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이자로부터 스핀아웃한 신경질환 전문 바이오텍 세러벨(Cerevel therapeutics)이 조현병 신약 후보물질 ‘CVL-231’로 진행한 임상1b상에서 좋은 효능과 안전성을 보여줬다. 이 발표에 세러벨의 주가는 136% 급등했다. 세러벨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CVL-231로 진행한 조현병 임상1b상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세러벨은 현재 CVL-231의 안전성, 약동학(PK), 약력학(PD)을 보기위한 조현병 임상1b상을 진행하고 있다(NCT04136873). 임상에 참여한 81명의 조현병 환자들은 CVL
CAR-T 세포치료제가 ‘더 초기의’ 환자 대상 치료제로 옮겨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임상 데이터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초기로 갈수록 더 많은 환자들을 살릴 수 있다. 길리어드(Gilead) 자회사 카이트(Kite)는 지난 28일(현지시간) 재발성 또는 불응성 거대B세포림프종(LBCL) 2차 치료제 세팅에서 CD19 CAR-T ‘예스카타(Yescarta, axicabtagene ciloleucel)’와 표준치료법(SoC)를 비교한 ZUMA-7 임상3상 탑라인 결과 1차 충족점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카이트는 이 결과를 바탕
Ex-vivo CRISPR 유전자편집 기술을 이용한 약물을 개발하는 그라파이트(Graphite Bio)가 나스닥 시장에 기업공개(IPO)하며 2억3800만달러를 조달했다. 주당 공모가는 17달러로 총 상장 주식수는 1437만5000주다. 그라파이트의 주식은 지난 25일(현지시간)부터 ‘GRPH’란 티커로 거래가 시작됐다. 그라파이트는 환자의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 HSC)를 이용 체외에서 CRISPR 유전자편집 기술로 질병 원인 유전자를 교정해 치료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CRISPR을 이용해 질
CRISPR 분야의 중요한 진전이 일어났다. CRISPR/Cas9을 체내로 주입해 환자의 유전자를 직접 편집하는 것이 치료 효능을 나타내며, 안전하다는 첫 임상 결과가 나왔다. 특히 약물을 고용량을 투여하고 28일째 표적 질병 단백질을 평균 87%, 최대 96%까지 줄였다. 이 결과를 발표한 것은 지난해 CRISPR 기술로 노벨상을 수상한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 교수가 설립한 인텔리아 테라퓨틱스(Intellia Therapeutics)로 CRISPR을 체내로 전달하는 in vivo 방식을 환자에게서 처음으로
비만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LGI3(Leucine rich repeat LGI family member 3)의 펩타이드를 투여해 동물실험에서 비만 치료 효능을 확인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연구팀은 LGI3의 활성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스크리닝하고, LGI3 펩타이드를 투여한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체중 및 혈중 지수 개선을 확인했다. 윤혜영 중앙대 교수는 지난 24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12회 바이오파마 테크콘서트에서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치료용 조성물'을 주제로 기술발표를 진행했다. LGI3는
세계 최대 사모투자펀드(PEF)인 블랙스톤(Blackstone)이 지난해 46억달러의 생명과학 펀드 조성을 발표한지 1년만에 새로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블랙스톤은 인텔리아(Intellia), 셀렉스(Cellex)와 함께 면역항암제와 자가면역질환 타깃 동종유래·유니버설 CAR-T 치료제 개발에 포커스하는 회사를 출범했다고 지난 22일(현지시간) 밝혔다. 앞서 펀드조성 당시 블랙스톤은 기존 생명과학 회사와 전략적 협력, 후기제품, 새로운 기술을 가진 회사 등 3가지 분야에 투자하기로 했다. 블랙스톤은 펀드 조성에 앞서 RNAi 회
BMS(Bristol Myers Squibb)가 다시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퇴행성뇌질환을 타깃하는 타우(tau) 항체 개발 대열에 합류한다. 타우는 아밀로이드베타(Aβ)와 함께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서 가장 두드러지는 병리 단백질이다. BMS는 2010년대 초중반에 한때 아밀로이드 타깃 약물을 활발하게 개발해온 빅파마 중 하나였지만, 점차 면역항암제와 면역학 등 질환에 집중하면서 우선순위를 바꿔나갔다. 현재 임상개발 단계의 알츠하이머병 에셋이 없다. BMS는 4년전 바이오젠에 임상2상 단계의 타우 항체를 계약금 3억달러에 라이선스아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의 향후 개발 계획과 관련하여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C타입 미팅(Type C Meeting)의 서면 회신을 수령했다고 28일 공시했다. C타입 미팅은 신약 개발 과정에서 임상시험 개발사 요청에 의해 진행되는 회의다. BBT-877은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제로 개발하는 오토택신 저해제(autotaxin inhibitor)다. 2년전 베링거인겔하임에 기술이전
남태규 한양대 약학대학 교수는 지난 24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 12회 바이오파마 테크콘서트에서 ‘T세포 분화저해 작용을 통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라는 주제로 기술발표를 진행했다. 이번 기술발표에서 남 교수 연구팀은 선행연구를 통해 발굴한 T세포 분화저해 후보물질 ‘A-9(저분자화합물)’와 A-9의 유효성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면역시스템은 T세포, B세포, 자연살해세포(NK cell)로 이루어진 림프구 세포군과 대식세포(Phagocytes) 등 다양한 면역세포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나 림프구 세포 중 일부 T세포는 특이적 분화를
