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팜캐드(PharmCADD)는 31일 시리즈B로 173억원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리즈B에는 기존 투자자인 KTB네트워크, 데일리파트너스를 비롯하여 DSC인베스트먼트, KB증권, 산은캐피탈, 메이플투자파트너스와 휴온스, 삼양홀딩스, 에스디바이오센서가 전략적 투자자로써 참여했다. 파뮬레이터(PharmulatorTM)는 △단백질 구조예측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MD) △양자계산 △독성예측 △AI 약물생산(drug generation)의 5개 모듈로 구성된다. 파뮬레이터는 독성을 최소화한 신약후보물질 발굴과 PROTAC
셀트리온그룹은 31일 전문경영인 체제 구축을 위한 조직 개편 및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발표했다. 셀트리온그룹은 기우성 셀트리온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한 전문경영인 체제를 공고히 하고 향후 회사의 미래를 이끌어 갈 내부 전문가들을 승진시키며 조직확립에 나섰다. 또 중국법인에는 사장급 대표이사를 파견해 코로나19 사태로 연기됐던 중국 진출에 재시동을 걸 계획이다. ◇사장 ▲윤정원 (중국법인 대표이사) ▲오명근 (중국법인 대표이사) ◇전무 ▲구윤모 (엔지니어링본부장) ▲이수영 (신약연구본부장) ◇ 상무 ▲박재휘 (허가본부장) ▲송수은
이뮨온시아(Immunoncia)는 31일 중국 3D메디슨(3D Medicines)과 총 4억7050만 달러(약 5400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이뮨온시아는 3D메디슨으로부터 계약금 800만 달러(약 92억원)에 더해 중국 지역 내 임상개발 허가, 상업화, 판매에 따른 마일스톤으로 총 4억 6250만 달러(약 5320억원)의 기술료를 수령하게 된다. 이와 별도로 매출액에 따라 단계별로 최대 두 자릿수의 경상기술료도 지급받는다. 이뮨온시아는 3D메디슨에 CD47 항체 항암신약 후보물질 ‘IMC-0
현재 글로벌 항암제 신약개발 분야에서 화두는 뭘까? 올해 중요한 마일스톤으로 8월 중순까지 첫 KRAS 저해제로 암젠 ‘소토라십(sotorasib)’의 미국 시판허가 여부가 결정된다. 최근 CD19를 넘어 새로운 타깃 BCMA CAR-T가 시판허가를 받았으며, 잇따른 면역항암제 임상 실패 소식 와중에 LAG-3가 임상3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전했다. 지난해 로슈가 긍정적인 임상2상 결과를 알린 TIGIT 면역항암제에도 이목이 쏠려있다. 여기서 한 걸음 나아가, 향후 1~2년간 더 초기 단계의 항암제 개발에서 어떤 흐름을 주목해야할
에이치엘비그룹은 31일 CAR-T 치료제 개발사인 베리스모 테라퓨틱스(Verismo Therapeutics)의 최대주주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에이치엘비그룹은 에이치엘비제약이 1000만달러, 에이치엘비가 500만달러를 투자해 베리스모 지분을 각각 20%, 10%를 확보했다. 향후 지분투자에 대한 우선적권리(First right of refusal)를 보유했다. 에이치엘비그룹은 이번 지분 확보를 통해 베리스모의 경영에 참여할 예정이다. 에이치엘비제약은 베리스모로부터 중장기적으로 국내 및 아시아 지역의 CAR-T 생산 및 판매에 대한
SK바이오팜(SK Biopharm)이 자체 개발한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cenobamate)’가 30일(현지시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로부터 판매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국내 제약사가 독자 개발한 혁신 신약이 유럽 허가를 획득한데 이어 미국·유럽 시장에 모두 진출한 사례는 세노바메이트가 최초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SK바이오팜은 지난해 5월 '엑스코프리(XCOPRI®)'라는 제품명으로 미국 직판에 돌입했으며, 유럽은 파트너사 안젤리니파마를 통한 상업화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허가 획득
아이오니스 파마슈티컬(Ionis Pharmaceuticals)의 안티센스 신약이 유전성 혈관부종(hereditary angioedema, HAE)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혈관부종, HAE 발작(HAE attack) 빈도를 크게 낮춘 결과를 내놨다. 아이오니스는 지난 29일(현지시간) HAE 안티센스 신약 ‘IONIS-PKK-LRx’가 임상 2상에서 HAE 환자에게 자주 발생하는 HAE 발작 빈도를 90~97%까지 감소시켜 1차 및 2차 종결점을 모두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임상은 20명의 타입1 및 타입2 HAE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
휴머니젠(Humanigen)이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들에게서 무(無)인공호흡기 생존률(ventilatior-free survival, VFS)을 54% 개선한 결과를 내놨다. 특히, 저산소증을 나타내지만 인공호흡기(IMV)가 필요하진 않은 코로나19 환자들에게 효과적이란 설명이다. 휴머니젠은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들에게 GM-CSF(granulocyt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항체 ‘렌질루맙(lenzilumab)’을 투여했다. GM-CSF는 사이토카인의 일종으로 렌질루맙은 이를 중화
자이로스코프 테라퓨틱스(Gyroscope Therapeutics)는 26일 시리즈C로 1억48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포비온(Forbion) 성장펀드(Growth Opportunities Fund)가 주도해 이뤄졌으며, 테트라곤 금융그룹(Tetragon Financial group), 포선파마, 캠브릿지(Cambridge innovation capital) 소피노바 인베스트(Sofinnova Investment) 등이 참여했다. 자이로스코프는 이번 투자금으로 지도모양위축증(geographic atrophy, G
