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일라이 릴리(Eli Lilly)와 220억원(1500만달러) 규모의 지분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릴리를 대상으로 보통주 17만5079주를 발행할 예정이며, 발행가액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산정된 주당 12만5900원이다. 미국 반독점개선법(HSR Act) 승인을 받은후, 관련 행정절차가 완료된 뒤 납입...
알테오젠(Alteogen)은 14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누적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
씨어스테크놀로지(Seers Technology)는 14일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올해 ...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신임 약물평가연구센터(CDER) 소장에 오랜 항암제 베테랑인...
에프엔씨티바이오텍(FNCT Biotech)이 CSF3(G-CSF) 항체의 특발성폐섬유증...
HLB 엘레바, 'FGFR2 저해제' 왜 인수? 확장성은?
알테오젠, 3Q 누적 매출액 1514억·영업익 873억
오스코텍, 제노스코 완전 자회사 추진.."정관변경"
에이비엘, 릴리와 220억 전략적 지분투자 계약
룬드벡, 에이프릴 'CD40L 저해제' 1b상서 "PoC 확인"
매사추세츠 공대(MIT) 연구팀 및 하버드대(Harvard)와 MIT가 연계한 라곤연구소(Ragon Institute) 연구팀은 100년 넘게 두번째 백신이 나오지 못했던 결핵(tuberculosis)에서 새로운 타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차세대 결핵백신 개발을 목표로 새로운 T세포 인식항원을 찾기 위해 인간세포를 이용한 면역펩티도믹스(immunopeptidomics) 방법을 사용했다. 면역펩티도믹스는 면역연관 펩타이드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서 새로운 면역치료제 개발을 위한 타깃을 예측 및 발굴하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HLB 엘레바 테라퓨틱스(Elevar Therapeutics)는 새로운 허가단계 에셋으로 내년초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선택적 FGFR2 저해제 ‘리라푸그라티닙(lirafugratinib)’의 허가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현재 담관암(CCA) 치료제로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 경로를 추진하고 있고, 내년 하반기 허가여부가 결정되는 타임라인이다. 특히 오는 2026년은 HLB 엘레바에 중요한 기점이 되는 해다. 리드 프로그램인 VEGFR2 TKI ‘리보세라닙(rivoceranib)’의 간암 1차치료제 허
라이엘 이뮤노파마(Lyell Immunopharma)가 이번에는 중국의 이노베이티브 셀룰러테라퓨틱스(Innovative Cellular Therapeutics, ICT)로부터 GCC 타깃 CAR-T 치료제 에셋을 사들였다. 계약금으로 4000만달러와 라이엘의 주식 190만주가 포함된 딜이다. 라이엘은 지난 2018년 설립 이후 차세대 T세포치료제 스타 바이오텍으로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그러나 GSK와의 TCR-T 파트너십 실패에 이어 ROR1 CAR-T 프로그램 중단 등 난항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라이엘은 지난 2023년부
셀트리온제약(Celltrion Pharm)은 14일 올해 3분기 매출 1382억원, 영업이익 161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각각 7.8%, 18.0% 증가한 수치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에서 분기 사상 최대실적을 경신했다. 영업이익률은 11.7%로 전년보다 1.0%p 상승했다.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기준 매출은 3820억원, 영업이익 42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11.6%, 58.4% 증가했으며, 이미 전년도 연간 영업이익(372억원)을 초과 달성했다. 이번 실적에서는 신규 제품의 빠른 시장 안착 및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갤럭스(Galux)는 14일 이수앱지스(ISU ABXIS)와 AI기반 신약개발 공동연구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이수앱지스의 전주기 신약개발 역량과 갤럭스의 AI신약설계 플랫폼을 결합해서 바이오신약 연구개발 협력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단백질 신약개발의 생산성과 성공가능성을 높일 계획이다. 갤럭스는 AI와 물리화학적 원리를 결합한 독자적 AI 플랫폼 ‘갤럭스디자인(GaluxDesign)’을 보유하고 있다. 특정 질병 타깃 단백질에 최적
HLB그룹은 지난 13일 영국계 자산운용사인 LMR파트너스(LMR Partners)로부터 1억4500만달러(2069억원) 규모의 투자금 전액이 납입됐다고 14일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HLB는 14일 1억4000만달러(1998억원) 규모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했다. HLB생명과학도 이날 500만달러(71억3700만원) 규모의 해외교환사채(EB)를 발행했다. HLB와 HLB생명과학의 BW, EB를 합해 1억4500만달러를 조달하게 됐다. HLB그룹은 앞서 지난 3일 글로벌 투자은행인 UBS를 단독 주관사로, LMR파트너스에
