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앱클론(AbClon)은 미국 특허청(USPTO)으로부터 ‘HER2 어피바디 기반 스위처블(switchable) CAR-T 기술’에 대해 특허등록 결정을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이로써 앱클론은 한국, 캐나다, 중국, 일본, 호주에 이어 미국에서도 독점적 기술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이번에 특허 등록된 기술은 HER2 발현 암세포를 표적하는 면역세포를 필요할 때만 활성화할 수 있게 설계한 스위처블(switchable) CAR-T로, 기존 CAR-T가 가진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차세대 플랫폼이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CAR-T 제품은 7개로 모두 혈액암 치료제이다. CAR-T 치료제는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CRS)과 신경독성(ICANS) 부작용 위험을 수반하고 있고, 암세포가 표적 항원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게 되면 치료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앱클론이 개발한 스위처블 CAR-T 플랫폼 ‘zCAR-T’은 CAR-T 세포가 암세포를 직접 인식하는 대신, 중간에 ‘스위치 분자’가 이를 매개하도록 설계했다. 마치 스위치처럼 필요할 때만 CAR-T 세포를 ‘켜고 끄는(on/off)’ 컨셉이다.
앱클론은 zCAR-T를 활용해 HER2 어피바디 기반 스위처블 CAR-T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난소암 치료제로 전임상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HER2 zCAR-T 후보물질 ‘AT501’에 적용했다.
AT501의 스위치 분자는 2개 파트로 구성된다. 한쪽은 니코틴의 대사물인 코티닌(cotinine)으로 CAR-T 세포와 결합하고, 다른 쪽은 항체의 25분의1 크기의 어피바디(affibody)로 HER2발현 암세포에 결합한다. 스위치 분자는 암세포와 CAR-T 사이에 다리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CAR-T 활성화, 증식, 표적물질 변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부작용이 나타나면 스위치 분자 투여를 중단할 수 있는 개념이다.
앱클론 관계자는 “스위처블 CAR-T 플랫폼‘zCAR-T’가 단일 치료제를 넘어 플랫폼 기반 사업 모델로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며 “다국적 제약사와의 라이선스 계약 및 공동개발 협력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