이오플로우(Eoflow)가 한번 부착으로 3.5일간 인슐린을 투여하는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 ‘이오패치(EOPatch)’를 내놨다. 이오패치는 웨어러블 형태의 일회용 인슐린 펌프로서 인슐린이 필요한 당뇨병 환자들이 혈당관리를 위해 인슐린을 지속 투여하는 데 사용되는 체외용 인슐린 주입기다. 기존 인슐린 펌프보다 사용 편의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했다는 설명이다. 구체적으로 이오패치는 △주입선이 없고 △쉬운 바늘삽입 △작은 크기&가벼운 무게 △방수 설계 △한번 부착 후 약 3.5일간 사용 등의 편리한 기능을 갖췄다. 김재진 이오플로우 대표
국전약품은 샤페론(Shaperon)과 염증복합체 억제제 ‘뉴세린(NuCerin®)’에 대한 기술이전(L/I)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뉴세린은 샤페론이 개발한 GPCR(G protein–coupled receptor) 수용체를 타깃으로 하는 경구용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발표에 따르면 국전약품은 이번 기술이전 계약으로 뉴세린의 국내 독점 개발권을 확보했다. 샤페론은 계약에 따라 국전약품으로부터 정액기술료와 향후 판매실적에 따른 추가 로열티를 받게 된다. 계약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뉴세린은 알츠하이머 치매의 주요 원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30일 고위공무원단 인사를 다음과 같이 단행하겠다고 발표했다. 발령일자는 3월 31일이다. ◇ 승진 ▲차장 김진석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장 서경원 ◇ 전보 ▲기획조정관 한상배 ▲식품안전정책국장 이승용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약품심사부장 박윤주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장 손수정
배신규 엠디뮨 대표는 “원하는 사람에게, 원하는 약물을, 원하는 곳에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를 위해 엑소좀(exosome)과 유사한 세포유래 소포체(cell-derived vesicle, CDV)를 이용한 ‘바이오드론(Biodrone)’ 약물전달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지난 2015년 설립된 엠디뮨은 세포유래 소포체(CDV) 이용한 바이오드론 플랫폼 기술과 이를 이용한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배 대표는 “CDV는 엑소좀과 유사하면서도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중국 차임 바이오로직스(Chime Biologics)가 1억9000만달러의 시리즈A+ 투자유치를 완료했다. 지난해 2월 시리즈A로 1억2500만달러를 모금한지 1년만이다. 글로벌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기업인 차임은 현재 임상/상업용 GMP 생산을 위해 4개의 2000L 바이오리액터와 2개의 500L 1회용 바이오리액터 등 총 9000L의 생산 용량을 확보하고 있다. 차임은 총 생산용량을 2022년까지 2만7000L, 2024년까지 14만리터로 확장할
비네티(Vineti)는 개인 맞춤형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의 생산 및 물류 안전성 확립을 위한 협업에 8개의 바이오제약회사가 참여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업에 참여한 회사는 노바티스(Novartis), 다케다(Takeda), 제넨텍(Genentech), 어댑티뮨(Adaptimmune), 아킬레스(Achilles therapeutics), 마커(Marker therapeutics), 팩트(PACT pharma), 테사(Tessa therapeutics)다. 비네티는 개인 맞춤형 치료제의 워크플로우(work flow)에 도움을
제넥신(Genexine)이 29일 본사에서 정기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열어 성영철 회장과 우정원 사장을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각자 대표이사 체제로 제넥신을 운영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임 우정원 대표이사는 지난 2013년부터 제넥신에서 임상개발실장, 사업개발실장, 단백질생산기술 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올초에는 사장에 선임돼 회사 전반을 이끌고 있다. 또한 이날 주총에서는 홍성준 부사장을 사내이사로, 아이맵 바이오파마의 닐 와마(Neil Warma) 미국 지사장(General Manager)을 사외이사로, 김영진 한독 회장을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
셀비온, ‘PSMA RPT’+키트루다 “국내 1상 IND 승인”
뉴라클제네틱스, '저용량 AAV' wAMD 1/2상 "첫 공개"
PMV, ‘p53 재활성제’ 고형암 2상 “ORR 33%”
아이디야, '합성치사' MAT2A+트로델비 방광암 "히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프로메디우스, 중기부 '스케일업 팁스' 과제 선정
뉴로핏, '뉴로핏 아쿠아AD 플러스' 혁신의료기술 선정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와 '어나프라주' 공동 프로모션
대웅제약, 광주시와 AI헬스케어 산업육성 업무협약
네오이뮨텍, 유상증자 472억 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