GC녹십자(GC Biopharma)는 14일 수두백신 ‘배리셀라주(Barycela)’의 2도즈(2회 접종) 임상3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베트남 보건부(Vietnam Ministry of Health)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GC녹십자는 앞서 지난 10월 태국에서 승인받은 임상3상과 이번 베트남 임상3상을 오는 2027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이어 오는 2028년부터 수두백신 2도즈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동남아 지역 임상은 미국 머크(MSD)의 수두백신인 ‘바리박스(Varivax)’와 직접 비교평가하기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은 14일 브라질 현지파트너사인 목샤8(Moksha8)과 당뇨병 치료제인 SGLT2 저해제 ‘엔블로정(Envlo, 성분명: Enavogliflozin)’의 중남미 8개국 수출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앞서 대웅제약은 지난 2023년 2월 목샤8과 1096억원 규모의 브라질 및 멕시코 수출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에 대웅제약은 중남미 8개국에 대한 수출계약을 추가로 체결하며, 엔블로의 공급범위를 중남미 10개국으로 넓혔다. 이번 계약규모는 337억원으로, 수출국가는 에콰도르,
오스코텍(Oscotec)이 주주들의 요청에 따라 제노스코(Genosco)를 완전 100% 자회사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경영 투명성을 제고한다. 현재 오스코텍은 제노스코의 지분 59.12%를 보유하고 있다. 오스코텍은 오는 12월5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정관변경, 사외이사, 사내이사 선임 안건 등을 의결할 예정이라고 13일 공시했다. 오스코텍 관계자는 “지금까지 제노스코의 완전 자회사화라는 방향성을 가지고 준비하는 단계였다면, 이제는 오스코텍과 제노스코가 시너지를 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이를 명확히하는
차바이오텍(CHA Biotech)은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매출액이 연결 기준 9217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0% 증가했으며, 역대 분기 최대실적을 나타냈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차바이오텍에 따르면 싱가포르 자회사 연결 편입 효과와 미국·호주·싱가포르 등 글로벌 헬스케어 네트워크 성장이 매출 확대를 이끌었다. 연결 기준 영업손실은 413억원, 당기순손실은 1114억원을 기록했다. 차바이오텍과 종속회사들의 글로벌 헬스케어사업 인프라 투자와 주요 파이프라인 연구개발 투자 등으로 전년대비 손실이 확대됐다
한미사이언스(Hanmi Science)는 오는 17일부터 20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의료기기 박람회 ‘MEDICA 2025’에 참가해 자사의 의료기기 제품과 기술력을 알리고 글로벌 비즈니스를 강화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바이오서저리(Biosurgery) 전문기업 테라시온바이오메디칼이 개발하고, 한미사이언스가 해외 판매권을 보유한 수술용 지혈제 3종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들 제품은 동물 유래 성분을 배제하고 안전성이 입증된 녹말(starch) 기반 소재를 사용한 점과 빠른 지혈효과를 강점이라고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오는 17일 개인 투자자, 애널리스트, 기관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기업설명회(IR)를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오프라인 설명회는 기관 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비공개 진행되며, 온라인 설명회는 회사 공식 유튜브 채널 ‘ABL Bio_에이비엘바이오’를 통해 오후 3시30분부터 송출될 예정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IR을 통해 그랩바디(Grabody) 플랫폼과 DLL4xVEGF 이중항체 'ABL001(tovecimig)',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등 회사의 핵심 사업영역에 대
국내 백신 전문기업 유바이오로직스(Eu Biologics)는 개발한 장티푸스 접합백신 ‘유티프씨®(EuTYPH-C inj®)’의 아프리카에서 진행한 임상3상 결과가 국제학술지 ‘란셋 글로벌헬스(Lancet Global Health, IF: 18.0)’ 12월호에 공개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임상3상은 실제 공급 대상국인 아프리카 현지에서 수행했다. 세네갈과 케냐에서 만 6개월~45세 대상자 321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임상은 국제보건기관 PATH가 협업하고 라이트재단(RIGHT Foundation)이 연구비를 지원했다. 회
전체 기사보기
씨어스, 3분기 매출 157억·영업이익 67억 "역대최대"
FNCT, 新타깃 ‘CSF3 항체’ IPF 전임상 “논문 게재”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광동제약, 경영총괄 사장에 박상영 부사장 승진
[인사]일동제약 임원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