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셀트리온(Celltrion)은 24일 ‘졸레어(XOLAIR, omalizumab)’ 바이오시밀러 ‘옴리클로(OMLYCLO, CT-P39)'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옴리클로는 알러지성 천식과 만성 특발성두드러기를 적응증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옴리클로의 오리지널 의약품 졸레어는 알러지성 천식,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비부비동염 및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등에 사용되는 약물로 최근에는 미국에서 오리지널 의약품 졸레어에 대해 음식 알러지를 추가 적응증으로 승인받았다. 셀트리온은 향후 보다 많은 환자에게 치료옵션을 제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와 사노피(Sanofi)는 24일 공동개발중인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후보물질 ‘GBP410(사노피 과제명: SP0202)의 임상3상 임상시험계획(IND)을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는 GBP410 다국가 임상3상의 첫번째 승인으로 미국, 유럽, 한국, 온두라스 등에서도 현재 임상3상 IND에 대한 신청 및 승인 절차가 진행중이다. 사노피는 지난 2014년 SK바이오사이언스의 모회사 SK케미칼과 GBP410의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글로벌에서 IN
에이피트바이오(ApitBio)는 24일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신약 기반 확충 연구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으로 에이피트바이오는 다른 표적항원에 대한 항체-약물접합체(ADC)에 불응하거나 반응성이 낮은 난치성 고형암 치료용 CD171(L1CAM) ADC 선도물질 도출을 최종 목표로 향후 2년간 KDDF의 지원을 받는다. 지원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에이피트는 향후 파트너사인 피노바이오와 함께 다양한 페이로드에 대한 공동연구를 진행해 선도물질을 도출할 계획이다. 윤선주 에이피트바이오 대표는 “지난해 고형암
차바이오텍(Cha Biotech)이 임상개발 중인 NK세포치료제 ‘CBT101’이 정부의 국가신약개발사업(KDDF) 지원 대상에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차바이오텍은 향후 2년간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 차바이오텍은 이번 과제를 수행해 CBT101의 대량생산 공정을 개발하고, 임상2상을 진행하는데 기반이 되는 자료와 근거를 확보해 임상2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받는 것이 목표다. 회사에 따르면 CBT101은 환자 자신의 혈액에서 선천적 면역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K세포를 추출한 뒤, 체외에서 증식해 제조하는 면역세
동아에스티 (Dong-A ST)와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는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미국 올랜도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제84회 미국 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에서 비만 치료제 ‘DA-1726’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DA-1726은 옥신토모듈린 유사체(oxyntomodulin analogue) 계열의 비만치료제로,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glucagon, GCG) 수용체에 동시에 작용해 식욕억제와
프로젠(Progen)은 24일 미국 올랜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84회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4)에서 GLP-1/GLP-2 이중작용제 후보물질 ‘PG-102’의 전임상 및 초기 임상결과를 포스터 세션에서 발표했다고 밝혔다. PG-102는 프로젠의 다중 표적 융합단백질 플랫폼 ‘NTIG®’ 기술을 적용한 GLP-1/GLP-2 이중작용제 후보물질로 장기능 개선, 지방조직의 당 흡수 촉진, 만성염증 개선 등 GLP-2의 효능과 시너지를 가지는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프로젠은 PG-102를 투여한 비만 동반 제2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오는 25일부터 27일 중국 다롄(大连)에서 열리는 하계 세계경제포럼(WEF)의 초청을 받아 서범석 대표이사가 참석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하계 다보스포럼은 ‘성장을 위한 차세대 프런티어(Next Frontiers for Growth)’를 주제로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 산업, 학계 등 글로벌 리더 15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서 대표는 ▲새로운 글로벌 경제 ▲인공지능(AI) 시대의 기업가정신 ▲기후·자연·에너지의 연결 ▲신산업을 위한 프런티어 등 6가지 주요 과제와 함께 진행
올릭스(OliX Pharmaceuticals)는 24일 프랑스 떼아 오픈이노베이션(Thea Open Innovation)으로부터 건성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후보물질 ‘OLX301A’와 습성황반변성 및 망막하섬유화증 치료제 후보물질 ‘OLX301D’의 기술이전 계약해지 및 권리반환을 받았다고 공시했다. 올릭스는 지난 2019년 3월 떼아와 건성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후보물질 OLX301A의 중동, 아프리카 지역 권리에 대해 계약금 200만유로 포함, 총 6300만달러 규모의 라이선스아웃(L/O)계약을 체결했다. 올릭스는 이듬