인사이트(Incyte)의 PD-1항체 ‘레티판리맙(retifanlimab)’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위로부터 항문관 편평세포암(SCAC)에 대해 승인보류를 권고받았다. FDA 자문위는 14%의 낮은 반응률(ORR), 안전성, 적절한 임상참여 환자의 부족 등을 이유로 들며, 인사이트가 현재 진행 중인 레티판리맙의 임상 3상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레티판리맙 임상 3상 탑라인 결과는 2024년 발표될 예정이다. 인사이트는 지난 24일(현지시간) PD-1 항체 레티판리맙에 대해 FDA 자문위가 승인을 13:4로
이번달 7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병리 바이오마커를 기반으로 아밀로이드베타(Aβ) 항체 ‘아두헬름(Aduhelm, aducanumab)’의 시판허가라는 파격적인 결정을 내리자, 그 여파가 알츠하이머병 업계 전반에 새로운 물결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파급력은 어느정도 예상됐던 바이기도 하다. 최근 FDA가 발표한 아두헬름 시판허가를 결정한 근거를 담은 내부 문서에서도 FDA가 다른 아밀로이드베타에 대해 고려하고 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해당 문서에서 피터 스테인(Peter Stein) 약물평가연구센터(CDER) 책임자는 아밀
알부민(albumin)-시스플라틴(cisplatin) 복합체가 SPARC(Secreted Protein And Rich in Cysteine) 단백질 과발현 종양의 치료제로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알부민-시스플라틴 복합체는 기존 시스플라틴의 항암 효능은 유지하면서 신장 독성은 낮췄다. 강건욱 서울대 의대 교수는 24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 12회 바이오파마 테크콘서트에서 ‘SPARC를 발현하는 암의 치료용 조성물’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강 교수는 “우리 연구팀은 신장독성이나 신경독성 등 독성이 심한 항암제인
중국에서 첫 CAR-T 치료제가 나온다. 중국 최초의 CAR-T로 이름을 올린 것은 길리어드의 자가유래(autologous) CD19 CAR-T ‘예스카타(Yescarta)’로 중국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기관 임상 결과가 뒷받침됐다. 길리어드 카이트(Kite)와 상하이 포순파마슈티컬(Shanghai Fosun Pharmaceutical)의 중국 합작법인(JV) 포순카이트 바이오테크놀로지(Fosun Kite Biotechnology)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이전 2개 이상의 전신 치료를 받고 재발한 거대B세포림프
'처방 디지털치료제(Prescription Digital Therapeutics, PDTs)'라는 새로운 분야를 만들어낸 페어테라퓨틱스(Pear therapeutics)가 스팩(SPAC) 합병을 통해 미국 나스닥시장에 상장한다. 페어는 22일(현지시간) 기업인수목적회사(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SPAC)인 팀블포인트(Thimble Point Acquisition Corp)와 인수합병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페어는 이번 거래로 약 4억5000만달러의 현금을 확보하게 됐다.
유한양행(Yuhan Corporation)이 지속형 비만치료제 신약으로 개발중인 'YH34160'의 전임상 효능 결과를 국제 학술대회에서 발표한다. 유한양행은 2022년 전임상 독성시험 완료를 목표로 개발 중이다. 유한양행은 이번 결과를 25일부터 29일(현지시간)까지 열리는 미국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포스터세션에서 발표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된 초록은 22일(미국 현지시간)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먼저 공개됐다. GDF15(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1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는 23일 허혈-재관류손상으로 인한 급성신손장(IRI-AKI) 치료에 엑소좀을 이용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Kidney International’에 게재됐다고 밝혔다(doi.org/10.1016/j.kint.2021.04.039). 급성신손상(acute kidney injury, AKI)은 급성세뇨관 괴사, 간질성 신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해 영구적인 신장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매년 약 100만명의 환자가 새롭게 진단받고 있다. 특히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 중 30%는 허혈-재관류손상(is
리듬, LG화학 '경구 MC4R' 희귀비만 2상 "긍정적"
퓨쳐켐, ‘전립선암 진단’ 방사성 국내 3상 “최종결과”
노바티스, 시로낙스와 'BBB플랫폼' 1.75억弗 옵션딜
롯데바이오, 앱티스와 차세대 ‘ADC 툴박스’ MOU
비원, ‘분해약물’ 공격적 베팅..”파이프라인 23개 공개"
코리젠, 9339만弗 펀딩..'SRC-3 녹아웃' Treg 개발
리가켐, '델파졸리드' 결핵약 안전성 개선 "란셋 게재"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CJ바이오사이언스, 윤상배 대표 내정.."천종식 고문"
HLB제약, 중앙연구소장에 강성권 박사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프로젠, 'GLP-1/GLP-2' 당뇨·비만 "EASD 구두발표"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6개월↑소아 "FDA 확대승인"
비보존제약,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 출정식
GC지놈, '다중암 진단' 췌장암 임상결과 亞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