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이주연 기자
▲송무영 갤럭스 본부장(왼쪽)과 윤자빈 우정바이오 실장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기업 갤럭스(Galux)는 우정바이오(WOOJUNGBIO)와 AI기반 항체치료제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AI기반 신약 후보물질의 신속 비임상 검증체계 구축 ▲신규 타깃발굴 및 혁신신약 공동 연구개발 협력 ▲양사의 정보 및 네트워크 공유 ▲회사의 인프라를 활용한 공동연구개발 수행 등을 유기적으로 진행하며, AI기반 신약개발의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R&D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갤럭스는 AI와 물리화학적 원리를 융합한 자체플랫폼 ‘갤럭스디자인(GaluxDesign)’을 기반으로 특정 치료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새로운 항체를 처음부터 설계할 수 있는 드노보(de novo) 항체설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갤럭스는 드노보 항체설계가 기존의 생체면역반응 방식이나 항체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방식과 달리, 설계단계에서부터 분자의 정밀한 특성들을 고려할 수 있어 신약개발의 효율성과 성공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갤럭스는 현재 GPCR, 이온채널 등 기존방식으로는 접근이 어려웠던 도전적인 타깃까지 확장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우정바이오는 최근 오픈이노베이션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바이오텍과 협업을 진행하고, AI를 포함해 다양한 기술을 접목시킨 비임상 CRO 서비스 구축에 힘쓰고 있다. 이번 협력 또한 그 연장선상에서 복잡한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 항체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석차옥 갤럭스 대표는 “갤럭스는 AI로 완전히 새로운 항체를 설계하고 실제 비임상 단계까지 검증하는 연구를 통해, 단순한 기술적 가능성을 넘어 실제 치료제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을 다지고 있다”며 “이번 우정바이오와의 협력은 갤럭스가 가진 설계역량과 우정바이오의 비임상 검증역량을 결합해 AI 신약개발을 더 빠르고 확실하게 임상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천희정 우정바이오 대표는 “AI로 대표되는 신기술로 인해 신약개발 주기가 점점 단축되고 있는 만큼, 빠르고 정확한 비임상 데이터의 중요성 또한 점점 강조되고 있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우정바이오만의 독자적인 비임상 서비스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기업들과의 오픈이노베이션 프로젝트도 적극적으로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