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아이이노베이션(GI Innovation)이 2년반전 유한양행에 글로벌 권리(일본제외)를 라이선스아웃(L/O)한 알러지 치료제 후보물질 IgE Trap ‘GI-301(YH35324)’의 임상1상 결과를 공개했다. 아토피나 경증 알러지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1상에서 GI-301이 기존 블록버스터 제품인 ‘졸레어(Xolair, omalizumab)’보다 높은 효능을 가질 가능성을 확인했다. 유한양행은 GI-301을 사들인 후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임상1상을 진행했으며, 임상1상 데이터가 첫 발표된 것이다. 유한양행은 GI-3
일동제약그룹의 지주회사인 일동홀딩스는 9일 박대창 대표이사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했다고 발표했다. 박대창 대표이사 부회장은 제물포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약대에서 제약학을 전공, 학사 학위와 약사 면허를 취득했다. 박 부회장은 지난 1978년 일동제약(현 일동홀딩스)에 입사해 생산·영업·기획·전략·구매 등 회사 내 주요 분야를 두루 경험했다. 그는 2002년 상무이사에 오른 뒤 안성공장장, 생산부문장(전무이사) 등을 거쳤으며 2018년 일동제약그룹의 지주회사인 일동홀딩스 사장으로 취임해 회사를 이끌어 왔다.
GC셀(GC cell)은 9일 최고기술책임자(CTO)로 김호원 전 K2B 테라퓨틱스(K2B Therapeutics) 최고과학연구책임자(CSO)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김호원 신임 CTO는 R&D, 임상, 사업개발을 총괄하게 된다. 김 CTO는 서울대 약대를 졸업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면역학을 전공으로 석사를 마치고 미국 UCLA의대에서 생화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스템전트(Stemgent), 오리진(ORIG3N), 스템셀 테크놀로지(STEMCELL Technologies) 등 글로벌 바이오텍에서 세포치료 연구를 주도했다고 GC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이 지난 5일부터 8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IT·가전전시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3에 첫 참가해 뇌전증 웨어러블 디바이스 5종을 소개했다고 9일 밝혔다. SK바이오팜은 4일간의 전시회 기간 중 자체 개발중인 뇌전증 환자들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5종을 전시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SK바이오팜은 CES 첫 참가에서 CES 혁신상(Innovation Awards)을 수상하고, 글로벌 협력사인 디지털치료제 기업과의 현장미팅을 가지는 등 디지
셀트리온(Celltrion)은 9일 미국 산호세(San Jose)에 소재 바이오텍 라니 테라퓨틱스(Rani Therapeutics)와 경구형 우스테키누맙(Ustekinumab)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셀트리온은 라니 테라퓨틱스에 경구형 우스테키누맙(RT-111) 비임상과 임상1상에 필요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CT-P43(ustekinumab)’을 독점공급하며 향후 글로벌 개발 및 판매권(Global License)에 대한 우선협상권을 갖게 된다. 양사는 계약금 등 상세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라니
에자이(Eisai)가 기다렸다는 듯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알츠하이머병(AD) 치료제로 ‘레카네맙(lecanemab)’의 가속승인을 결정한 당일, 곧바로 정식승인 신청서를 제출했다. 에자이는 지난 6일(현지시간) FDA에 레카네맙의 가속승인을 받았다고 발표한데 이어, 정식승인 전환을 뒷받침하는 추가 생물의약품 허가신청서(sBLA)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에자이와 바이오젠(Biogen)은 2번째 알츠하이머병 신약 출시라는 승자의 여유를 누릴 틈도 없이, 긴장감을 잃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다음 단계를 밟고 있다. 알츠하이머
Biogen and Eisai's 'unbreakable will' succeeded in marketing the second Alzheimer's disease treatment. This is a huge step forward since the release of the first Alzheimer's disease treatment, Adulehm (aducanumab), a year and a half ago. After the release of Arduhelm, Biogen was pushed to the brink
바이오젠(Biogen)과 에자이(Eisai)의 '꺾이지 않는 의지'가 2번째 알츠하이머병(AD) 치료제 시판을 성공시켰다. 1년반전 첫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아두헬름(Aduhelm, aducanumab)’이 출시된 이후 큰 진전이다. 바이오젠은 아두헬름 출시후 효능과 안전성 논란이 상업적 실패로 이어지면서 벼랑 끝까지 몰렸지만, 이번 2번째 AD 약물 시판은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에자이와 바이오젠은 6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경도인지장애(MCI) 내지 경증 단계의 초기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아밀로
