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와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공동개발한 ROR1 ADC를 라이선스인한 중국 시스톤파마슈티컬(Cstone Pharmaceuticals)이 오는 하반기 ROR1 ADC ‘CS5001(Cstone 프로젝트명)’의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할 예정이다. 드디어 미국 머크(MSD)와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 BI)에 이은 임상개발 프로젝트로, 고형암과 혈액암에서 ‘ROR1 ADC 시장 선점’을 둘러싼 본격적인 개발 경쟁이 시작되는 것이다. 시스톤은
메드팩토(Medpacto)가 BAG2를 억제해 유방암의 전이(metastasis)와 재발(recurrence)를 감소시킨 마우스모델 연구결과를 내놨다. 메드팩토는 삼중음성유방암(TNBC) 환자에서 높게 발현되는 BAG2를 억제하면 유방암의 재발 및 전이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메드팩토는 현재 삼중음성유방암(TNBC)에 대한 BAG2 항체 ‘MA-B2’와 BAG2 진단키트 ‘MO-B2’를 동반진단 컨셉으로 개발 중이다. 메드팩토는 지난 9일부터 14일(현지시간)까지 온라인으로 열린 미국 미국암연구학회(
디앤디파마텍은 28일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NLY01’이 알츠하이머 마우스 모델에서 인지능력과 기억력을 개선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Acta Neuropathologica Communications’에 게재했다고 밝혔다(doi.org/10.1186/s40478-021-01180-z).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으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는 미세아교세포(microglia)를 활성화하고, 염증성 싸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분비를 촉진한다. 미세아교세포의 활성과 사이토카인의 분비는 성상교세포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자체 개발한 항체-약물 접합체(ADC) 플랫폼의 주요 실험결과가 SCI급 국제학술지인 ‘mAbs' 저널에 게재됐다고 28일 발표했다. 최근 긍정적인 항암 효능에 기반해 ADC 약물이 잇따라 미국 시장에 시판되고 있다. 다만 ADC는 항체를 매개로 종양조직에 독성약물(cytotoxic drug)을 전달하는 컨셉으로, 독성약물로 인한 'off-target' 독성 등 이슈가 있어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용량범위가 제한적이다. 에이비엘바이오의 ADC 플랫폼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알지노믹스(Rznomics)가 원발성 진행성 간암을 치료하는 새로운 전략으로, RNA 치환효소 ‘트랜스-스플라이싱 라이보자임(trans-splicing ribozyme)’ 플랫폼을 기반으로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사멸시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알지노믹스는 이 기술이 적용된 간암 치료제 후보물질 ‘RZ-001’에 대해, 올해 국내와 미국에서 임상에 들어가기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할 예정이다. 알지노믹스는 28일 셀 프레스(Cell press)에서 발간하며, 유전자세포치료제 분야 권위학회 미국유전자세포치료학회 (ASGCT)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가속승인을 통해 적응증을 받은 면역항암제(IO)의 최종승인을 논의하기 위해 FDA 자문위원회 회의(Advisory Committee meeting, adcom)가 3일동안 열린다. 작년부터 머크(MSD), BMS(Bristol Myers Squibb), 로슈(Roche) 및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등의 빅파마가 가속승인을 받은 면역항암제를 대상으로 폐암, 방광암 등 적응증의 ‘자진철회’를 연달아 발표한 바 있어, 이번 자문위 회의에서 아직 철회 발표를 내놓지 않은 키트루다 옵디보 등 블록버
비마약성 진통제로 우수한 약물 프로파일을 가진 소듐채널 NaV1.8 저해제를 개발하기 위한 버텍스 파마슈티컬(Vertex Pharmaceuticals)의 집념은 계속된다. 버텍스는 26일(현지시간) 오는 하반기 급성통증(acute pain) 환자를 대상으로 선택적인(selective) 경구용 NaV1.8 저해제 ‘VX-548’의 개념입증(proof-of-concept, PoC) 임상2상에 들어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버텍스의 이번 임상2상 진입 결정은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확인한 VX-548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적(PK)
바이로큐어(Virocure)가 지난 9일부터 14일(현지시간)까지 온라인으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1에서 항암바이러스(oncolytic virus) 'RC402'의 면역활성화 및 항암 효능에 대한 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바이로큐어가 최초로 개발한 ‘경구 투여용’ 항암바이러스에 대한 전임상 결과이기도 하다. 바이로큐어의 RC402는 리오바이러스(Reovirus) 기반의 항암바이러스다. 바이로큐어는 RC402를 기존 종양주사 투여법에서 리오바이러스의 감염 특이성을 활용해 경구투여용으로 개량했다. 기존 항암
