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정지윤 기자
셀트리온(Celltrion)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이 미국내 처방약 가격을 타국과 동일한 수준으로 인하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과 관련, 이에 대한 영향과 대응전략을 13일 홈페이지 게시했다.
이번에 발표된 행정명령은 미국내 환자가 처방약에 지불하는 가격을 다른 선진국과 동일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한 것으로, 미국 보건복지부(HHS) 장관은 환자가 최혜국(most favored nation, MFN) 가격으로 약을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추진하고 30일내로 제약사에 인하 약가목표를 전달한다는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번 행정명령은 우리에게 더 나은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며 셀트리온에 미칠 것으로 보이는 3가지 기회요인을 제시했다.
우선 중간유통구조 단순화에 따라 바이오시밀러 제조사가 처방급여관리업체(PBM) 등이 아닌 정부와 직접 약가를 협상할 수 있어 제조사에 이익이 될 것으로 셀트리온은 기대하고 있다. PBM을 통하지 않고 환자가 직접 약을 구매하는 프로그램이 추진되면 오리지널 제품 기반의 고수익 제약사들이 PBM 등 중간유통사와 구축한 유통 지배력이 약화될 것으로 이는 바이오시밀러 기업에 있어 시장 확대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셀트리온은 덧붙였다.
아울러 이같은 중간유통 구조 개선으로 고가 의약품의 가격인하가 예상되고 이에 따른 바이오시밀러 처방이 가속화 될 것으로 셀트리온은 예상하고 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현재 미국 보험사 및 PBM 시스템은 고가 오리지널 의약품이 처방집에 우선 등재된 이후 바이오시밀러 제품들 간의 제한된 경쟁을 통해 추가 등재되는 구조로,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간유통사 리베이트는 바이오시밀러 가격이 오리지널 제품 수준으로 높아지게 한다. 회사는 이같은 문제로 미국에서 바이오시밀러 시장 확대 폭이 유럽 대비 미비했으며, 이번에 중간유통 구조가 개선되면 바이오시밀러 처방가격이 인하돼 처방이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바이오시밀러 가격인하 전망에 대해 현재 셀트리온이 미국에 공급하고 있는 바이오시밀러 가격은 유럽 대비 높지 않은 상황이라고 셀트리온은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셀트리온은 발표된 행정명령 중 최혜국 약가로 의약품을 공급하기 위해 병행수입이 활성화될 경우 셀트리온이 기존에 출시하지 않았던 제품을 추가로 선보일 수 있는 포트폴리오 확장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당사는 이번 행정 명령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바이오시밀러 제조사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며 “특히 셀트리온과 같이 미국 현지에서 바이오시밀러를 직판하고 있는 기업에게는 또다른 큰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향후 미국 정부의 구체적인 시행 절차와 정책 방향을 지속적으로 반영하면서 상황 변화에 맞춘 탄력적이고 유연한 전략으로 대응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며 “이를 통해 당사는 주주 여러분의 지속적인 신뢰와 성원에 보답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의료 정책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해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이뤄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