핀테라퓨틱스(Pin Therapeutics)은 지난달 30일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s)과 표적단백질분해(Target Protein Degradation, TPD) 신약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대웅제약은 핀테라퓨틱스에 계약금과 향후 개발 등에 따른 마일스톤을 지급하게 된다. 구체적인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대웅제약은 핀테라퓨틱스의 E3 리가아제(E3 ligase) 기반 ‘PinE3’ 플랫폼을 활용한 TPD 약물 공동개발 초기 발굴(discovery) 단계부터 참여한다. 핀테라퓨틱스에
암젠(Amgen)이 시나픽스(Synaffix)와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을 위해 20억달러 규모 옵션 딜을 맺었다. 지난달 국내 레고켐바이오(LegoChem Biosciences)와 5개 타깃에 대한 ADC 개발을 위해 12억4700만달러 규모의 계약을 맺은지 채 2주도 지나지않아 이뤄진 딜로 ADC에 대한 암젠의 관심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시나픽스는 5일(현지시간) 암젠과 ADC 개발을 위해 20억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암젠은 시나픽스에 계약금, 프로그램 선정(nomination), 마일
로이반트(Roivant Science)가 TL1A 항체 ‘RVT-3101’로 진행한 궤양성대장염(UC) 임상2b상에서 환자의 32%가 임상적 관해를 보인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RVT-3101은 지난해 12월 로이반트가 화이자(Pfizer)로부터 도입한 약물이다. 로이반트는 화이자와 함께 신규 반트(-Vant)를 설립해 RVT-3101의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하고 있다. 신규 반트사는 미국과 일본에서 RVT-3101의 상업화 권리를 보유한다. 로이반트 외에도 일라이릴리(Eli Lilly), 화이자 등이 궤양성대장염 약물개발 소식
프리메라 테라퓨틱스(Primera Therapeutics)가 미토콘드리아의 DNA(mtDNA)를 직접 편집하는 컨셉의 인비보(in vivo)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2세대 유전자가위 탈렌(TALEN) 기술을 가진 셀렉티스(Cellectis)와 딜을 체결했다. 셀렉티스는 지난 2011년 미네소타대(University of Minnesota)로부터 탈렌에 대한 독점적인 라이선스를 들여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기술을 바탕으로 동종유래 T세포 치료제로 앞서가는 그룹이다. 프리메라는 메이플라워 바이오벤처스(Mayflower B
프로티움사이언스(Protium Science)가 다중항체(Multispecific antibody) 플랫폼기반 신약개발 전문회사인 머스트바이오(MUSTBIO)와 면역항암제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위탁개발(CDO)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위탁개발(CDO) 계약에 따라 프로티움은 머스트바이오의 다중항체 기반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세포주 개발부터 배양, 정제, 분석, 독성시험을 위한 물질 생산 등 공정개발 전분야에 대한 CDO 서비스를 제공한다. 머스트바이오는 생산성을 향상시킨 비대칭(Asymmetric) 다중항체 플랫폼 ‘빅
싱가포르 허밍버드 바이오사이언스(Hummingbird Bioscience)는 4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시나픽스(Synaffix)와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을 위해 1억5000만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허밍버드는 자체 개발한 항체에 시나픽스의 ADC 플랫폼을 결합해 신규 ADC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가 개발한 HER2 ADC ‘엔허투(Enhertu)’의 여파일까? 지난 한달동안 ADC 분야에서 연이은 딜 소식이 알려지면서 관심이 이전
일라이릴리(Eli Lilly)의 자회사인 프리베일(Prevail Therapeutics)이 캡시다 바이오테라퓨틱스(Capsida Biotherapeutics)와 7억4000만달러 규모로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AAV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본격화했다. 릴리는 지난 2020년 프리베일을 8억8000만달러에 인수하며 신경질환 부분의 AAV 유전자치료제 개발에 뛰어들었다. 프리베일은 GBA1 돌연변이로 인한 파킨슨병(PD), 고셔병(neuronopathic gaucher disease, nGD) 등에 대한 AAV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베라 테라퓨틱스(Vera therapeutics)가 여러 면역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의 개발에서 실패를 거듭해왔던 ‘아타시셉트(atacicept)’의 IgA신증(IgA Nephropathy) 임상2b상에서 신기능을 개선한 긍정적 결과를 내놨다. 아타시셉트는 당초 자이모제네틱스(ZymoGenetics)와 세로노(Serono)가 공동개발하던 약물이었다. 독일 머크(Merck KGaA)는 지난 2006년 세로노를 인수하고 나서 2008년 자이모제네틱스로부터 아타시셉트에 대한 모든 권리를 확보하며 개발을 이어왔다. 이 과정에서 아타시셉트는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SMC 임상의 6人 'ADC 현장'서 본 "4가지 인사이트"
라포, ‘TARPγ8’ 뇌전증 첫 PoC “기대이상, 주가 폭등”
'신생 엑소좀' 인텐트, 화이자 前사장 CEO로 합류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HLB라이프케어, 연세대와 ‘AI 디지털헬스케어’ MOU
큐로셀,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대통령표창 수상
유한양행,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