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특발성 폐섬유증(IPF)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오토텍신(autotaxin) 저해제 ‘BBT-877’의 임상2상에서 목표로 한 120명의 환자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브릿지바이오는 스크리닝 단계에 있는 환자의 추가 등록 가능성을 고려해, 최대 125명 이상의 환자 데이터를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BBT-877의 임상2상은 한국, 미국, 호주, 폴란드, 이스라엘의 50여개 기관에서 진행된다. 총 120명의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에게 24주 동안 BBT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VUNO)는 최근 미국에서 공식 런칭한 AI 기반 뇌 정량화 의료기기 ‘뷰노메드 딥브레인®’ 관련 핵심 기술 2건에 대한 특허가 미국에서 등록이 결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미국에 등록된 2건의 특허는 딥러닝 기반 뇌 MRI 영상분석 기술의 효율을 높이고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기술이다. 먼저 ‘약물의 작용기전을 예측하는 신경망의 기계학습 방법 및 신경망을 이용한 약물의 작용기전 예측 방법’은 딥러닝을 기반으로 뇌 MRI 영상에서 각종 뇌질환 관련 약효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때 활용하는
압타머사이언스(Aptamer Sciences)는 29일 암세포 표면에 있는 TROP2 표적 단백질에 대한 압타머-약물접합체(ApDC) 물질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특허 출원한 ApDC 물질은 경쟁사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의 TROP2 항체-약물접합체(ADC)인 ‘트로델비(Trodelvy)’보다 췌장암 동물모델에서 표적침투력이 높고 높은 항종양 효과를 확인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압타머사이언스는 여러 고형암 적응증으로 TROP2 ApDC의 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에
티카로스(TiCARos)는 29일 존슨앤존슨(J&J)의 JLABS Korea 프로그램에 올해 4월 최종선정됐다고 뒤늦게 밝혔다. JLABS는 J&J가 운영하는 혁신적인 개방형 글로벌 네트워크로 선발된 기업에게는 J&J의 멘토팀이 배정되며 연구, 개발, 사업개발, 임상 연구, 펀딩 등 다방면으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이 제공된다. 티카로스는 그동안 J&J측에서 이같은 선정 사실을 비공개할 것을 요구했었다며 뒤늦게 소식을 알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재원 티카로스 대표는 "선정절차와 이후 업무진행 과정에서 J&J의 업무처리 방식, 풍
아이젠사이언스(AIGEN Sciences)는 29일 국가 차원의 사업인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의 인공지능(AI) 솔루션 개발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국책사업으로, 향후 5년간 총 348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연합학습 플랫폼 구축 및 개발, 신약개발 데이터 활용 및 품질관리, 연합학습 플랫폼 활용 AI 솔루션 개발 등 총 3개의 과제로 구성돼 있다. 아이젠사이언스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신약개발 과정의 실험 데이터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s)는 29일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Independent Data Monitoring Committee, IDMC)로부터 특발성폐섬유증(IPF) 치료제로 개발하는 PRS 저해제 ‘베르시포로신(DWN12088)’의 임상2상 지속을 권고받았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에 두번째로 개최된 회의에서 임상을 완료한 IPF 환자 51명을 포함한 총 59명의 임상 등록환자를 대상으로 베르시포로신의 안전성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IDMC는 내년초 예정된 세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Lunit SCOPE)’에 대한 글로벌 제약사들의 연구 분석의뢰 용역 건수가 올해 들어 7월 기준 5000건을 돌파했다고 29일 밝혔다. 루닛 스코프는 AI로 암 환자의 조직 슬라이드를 분석해 면역항암제에 대한 환자 반응을 예측해주는 솔루션이다. 제약사들은 루닛 스코프를 활용해 신약개발에 들어가는 임상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약물의 치료 반응률을 높일 수 있으며, 지난해 말부터 시작해 글로벌 제약사의 환자조직 슬라이드 분석 의뢰가 증가하는 추세다. 미
한국아스텔라스제약(Astellas Pharma Korea)은 항체-약물접합체(ADC) '파드셉(Padcev, enfortumab vedotin)'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수술이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의 1차 치료에서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와의 병용요법으로 허가를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파드셉의 1차 치료요법 적응증 확대 승인은 지난해 3월, 이전 치료에 실패한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에서 최초의 ADC 항암제로 국내에서 허가받은 데 이어 1년4개월여
