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맵(BioMap)은 10일(현지시간) 사노피(Sanofi)와 바이오의약품(Biotherapeutics) 발굴을 위한 인공지능(AI) 모듈(module) 공동개발(co-develop)을 위해 10억1000만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사노피는 바이오맵에 계약금 1000만달러, AI 모듈개발에 따른 단기 마일스톤에 더해 발굴한 단백질 치료제(protein therapy) 후보물질의 전임상 개발, 임상개발, 규제, 상업화 마일스톤으로 10억달러를 지급한다. 타깃과 적응증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AI 기반 신
큐리언트(Qurient)는 싸이토젠(CytoGen)과 항암제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동반진단 공동개발을 추진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큐리언트가 항암제로 임상개발하고 있는 AXL/MER/CSF1R 삼중저해제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Q702)’, CDK7 저해제 ‘Q901’과 관련해 특정 암종 및 환자를 대상으로 싸이토젠의 혈액내 순환종양세포(CTC) 분석기술을 적용한다.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동반진단 개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특히 Q901의 작용 메커니즘이 전사
이뮤노포지(ImmunoForge)는 11일 GLP-1 작용제(agonist) '프로니글루타이드(Froniglutide, PF1801)'의 다발성근염(Polymyositis, PM) 및 피부근염(Dermatomyositis, DM) 임상2상에서 첫 환자 투약을 마쳤다고 밝혔다. 다발성근염/피부근염은 근육소실과 근력약화로 삶의 질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질환으로, 현재 부작용이 많은 스테로이드와 면역억제제가 표준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뮤노포지는 프로니글루타이드의 유효성, 안전성 및 약동학적 특성의 평가를 목적으로 임상2상을 진행중이며
동아에스티(Dong-A ST)는 11일부터 15일까지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개최되는 ‘AACR-NCI-EORTC 2023’에서 SHP1 타깃 면역항암제(IO) 후보물질 ‘DA-4511’의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11일 밝혔다. AACR-NCI-EORTC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유럽 암연구 및 치료기구(EORTC)가 공동으로 주관해 미국과 유럽에서 매년 순회하여 개최되는 국제학회다. 전세계 암연구 분야 전문가 및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항암치료 및 신약 관련 다양한 논의를 진행한다.
노보노디스크(Novo Nodisk)의 GLP-1 작용제(Agonists)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가 비만, 심혈관질환에 이어 이번엔 신장질환에서도 긍정적인 임상결과를 보이면서, 임상의 조기종료가 결정됐다. 세마글루타이드는 최근 비만치료제로 수요가 높아진 ‘위고비(Wegovy, semaglutide 2.4mg)’와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Ozempic, semaglutide 0.5/1.0/2.0mg)’을 구성하는 약물성분이다. 특히 위고비는 최근 비만 외에도 심혈관질환에서 연이어 긍정적인 임상결과를 보이고 있
지피씨알 테라퓨틱스(GPCR Therapeutics)는 허원기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 논문이 국제학술지 ‘Cell Communication and Signaling(IF: 8.4)’에 게재됐다고 10일 밝혔다. 특발성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을 촉진한다고 알려진 LPA1, CXCR4 등 2가지 타깃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LPA1이 CXCR4의 기능을 억제한다는 내용이다. 지피씨알은 이번 연구결과에 기반해 LPA1/CXCR4 저해제를 병용투여하는 섬유증 파이프라인 개발
아납티스바이오(AnaptysBio)가 IL-36항체 후보물질의 전신농포건선(generalized pustular psoriasis, GPP) 임상3상에서 피부병변을 유의미하게 개선하며 1차종결점을 충족시킨 결과를 내놨다. 아납티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IL-36 항체 ‘임시돌시맙(imsidolimab)의 데이터를 논의하고 내년 3분기까지 바이오의약품허가신청(BLA)를 제출할 계획이다. 만약 임시돌리맙이 승인받게 되면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의 IL-36R 항체 ‘스페비고(Spevigo, spes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전문기업 옙바이오(YepBio)는 11일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의 ‘딥테크 팁스(TIPS)’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딥테크 팁스는 중기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선정하여 정부가 3년간 최대 15억원의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옙바이오는 ‘파킨슨병(PD) 발병 공통 유발인자, PARIS 억제제를 통한 혁신 파킨슨신약 개발’ 과제로 딥테크 팁스에 선정되어 지난달 27일 협약 체결을 완료했다. 옙바이오는 이번 딥테크 팁스 연구개발 지원금을 활용해
