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이주연 기자
코오롱생명과학(Kolon Life Science)은 오는 17~21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항암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KLS-3021’의 전립선암을 대상으로 한 전임상 연구결과를 포스터 발표한다고 17일 밝혔다.
KLS-3021의 전립선암을 적응증으로 연구결과가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KLS-3021은 암세포 선택성을 높인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vaccinia virus)에 PH-20, IL-12, sPD1-Fc 등의 치료유전자를 탑재한 차세대 유전자치료제다. 바이러스의 직접적인 살상 능력에 면역세포 활성화를 통한 암 제어 능력을 더해 항암효과를 높인 컨셉이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이번 전립선암 동소이식(orthotopic) 종양모델을 사용한 항암 효능평가에서 KLS-3021 단회투여시 종양크기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으로 설정한 항암제 ‘도세탁셀(docetaxel)’에 비해서도 우수한 항암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에 더해 전이성 종양모델에서도 원발 종양뿐 아니라 인접 림프절까지 치료효과가 확산하는 것을 확인해 향후 전이암에서의 개발 가능성도 기대하고 있다.
또한 회사에 따르면 조직분석 결과, KLS-3021 투여 후 바이러스가 종양내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암조직을 둘러싼 단단한 구조인 세포외기질(ECM)이 무너진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반응 분석에서도 암을 공격하는 면역세포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암의 성장을 돕는 면역세포는 줄어드는 등 면역체계가 암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했다.
최근 전립선암의 발병률 및 유병률이 고령화와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립선암은 환자의 조건, 암세포의 생물학적 활성(gleason score) 등에 따라 수술이나 방사선 등의 국소 또는 호르몬∙화학치료제 등의 요법을 하지 않고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감시하는 것이 주요 방법이지만, 일부 환자는 관찰기간 중 병기가 진행됨에 따라 완치가 어려운 단계로 악화되기도 하는데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생물학적 지표가 없다.
김선진 코오롱생명과학 대표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KLS-3021이 기존 치료옵션이 제한적인 전립선암 영역에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이번 유럽종양학회 발표를 계기로 글로벌 연구자들과 활발한 논의를 이어가며 임상개발을 가속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