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다음달 6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휴스턴에서 개최되는 미국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를 활용한 최신 연구성과 1건을 발표한다고 7일 밝혔다. 루닛은 올해 SITC에서 희귀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종 환자 대상의 AI 활용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 예측 연구를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이번 연구는 SITC 학술위원회로부터 중요성을 인정받아 신속 구두발표(Rapid Oral Presentation)에 채택됐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AI는 기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미국 면역항암학회(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SITC 2024)에서 TGFβ 항체 ‘AR148’를 포함하여 종양미세환경과 관련된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성과 발표포스터 2건이 채택됐다고 7일 밝혔다. SITC는 면역항암 분야에서 가장 큰 규모의 글로벌 학회이다. 전세계 63개국, 약 4600명 이상의 임상의, 과학자, 연구자들을 회원으로 보유하고 있다. 올해 행사는 오는 11월 6~10일(현지시간) 미국 휴스턴에서 개최된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종양미세환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유럽 최대 제약·바이오 컨퍼런스인 CPHI(Convention on Pharmaceutical Ingredients) Worldwide 2024에 참가한다고 7일 밝혔다. CPHI는 매년 유럽의 주요 국가에서 돌아가며 개최하는 제약·바이오 업계 대표 행사로, 올해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8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열린다. 행사기간 동안 전세계 166개국에서 총 24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약 6만2000여명 이상이 전시장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삼양홀딩스 바이오팜그룹(Samyang Biopharm)은 초소형 유전자가위 기술 바이오텍 진코어(GenKOre)와 유전자치료제(Gene Therapy)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계약은 삼양홀딩스의 유전자 전달기술 플랫폼 ‘SENS’와 진코어의 유전자편집 기술 ‘TaRGET’을 결합해 새로운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계약이다. 두 회사는 유전자 편집기술과 유전자 전달체 기술에 대한 검증을 진행한 이후 본격적인 유전자 치료제 공동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삼양홀딩스의 SENS(Stability
HLB의 간암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신약허가 심사 절차가 진행중인 가운데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임상병원 등 현장실사(BIMO Inspection) 일정을 회사에 통보했다고 6일 밝혔다. 지난 9월 20일 간암 1차치료제로 TKI ‘리보세라닙‘과 PD-1 항체 '캄렐리주맙(camrelizumab)’ 병용요법에 대한 재심사 서류 제출 후 본심사가 재개된 것이다. HLB에 따르면 FDA가 통보한 국가의 임상병원은 FDA의 방문 및 실사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사이트(site)로, BIMO 실사는 10월말부터 11월중순까지 진행된다
셀비온(CellBion)은 4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공모가를 밴드(1만~1만2200원) 상단 대비 23% 높은 1만5000원으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공모금액은 286억6500만원으로 늘어났으며, 이는 신약 임상비용 및 연구자금, 연구인력 확보 등에 활용된다. 지난달 24일부터 30일까지 5영업일간 진행된 이번 수요예측에는 전체 공모물량의 75%인 143만3250주 모집에 국내외 기관투자자의 총 참여건수가 2423건으로 집계됐으며, 최종 경쟁률은 1050대 1로 기록됐다.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에이프릴바이오(April Bio)는 4일 파트너사 룬드벡(Lundbeck)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APB-A1(Lu AG22515)’을 갑상선안병증(TED) 환자에 대해 평가하는 임상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에이프릴은 룬드벡으로부터 마일스톤을 받게 된다. 에이프릴은 이 약물을 지난 2021년 룬드벡에 4억4800만달러 규모로 기술이전했다. 해당 임상1b상은 중증도-중증 갑상선안병증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효능, 안전성, 부작용 등을 평가하는 임상이다(NCT06557850). APB-A1은 CD40L 저해제로 B세포와 T세
3차원 비표지(label-free) 세포이미징 전문기업 토모큐브(Tomocube)는 기존 모델 대비 시야와 고속스캔 기능이 개선된 신규 바이오이미징 플랫폼 ‘HT-X1 Plus’를 출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자가 세포와 오가노이드를 더 빠르고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 최신 시스템이다. 토모큐브에 따르면 HT-X1 Plus는 기존 모델 대비 4배 넓어진 시야(field of view, FOV)를 제공하며, 고속 스캔이 가능해 대규모 실험에서의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또한 sCMOS 기반의 고성능 형광 모듈을 탑재해 형광 이