세포내 커다란 응집체를 먹어치우는 자가포식(autophagy)과는 다소 생소한 개념의 ‘샤페론 매개 자가포식(chaperone-mediated autophagy, CMA)’을 활성화해 알츠하이머병(AD)을 치료할 가능성을 보여줄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알츠하이머병 모델에서 샤페론 매개 자가포식이 활성화되자 뉴런내 단백질체 구성이 독성 단백질을 만들기 쉬운 형태에서 정상으로 바뀌었다. 미국 알버트아이슈타인 의과대학(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안나 마리아 쿠엘보(Ana Maria Cuervo
ADC 테라퓨틱스(ADC Therapeutics)의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치료제 ‘진론타(Zynlonta, loncastuximab tesirine-lpyl)’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시판허가를 받아, 예후가 좋지않은 재발/난치성 DLBCL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ADC 테라퓨틱스는 23일(현지시간) ‘진론타’가 DLBCL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이번 승인은 FDA의 가속승인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진론타는
낭포성섬유증(cystic fibrosis) 치료제 선두주자 버텍스파마슈티컬(Vertex Pharmaceuticals)이 다음 단계로 도약하기 위한 키워드로, 유전자편집 CRISPR 기술에 베팅하고 있다. 버텍스는 이틀 간격으로 각각 ‘임상 단계의 CRISPR 신약’과 ‘차세대 CRISPR’를 확보하기 위한 딜을 잇따라 체결했다. 2개 딜의 총 규모만 25억달러에 이른다. 버텍스는 낭포성섬유성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버텍스는 2012년 첫 제품인 ‘칼리데코(Kalydeco)’를 시작으로 2019년 10월 4번째 낭
GSK(GlaxoSmithKline)도 PD-1 면역관문억제제 ‘젬펄리(Jemperli, dostarlimab-gxly)’의 시판을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허가받았다. 7번째 PD-(L)1 면역항암제의 등장이다. 뒤늦게 PD-(L)1 면역항암제 시장에 합류하게 된 GSK 젬펄리는 이 시장에서 향후 어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GSK가 22일(현지시간) 미국 FDA로부터 PD-1 항체 젬펄리를 자궁내막암 치료제로 승인받았다고 발표했다. 이번 승인은 FDA의 가속승인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젬펄리의 최종
블루버드 바이오(Bluebird Bio)는 겸상적혈구병(sickle cell disease, SCD)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bb1111’이 임상중에 발생한 혈액암 발병과 관련이 없다고 발표하며 부작용 이슈를 잠재웠다. 지난 2월 블루버드는 bb1111로 진행한 임상에서 2건의 혈액암이 발생해 임상을 중단했었다. 블루버드는 임상재개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블루버드에 다른 이슈가 생겼다. 유럽 의약청(EMA)의 승인을 받은 유전자치료제 ‘진테글로(Zynteglo, betibeglogene autotemcel)’에 대한 독일 보건부
지난 20년 넘게 약물개발에 번번이 실패한 단백질 계열인 탈인산화효소(phosphatases) 표적 신약개발 분야에서 ‘알로스테릭 조절 약물(allosteric modulator)’이라는 키워드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는 움직임으로, 아나보 테라퓨틱스(Anavo Therapeutics)는 포스파타아제 조절 약물 개발을 위해 시드(seed) 자금으로 약 2400만달러(2000만유로)를 투자받았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시드 투자에는 M 벤처스(M Ventures)와 INKEF
로슈의 올해 1분기 제약부문 매출은 바이오시밀러 및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대비 9% 감소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한 진단 매출은 55% 증가해, 총 매출규모는 전년동기 대비 3% 증가로 비슷한 수준을 가까스로 유지했다. 로슈는 앞으로 높은 매출을 낼 것으로 기대되는 약물로 ‘티쎈트릭(Tecentriq)’을 꼽았으며 코로나19 팬데믹 특수를 누리고 있는 진단분야에도 투자를 지속하기로 했다. 로슈는 21일(현지시간) 2021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로슈의 1분기 전체 매출은 149억스위스프랑
BMS(Bristol Myers Squibb)의 ‘옵디보(Opdivo, nivolumab)’가 위암의 1차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첫 면역항암제’ 타이틀을 얻었다. 면역항암제는 위암에서 낮은 반응률을 보여 제한적인 치료 옵션으로만 처방되고 있었다. 머크(MSD)의 ‘키트루다(Keytruda)’, 독일 머크(Merck KGaA)와 화이자(Pfizer)의 ‘바벤시오(Bavencio)’ 등 여러 면역항암제가 위암 임상에 도전했으나, 환자의 생존기간 개선을 보이지 못해 고배를 마셨다. 이번 승인을 받은 BMS의
동아ST, HK이노엔 공동개발 ‘EGFR TPD’ 개발전략은?
우정바이오, 천병년 회장 별세..대표이사 변경 공시
CMS '가이드라인 초안'에 할로자임·알테오젠 등 "여파"
앱클론, CAR-T '네스페셀' 림프종 "ORR 94% EHA 발표"
알지노믹스, 릴리와 'RNA 편집' 난청치료제 "13억弗 옵션딜"
악투러스, 매출감소 "백신 축소"..mRNA 치료제 "집중"
애브비, 'cMET ADC' 첫 cMET고발현 폐암 "가속승인"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멥스젠, KAIST 연구팀과 망막혈관장벽모델 "연구협약"
대원제약, 1분기 매출 1578억∙영업이익 94억
뷰노, ‘흉부영상 진단보조AI‘ 비급여 청구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