가 개발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올해 하반기 임상3상 시작을 앞두고 내린 결정이다. 이전 회사가 공개한 바에 따르면 비소세포폐암 2차치료제 세팅을 타깃하고 있다. 젠맙은 5일(현지시간) 바이오엔텍이 협력계약에 따라 PD-L1x4-1BB 이중항체 ‘아카순리맙(acasunlimab)’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개발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히며, 이날 얀 반 데 윙켈(Jan van de Winkel) 젠맙 대표는 “자체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1차 "확대..2상 추진"
리가켐, 美고테라퓨틱스서 "ADC 신규항체 도입"
서밋, 'PD-1xVEGF' 폐암3상 세부 "의문가중..OS 미충족"
BMS 베팅 '이중항체 ADC+타그리소' 폐암 1차 "ORR 95%"
노벨티노빌리티, 코아스에 투자철회 요청
HK이노엔, '케이캡' 급성 심근경색서 "vs PPI 연구발표"
BMS '이중항체 ADC+타그리소' 폐암 1차 "ORR 95%"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코어라인, 서울시 바이오·의료 지원사업 선정
차바이오 마티카, 美서지엄과 'AAV 벡터' 생산계약
삼진제약, '양자컴퓨팅∙AI 융합' 신약개발 "복지부 과제"
지아이이노베이션, ‘CD80-IL2 SC제형’ 유럽특허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