유전체분석 전문기업 지니너스(Geninus)가 신항원 예측 플랫폼 '백시너스(VACINUS)'로 도출한 신항원 펩타이드의 항암효능을 밝힌 논문이 국제학술지 '실험분자의학(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EMM)'에 게재됐다고 21일 밝혔다. 백시너스는 환자 맞춤형 신항원을 발굴하고 신항원 암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싱글셀(single-cell) 분석과 바이오인포매틱스(BI) 알고리즘을 결합한 플랫폼이다. 특히 BI 알고리즘 ‘백파이프(VacPipe)’는 환자의 암 유전체 데이터와 면역세포의 싱글셀 분석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개발중인 ‘저용량 고혈압 3제 복합제’의 우수한 치료 효과와 내약성 등 임상적 이점이 국제학회에서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한미약품은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4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고혈압학회 연례학술대회(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ESH)에서 한미가 개발중인 저용량 3제 복합제 기반의 연구 결과(HM-APOLLO-301)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동국대의대 심장내과 이무용 교수가 맡았다. 이번 임상3상 연구는 경증 또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는 21일 백신공정의 실험설계(Design of Experiment, DoE) 과정에서 인공지능(AI)을 이용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성공가능성을 예측하는 IT 최적화 시스템 ‘ADO(AI based Design space Optimization System)’를 구축, R&D 인프라를 개선했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백신개발 공정에 AI가 도입된 건 국내 최초다. ADO는 SK바이오사이언스가 SK디스커버리 그룹 내 AI/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전담
보로노이(Voronoi)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제 후보물질인 4세대 EGFR TKI ‘VRN11’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보로노이는 지난해말 국내 식약처와 올해 1월 대만 식품의약품청(TFDA)로부터 VRN11의 임상1상 IND를 승인을 받은 바 있다. 보로노이는 임상1상을 통해 이전 아스트라제네카의 EGFR TKI ‘타그리소’를 포함해 기존 EGFR TKI에 내성을 가진 진행성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50여명을 대상으로 VRN11의 안전성,
이피디바이오테라퓨틱스(EPD Biotherapeutics)는 항암제로 개발하는 전사인자 SOX2 분해약물(degrader)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로부터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개발 지원’의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해당 SOX2 분해약물은 이피디바이오의 차세대 표적단백질분해(TPD) 바이오프로탁(bioPROTAC) 플랫폼 ‘EPDeg™’을 적용했으며, SOX2는 암세포 성장 및 생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피디바이오는 최근 폐암 치료제로 SOX2 프로그램의 비임상 시험
유전자편집 신약개발 바이오텍 진코어(GenKOre)가 자체 초소형 유전자가위(hypercompact CRISPR) 기술인 ‘TaRGET’ 기반의 안과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바이러스벡터 유전자전달 전문기업인 레비티(Revvity)와 전략적 협력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진코어의 TaRGET(CRISPR-Cas12f) 기술은 1.7kb 크기의 초소형 Cas 뉴클레아제(Cas nucleases)를 기반으로 하며, 기존 Cas9 4.1kb보다 절반 이하로 크기가 작아 AAV에 더 효율적으로 가이드RNA(gRNA)를 포함한 유
에이프릴바이오(April Bio)는 20일 미국 이보뮨(Evommne)에 자가염증질환 치료제로 개발중인 IL-18 결합단백질(BP) 후보물질 ‘APB-R3’의 전세계 권리를 4억7500만달러(한화 6558억원) 규모로 라이선스아웃(L/O) 했다고 공시했다. 계약에 따라 에이프릴은 이보뮨으로부터 계약금 1500만달러(한화 207억원)에 더해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 8250만달러(한화 1139억원), 상업화 단계별 마일스톤으로 3억7750만달러(한화 5212억원)을 받게 된다. 상업화 이후 순매출에 따른 판매 로열티는 별도다. 이보뮨은
국내 바이오기업 CEO들이 올해 인력채용 계획과 관련, 현상유지하겠다는 답변이 절반에 가까웠다. 지난해보다 10%포인트 가량 늘어난 수치다. 채용을 확대할 것이라는 응답 30.1%를 포함하면, 채용을 축소하지 않겠다는 답이 80.8%에 달했다. 채용규모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작년 30%에서 올해는 20% 밑으로 떨어졌다. 바이오업계의 인력규모 감축 움직임이 어느정도 일단락되는 분위기로 읽힌다. 여기에는 2년 넘는기간 동안 바이오업계의 투자환경이 어려워지면서 채용을 줄이고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인력을 유지해온 결과로도 해석된다. 이같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머크, '사활' TROP2 ADC "블랙스톤서 7억弗 조달"
삼양그룹, 삼양 이노베이션 'R&D 페어 2025’ 개최
리가켐, 'B7H4 ADC' 고형암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인사이트, 프렐류드와 ‘JAK2 변이형’ 9.35억弗 옵션딜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