제넥신(Genexine)은 2일 이피디바이오테라퓨틱스(EPD Biotherapeutics)와의 합병을 종료했다고 공시했다. 회사는 지난 6월 26일 열린 이사회에서 이피디바이오와의 합병을 결정하고, 7월 1일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합병신주상장 예정일은 10월 17일이다. 이번 합병을 통해 제넥신은 TPD 분야의 대표 기술로 알려진 '프로탁(Proteolysis-targeting chimera, PROTAC)' 접근법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바이오프로탁(bioPROTAC) 플랫폼 기술인 'EPDeg™', 신규 에셋, 핵심 연
오름테라퓨틱(Orum Therapeutics)은 2일 금융위원회에 코스닥시장(KOSDAQ)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오름은 300만주를 공모하며, 주당 희망공모가 밴드는 3만~3만6000원으로 공모예정금액은 총 1080억원(상단기준)이다. 오름은 국내외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오는 24~30일까지 수요예측을 실시해 공모가를 확정한 후, 다음달 5~6일 이틀동안 공모주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오름은 항체-분해약물접합체 (degrader-antibody conjugate
동아에스티(Dong-A ST)의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는 2일 GLP-1/GCG 이중작용제(dual agonist) ‘DA-1726’의 글로벌 비만 임상1상 파트1에서 안전성과 내약성, 용량-선형적 약동학(PK) 특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DA-1726의 글로벌 임상1상은 약물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약력학(PD)을 확인하기 위해서 파트1 단일용량상승시험(SAD)과 파트2 다중용량상승시험(MAD)으로 나누어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방식으로 진행중이다. 파트1은
에스티팜(ST Pharm)은 최근 일본 후지모토(Fujimoto chemicals) 및 이나바타(Inabata)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대량생산 신기술 도입 및 사업제휴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에스티팜은 오는 2030년까지 일본을 제외한 전세계 지역에서 후지모토의 특허물질인 ‘후지메트(Fujimat®, 액상수지)’의 독점 판매권과 함께 후지메트를 이용한 올리고 합성에 대한 독점 사용권을 확보하게 됐다. 이나바타는 에스티팜에 후지메트를 공급하게 된다. 계약기간 동안 에스
알테오젠(Alteogen)은 항체-약물 접합체(ADC)의 피하주사제형(SC)에 대한 국내 우선권 출원을 진행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발명은 미세소관 저해제(microtubule inhibitor) 등 독성이 강한 페이로드(payload)를 기반으로 한 ADC 약물에 대해 히알루로니다제를 사용해 ADC 치료제 피하주사를 위한 제형 및 치료법에 대한 내용이다. ADC 치료제는 항체에 결합한 페이로드 부작용으로 인해 제한적인 양을 투여하게 된다. 알테오젠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사의 신규 히알루로니다제 ‘ALT-B4’를 사용
바이오스펙테이터가 집계한 지난 9월 비상장 바이오기업에 대한 투자는 의료기기 기업 1곳, 158억원에 그쳤다. 특히 비상장 신약개발 바이오기업에 대한 투자는 지난 6월과 8월에 이어 또다시 제로(0)투자를 기록했다. 지난 7월에 갑작스럽게 이뤄진 신약개발 기업 4곳에 대한 1048억원의 투자가 마치 신기루처럼 느껴질 정도이다. 비상장 신약개발 기업에 대한 투자는 올해들어 1월 430억원(3곳), 2월 제로(0), 3월 51억원(2곳), 4월 290억원(3곳), 5월 250억원(1곳), 6월 제로(0) 등으로 가까스로 명맥을 이어오
CJ바이오사이언스(CJ Bioscience)는 2일 유럽소화기학회(United European Gastroenterology, UEG)와 미국신경과학회(Society for Neuroscience, SfN)에서 신약개발 플랫폼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마커와 신약 파이프라인 연구성과를 각각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달 12일부터 15일까지 비엔나에서 열리는 유럽소화기학회에서 면역매개 염증성질환(immune-mediated imflammatory disease, IMID)의 바이오마커 관련 성과를 구두발표한다. 면역매개 염증성 질환은
티움바이오(TiumBio)는 2일 면역항암제로 개발하고 있는 TGFβ/VEGF 이중저해제 ‘TU2218’를 임상2a상의 첫 환자에 투약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2a상은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등 국내부터 시작해 미국으로 확장해 진행할 계획이며, 첫번째 투약은 두경부암 환자에 이뤄졌다. 티움바이오는 TU2218의 임상2a상에서 두경부암, 담도암, 대장암 등 3가지 고형암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TU2218+키트루다를 투약해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한다. 회사는 임상1a/1b상에서 총 41명의 진행성 고형암 환자에 TU2218+키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머크, '사활' TROP2 ADC "블랙스톤서 7억弗 조달"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리가켐, 'B7H4 ADC' 고형암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인사이트, 프렐류드와 ‘JAK2 변이형’ 9.35억弗 옵션딜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