리제네론(Regeneron Pharmaceuticals)과 인텔리아(Intellia Therapeutics)가 CRISPR/Cas 기반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간 외부 표적으로까지 확장했다. 체내 주입된 유전자치료제 대부분은 간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유전자치료제의 효능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표적세포 및 조직으로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약물전달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리제네론과 인텔리아가 지난 2016년에 처음으로 체결했던 in vivo CRISPR/Cas 기반 유전자치료제 공동개발 파트너십 역시 처음에는 주로 간 조직 표적을 대상으로
코오롱생명과학(KOLON Life Science)은 11일 연구개발 중인 항암 바이러스 후보물질 ‘KLS-3021’과 관련해,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대한 특허가 캐나다와 싱가포르에서 등록 결정됐다고 밝혔다. 회사측은 이번 캐나다 및 싱가포르 특허등록 결정이 한국, 일본, 호주에 이은 것으로, 의약품 시장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캐나다를 비롯해 글로벌 사업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LS-3021’은 코오롱생명과학이 개발중인 고형암 치료제로, 유전자편집을 통해 암세포 선택성을 높인
닥터노아바이오텍(Dr. Noah Biotech)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발굴한 루게릭병(ALS) 치료제 후보물질 ‘NDC-011’이 지난 9월28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희귀의약품(Orphan Drug Designation, ODD) 지정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미국 FDA의 ODD 지정과 더불어, 닥터노아는 NDC-011의 비임상 연구결과를 지난 2일 국제학술지 뉴로테라퓨틱스(Neurotherapeutics, IF: 5.7)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NDC-011은 닥터노아바이오텍이 AI를 이용한 신약재창출
파노로스 바이오사이언스(Panolos Bioscience)가 임상1상을 진행중인 리드파이프라인 ‘PB101’ 단독 및 PD-L1 항체와 병용요법에서 항암효과를 확인한 전임상 연구결과를 내놨다. 이번 연구는 파노로스와 김찬·전홍재 차의과대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은 PB101이 신생혈관 형성을 억제하고 암세포에 대한 T세포 침윤(infiltration)을 향상시켜 종양성장을 억제한 결과를 확인했다. 또 PB101을 투여한 간암 및 대장암 동물모델은 PD-L1 항체와 시너지효과를 나타냈으며 종양 재발모델(rechall
일본 쿄와기린(Kyowa Kirin)이 영국 오차드 테라퓨틱스(Ochard Therapeutics)를 3억8740만달러에 인수했다. 조건부가격청구권(contingent value right, CVR) 달성에 따른 비용을 합치면 총 4억7760만달러 규모다. 이번 인수로 쿄와기린은 승인을 앞둔 이염성 백질이영양증(metachromatic leukodystrophy, MLD)에 대한 유전자치료제 ‘OTL-200(atidarsagene autotemcel)’을 확보했다. 쿄와기린은 미충족의료수요(unmet needs)가 높은 환자들을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0일 이오플로우의 주권매매거래를 정지한다고 공시했다. 정지일시는 11일부터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심사대상 여부에 대한 확정일까지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기업의 주된 영업의 정지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해 심사를 진행하게 되며 같은 기간 이오플로우의 주권매매거래는 정지된다. 이날 이오플로우는 이사회를 거쳐 EOPump(Actuator)를 제외한 이오패치 제품의 생산, 마케팅 및 판매 활동에 대해 일시적으로 영업을 정지한다고 공시했다. 영업정지 금액은 2
앨라일람 파마슈티컬(Alnylam Pharmaceuticals)의 TTR RNAi 약물인 ‘온파트로(Onpattro, patisiran)’가 끝내 심근병증 적응증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거절을 당했다. 지난달 온파트로의 심근병증 적응증 승인 여부를 두고 열린 FDA 자문위원회에서 9:3 찬성으로 우호적인 의견을 받았음에도 불구 결국 승인이 거절된 것이다. FDA가 자문위원회의 긍정적인 의견을 뒤집으며 승인을 거절해 업계에 충격을 줬으나, 한편으론 그럴만한 결과로도 받아들여지는 모습이다. FDA는 자문위원회가 열
앱티스(AbTis)는 6일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글로벌 블록버스터 항체-약물접합체(ADC) 항암제 구성요소 개발’ 과제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과제는 ADC 구성요소인 항체, 링커, 페이로드 개발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통해 글로벌 블록버스터 잠재력을 가진 ADC 선도물질 도출을 목표로 한다. 앱티스는 이번 과제 중 ADC 링커 개발 주관기업으로 선정됐다. 과제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ADC 과제는 KDDF 사업단이 추진하는 ‘ADCaptain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올해 신설됐으며, 이번 ADC 과제를 통
버텍스, ‘AAV 유전자치료제’ 프로그램 “전면 중단”
4월 비상장 바이오투자, '3월이어 또 1곳'..290억 "TPD"
사이러스, 'GSPT1 분해약물' 고형암 개발전략 "근거는?"
아비나스, 화이자 'PROTAC' 3상 '철회'..인력 33% 해고
②FDA "역사적 논란" '사렙타 사례'로 본 규제란?
FDA ‘CBER’ 막스 후임에 '비나이 프라사드' 소장 임명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차바이오 마티카, 美 A&M대와 'CGT 연구개발' 협약
SK바사, '조류독감 백신' 개발 "질병청 사업선정"
온코닉, 스웨덴 제약사와 ‘자큐보’ 판매계약 체결
티움바이오, 'GnRH 길항제' 자궁근종 2상 "주요지표 충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