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셀트리온그룹은 7일 올해 상반기 6465가구를 대상으로 나눔사업을 펼쳤다고 밝혔다. 셀트리온그룹 내에서 후원 및 지원사업을 전담하는 셀트리온복지재단은 올해 상반기 주요 사업장이 위치한 인천시와 충북지역에서 소외계층 총 6465 가구에 생필품 지원을 비롯한 지원금을 지급했다. 올해 셀트리온그룹은 지역 상생과 선한 영향력 강화를 목표로 사회공헌사업을 확대하면서 지원가구 수가 상반기에만 지난해 지원했던 6300여 가구를 넘어섰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영유아와 청소년 및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한 지원사업의 비중을 확대했다. ‘소외계층
지놈앤컴퍼니(Genome & Company)는 APP 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GENA-119’가 최근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신약기반 확충 연구사업’ 중 선도물질단계 과제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으로 지놈앤컴퍼니는 2025년 3월까지 2년동안 연구개발비를 지원받으며 선도물질 확보, 초기 공정연구 완료 및 원숭이에서의 예비독성시험 완료를 목표로 한다. GENA-119는 T세포에서 발현되는 APP(amyloid precursor protein) 단백질을 타깃하는 항체로, APP는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C
아보메드(Arbormed)는 희귀 유전질환인 윌슨병(Wilson's disease)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전임상 에셋 ‘ARBM-101’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연구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아보메드는 사업단의 지원으로 ARBM-101의 추가적인 기전연구 및 동물 효력시험, 예비 독성시험 등을 최종 검증할 예정이다. ARBM-101은 ‘메타노박틴(methanobactin)’ 계열의 펩타이드 약물로, 윌슨병을 일으키는 구리를 간으로부터 배출시키는 컨셉이다. 윌슨병은 전세계적으로 최대 3만명당 1명꼴로 발병하는 희
한국콜마홀딩스(Kolmar Korea Holdings)가 3년전 고바이오랩(KoBioLabs)에서 사들인 면역질환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의 권리를 반환했다. 당시 한국콜마홀딩스는 계약금 20억원과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 신청시 단기마일스톤 10억원과 임상개발, 허가, 상업화에 따른 마일스톤 등을 포함해 총 1840억원 규모의 딜이었다. 그러나 임상에 진입하지 못하고 파트너십이 종결됐다. 고바이오랩은 6일 한국콜마홀딩스로부터 'KBL382'와 'KBL1027' 등 2종의 면역질환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후보물질 기술이전이 해지됐으
셀트리온헬스케어(Celltrion Healthcare)는 6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250억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셀트리온헬스케어가 매입할 자사주는 38만주로 취득 예정금액은 약 250억원 규모다. 자사주는 2023년 7월7일부터 10월6일까지 장내매수를 통해 취득할 예정이며 최대한 신속히 진행될 계획이다. 이로써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 2월과 3월에 이어 올해 세번째로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으며, 이를 통해 올해에만 총 121만5000주, 75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하게 된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중국 아이맵(I-Mab)과 공동연구개발 중인 클라우딘18.2(claudin18.2, CLDN18.2)과 4-1BB 타깃 이중항체 ‘ABL111(givastomig)’의 T세포 활성화 매개 항암효능을 보여준 전임상 결과가 논문 발표됐다. 현재 미국과 중국에서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ABL111의 임상1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오는 10월 유럽 임상종양학회(ESMO 2023)에서 첫 임상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임상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아이맵은 지금까지 양호한 안전성 데이터와 긍정적인 효능 시그널을 확인
이뮤노포지(ImmunoForge)는 6일 반감기 연장 기술 ELP(Elastin-Like Polypeptide) 기반 파이프라인 ‘PF1804’가 산업통상자원부의 2023년도 전략기술형(글로벌기술도입형) 국제공동기술개발 신규과제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으로 이뮤노포지는 3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비를 정부로부터 지원받게 되며, 임상2상을 통해 반감기 연장 기술 기반 뒤센근이영양증 심근병증 치료제 PF1804의 유효성을 입증할 예정이다. 뒤센근이영양증 심근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Cardiom
에임드바이오(AimedBio)는 6일 알러지 질환 타깃 치료제 프로그램 ‘P001’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과제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에임드바이오는 향후 2년간 프로그램의 후보물질 도출을 위한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프로그램 ‘P001’은 염증반응 억제기전의 상위 수용체를 표적하는 면역항체를 발굴함으로써 과도한 염증반응으로 유발된 알러지 질환을 치료한다는 접근법이다. 회사측은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과 만성 부비동염 적응증을 목표로 하며, 듀피젠트나 JAK저해제 등에 효과가 없
체외진단 전문기업 오상헬스케어(OSANG Healthcare)가 유한양행(Yuhan)의 자회사로 수액제 전문기업 와이즈메디의 3자배정 유상증자에 보통주 190만주, 102억원을 투자한다고 5일 밝혔다. 납입일은 오는 7월 20일이다. 오상헬스케어는 이번 유상증자 참여를 통해 와이즈메디 지분 12.69%를 확보하게 되며, 최대주주인 유한양행에 이은 2대 주주에 오르게 된다. 와이즈메디는 유한양행이 지분 63.1%를 보유하고 있는 수액제 전문 자회사다. 와이즈메드는 올해 완공을 목표로 600억원을 들여 충북 진천군 광혜원 제2농공단지