동아에스티(Dong-A ST)는 오는 28일부터 8월1일까지(현지시간)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알츠하이머병협회 국제컨퍼런스(AAIC 2024)에서 타우 표적 치매 치료제로 개발중인 ‘DA-7503’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한다고 26일 밝혔다. AAIC는 알츠하이머병 분야 최대 규모의 국제 학회이다. 동아에스티는 지난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DA-7503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아 지난 5월 임상을 개시했다. 임상1상은 건강한 성인과 노인 72명을 대상으로 DA-7503의 단회 및 반복
자이메디(Zymedi)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폐동맥고혈압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first-in-class’ 기전의 KARS1 항체 ‘ZMA001’이 희귀의약품(orphan drug designation, ODD)으로 지정됐다고 26일 밝혔다. 폐동맥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은 폐세동맥의 재성형 및 혈관 내벽의 협착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혈관병증이다. 혈액으로부터 폐로 침투하는 면역세포들로 인해 폐가 손상되고 폐동맥 혈압이 상승하며 결과적으로 우심실의 부전, 사망에
쓰리빌리언(3billion)은 26일 한국거래소의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쓰리빌리언은 지난해 12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해 진행된 기술성평가에서 한국발명진흥회와 SCI평가정보로부터 모두 A등급을 받았다. 쓰리빌리언은 코스닥 상장 이후, 해외 시장에서의 성장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며, 미국 자회사 설립을 통해 글로벌 희귀질환 시장의 50%를 차지하는 미국시장에서 성장하기 위한 도전을 본격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쓰리빌리언은 인공지능(AI) 유전변이 해석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이 기술을 기반으로 현재 60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25일 공시를 통해 215억3640만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 납입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8월8일 신주 1370만 주가 상장될 예정이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지난 4월 이사회 결의를 거쳐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조달 절차에 들어갔다. 이후 최종 발행가액이 1572원으로 산정된 가운데, 지난 7월 17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구주주 대상 공모 결과 청약률 104.56%를 기록하여 실권주 없이 제반 절차를 마무리했다. 이번 증자를 통해 신규 조달
동아에스티(Dong-A ST)는 25일 별도기준 잠정실적으로 올해 2분기 매출액 1577억원, 영업이익 71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각각 2.3% 증가, 18.9%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은 79억원으로 전년 대비 63.1% 증가했다. 회사에 따르면 ETC(전문의약품) 부문은 영업환경 악화로 처방의약품 일부 품목 매출이 감소했지만 그로트로핀 성장으로 전년동기 대비 5.3% 증가한 1080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해외사업 부문은 캔박카스(캄보디아) 매출의 기저효과로 전년 대비 7.8% 감소한 377억원을 기록했다. R&D
코넥스트(CONNEXT)는 콜라겐분해효소 후보물질 ‘CNT201’의 듀피트렌구축(Dupuytren’s contracture) 호주 임상1/2상에서 첫 환자투여를 시작했다고 25일 밝혔다. 듀피트렌구축 질환은 손바닥 피부와 힘줄 사이의 근막에 콜라겐에 의한 섬유화가 진행되면서 손가락이 굽은 채 고정되는 질환이다.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근막절제술과 같은 수술 또는 콜라겐분해효소 주사제를 통해 증상을 개선시키고 있다. 이번 임상1/2상은 호주 내 3개 병원에서 듀피트렌구축 환자를 대상으로 콜라겐분해효소 후보물질 CNT201를 4가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s)는 25일 미국 바이오기업 선플라워 테라퓨틱스(Sunflower Therapeutics)에 200만달러(한화 27억8000만원)를 투자하는 조건부 지분인수계약(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 SAFE)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AFE는 현재 기업가치 산정이 어려운 초기 스타트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향후 요건을 갖춘 후속 투자가 있을 때 약정된 조건대로 지분 비율을 결정하는 인수방식이다. 후속 투자가 이뤄지면 기업가치 또한 높아지기 때문에 SAFE를 통한
JW생명과학(JW Life Science)의 자회사인 JW바이오사이언스(JW Bioscience)는 25일 진단분석 장비 전문기업 바이오이랩(E-LAB Biological Science & Technology Co., BIOELAB)과 전자동 생화학 분석장비 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JW바이오사이언스는 바이오이랩의 전자동 생화학 분석장비를 국내에 독점 공급하는 한편, 자체 R&D 기술력을 통해 개발한 진단시약의 판매 확대에 나선다. 바이오이랩은 생화학 분석장비 및 진단시약을 전문으로 제조하는 업체로 중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머크, '사활' TROP2 ADC "블랙스톤서 7억弗 조달"
삼양그룹, 삼양 이노베이션 'R&D 페어 2025’ 개최
리가켐, 'B7H4 ADC' 고형암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인사이트, 프렐류드와 ‘JAK2 변이형’ 9.35억弗 옵션딜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