항체-약물접합체(ADC) 전문기업 앱티스(AbTis)는 위암, 췌장암을 타깃하는 클라우딘18.2(Claudin18.2, CLDN18.2) ADC(프로젝트명 AT-211)가 2023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의 비임상 개발과제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앱티스는 이번 과제선정을 통해 ‘AT-211’의 연구비를 2년에 걸쳐 지원받게 된다. KDDF는 국내 제약 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약개발 전주기 단계를 지원하는 범부처 국가연구개발(R&D) 사업을 진행중
티움바이오(Tiumbio)는 중국 파트너사 한소제약(Hansoh Pharmaceutical)이 중국 국가약품관리감독국(NMPA)으로부터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신약 후보물질 ‘TU2670(HS-10518)’의 임상1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고 5일 밝혔다. ‘TU2670’은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치료제로 개발중인 경구용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길항제(antagonist) 기반 신약이다. 한소제약은 지난해 8월 티움바이오와 총 1
부스트이뮨(Boostimmune)은 면역억제세포를 타깃하는 기전의 TCTP(translationally-controlled tumor protein) 항체 ‘BIO-101’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후보물질 단계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에 따라 부스트이뮨은 전임상 후보물질 도출을 목표로 향후 2년동안 9억원(정부지원금 기준)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 TCTP는 원래 세포내 단백질(cytosolic protein)로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종양세포가 괴사하는(necrosis) 등 세포사멸로
연합학습(federate learning, FL) 기반의 실용적인 한국형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가속화 플랫폼 사업을 통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신약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공식 줄범전부터 22개 기업이 참여의사를 밝히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참가업체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사업의 핵심은 연합학습 AI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지원사업 ‘K-멜로디(MELLODDY, Machine Learning Ledger Orchestration for Drug Disc
보로노이(Voronoi)는 HER2 양성 고형암 표적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VRN10’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국가신약개발사업 비임상 과제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보로노이는 이번 국가신약개발사업 지원 과제 선정에 따라 VRN10의 비임상연구를 위한 연구개발비를 2년간 지원받게 된다. VRN10은 HER2 TKI(tyrosine kinase inhibitor)로 뇌 전이를 타깃하기 위해 혈뇌장벽(BBB)을 투과하도록 디자인한 약물이다. 보로노이는 유방암에서 처방되는 항체-약물접합체(ADC)와 병용투여로 개발을 고려하고
HK이노엔(HK inno.N)은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Txinno Bioscience)와 KRAS 표적 항암 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목표로 공동연구에 착수했다고 5일 말했다. 자체 AI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을 통해 도출한 항암신약 과제에 대한 협력 프로젝트다. HK이노엔은 최근 자체 AI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인 ‘inno-SUN(이노썬)’을 활용해 표적 항암신약 유효물질을 발굴했다. HK이노엔이 발굴한 물질은 다양한 KRAS유전자 변이를 표적하는 ‘pan-KRAS 저해제’ 계열의 항암신약 물질이다. 티씨노바이오는 HK이노엔과 함께 유효물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특발성폐섬유증(IPF) 치료제 후보물질로 개발하고 있는 ‘BBT-877’이 2023년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임상2상단계부문 신규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21년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개발하는 4세대 EGFR TKI ‘BBT-176’에 이어 두번째로 선정된 KDDF 지원과제가 됐다. BBT-877은 경구용 오토택신(autotaxin) 저해제이다. 오토택신은 혈중에서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을 리소포스파티드산(LPA)으로 전환
에이비엘, 'CLDN18.2x4-1BB' 1b상 모집 "조기완료"
에이비엘, 'DLL4xVEGF' 2/3상 "내년 1Q 판독 연기"
릴리, 센트렉시온서 ‘10억弗 L/I’ 비마약성진통제 “중단”
넥스아이, 시리즈B 610억 유치 ”올 비상장 최대규모”
노보노, 새 CEO 취임 하루前 “비만에셋 2개 중단”
美브릿지 분사 ‘차세대 RAS’, 나스닥 “SPAC 상장”
길리어드, 항암제 'CAR-T' 매출부진 "계속"..경쟁 심화
中포순, 美익스페디션에 ‘DPP1 저해제’ 6.5억弗 L/O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HLB 엘레바, 브라이언 김 신임 대표 선임
비나이 프라사드, 사임 “10일만에” FDA 복귀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HLB제약, 2Q 매출 469억..전년比 31.16%↑
뷰노, 2Q 매출 93억..“분기 최대실적 달성”
루닛, 상반기 매출 371억 "역대 반기 최대실적"
핀테라퓨틱스, 'CK1α 분자접착제' "국내 1상도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