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 세계가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전례없는 어려움을 겪고있는 동안, 사회 각 분야는 모두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계로 접어들었다. 그동안 번거로워 적용하지 않았던 온라인 회의・강의가 대세가 되었고, 배달하지 않던 모든 식당이 배달을 시작하게 되었다. 사람 간의 접촉이 없어지고 마스크가 우리의 일상생활에 필수품이 되었다. 이러한 사회 전분야의 변화는 실험동물분야에도 어김없이 찾아왔다. 실험동물의 관리, 운송, 폐기물처리 그리고 동물실험 과정에 대한 관리 등에서 새로운 기술과 시스템이 요구됐고, 실험동물관리자가 코로
일라이 릴리(Eli Lilly)의 코로나19 항체 칵테일이 미국 전역에 다시 공급된다. 릴리의 코로나19 항체 칵테일은 지난 6월 베타(남아프리카) 및 감마(브라질) 변이형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효능감소 우려로 공급을 중단했었다. 미국 보건부(HHS)는 지난 2일(현지시간) 일라이 릴리의 코로나19 항체 칵테일 ‘밤라니비맙(bamlanivimab)+에테세비맙(etesevimab)’을 미국 전역에 공급 및 사용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미 보건부(HHS)의 이번 결정은 릴리의 코로나19 항체 칵테일이 in vitro
표적단백질분해(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 신약개발 바이오텍인 아이비스바이오(Aevis Bio)가 시리즈A로 100억원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는 KB인베스트먼트, 위벤처스, 타임폴리오자산운용 등이 참여했다. 아이비스바이오는 이번 투자금을 선도 프로젝트의 전임상 개발과 연구개발 인력확보에 투입하게 된다. 아이비스바이오는 대전 연구소에서 약물 발굴(discovery)를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1월 입주한 파스퇴르연구소에서 비임상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김동석 아이비스바이
웨어러블 약물전달 솔루션 전문기업 이오플로우는 6일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의 핵심부품인 이오펌프 생산시설에 18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오플로우는 이오펌프 신공장의 리모델링과 자동화라인 구축을 위해 한국산업은행으로부터 180억원 규모의 시설자금 대출을 받아 추가 자금을 투입한다. 이오플로우는 지난 6월 경기도 광주지역 내 이오펌프 생산공장을 위한 토지 및 건물을 약 40억원에 취득했다. 회사는 현재 이오패치의 핵심 부품인 이오펌프 및 완제품인 이오패치를 외주생산 중인데, 그 중 구동부인 이오펌프의 생산을 내재화하기
JW중외제약은 6일 통풍치료제 신약후보물질 URC102의 제조기술에 대해 유럽특허청(EPO)으로부터 특허등록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특허는 URC102의 주성분이 되는 화합물 제조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중간체(intermediate)에 관한 것이다. 경구제로 개발하고 있는 URC102는 URAT1(uric acid transporter-1)을 억제하는 기전의 요산 배설 촉진제로, 혈액 내에 요산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고요산혈증으로 인한 통풍질환에 유효한 신약후보물질이다. JW중외제약은 올해 3월 URC102의 국내 임상 2b
바이오마커 기반 체외 암 조기진단 전문기업 지노믹트리는 6일 아시아지역 판매 네트워크를 보유한 통합 암분자진단 회사 ‘ACT Genomics’와 암 조기진단사업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지노믹트리는 ACT Genomics의 유통망을 활용해 ‘얼리텍® 대장암검사’의 아시아지역(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홍콩, 대만, 마카오,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현지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ACT Genomics는 지난 2014년 대만에 본사를 설립했으며, 암 연구와 임상, 암 치료와
BMS(Bristol Myers Squibb)가 에보텍(Evotec)과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플랫폼 기반 퇴행성뇌질환 약물발굴 파트너십을 체결한지 5년만에 첫 번째 프로그램을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BMS는 2010년 중후반에 면역항암제와 면역학 질환에 집중하면서,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개발이 뜸했던 빅파마다. 그러나 올해 첫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아두카누맙’ 시판에 따라 올해 6월 프로테나(Prothena)로부터 임상1상 단계의 타우 항체에 대한 옵션을 행사하며, 라이선스
박스터(Baxter)는 2일(현지시간) 디지털 의료기기 전문회사인 힐롬(Hillrom)을 105억달러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박스터는 지난 7월 27일 힐롬 주식 종가에 26%의 프리미엄을 붙인 주당 156달러에 힐롬의 모든 발행주식을 사들여 힐룸을 인수하기로 했다. 총 인수규모는 105억달러다. 박스터는 힐롬의 기업가치를 부채와 현금을 포함해 총 124억달러로 평가했다. 박스터는 이번 인수 거래가 2022년 초에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했다. 조 알메이다(José (Joe) E. Almeida) 박스터
버사니스 바이오(Versanis Bio)는 시리즈A로 70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버사니스는 올해초 노바티스(Novatis)에서 비만치료제 후보물질을 라이선스인하며 설립된 회사다. 이번 투자는 아틀라스벤처(Altlas Venture)와 메디치(Medicxi)가 리드했으며 애디툼바이오(Aditum Bio)가 참여했다. 버사니스는 투자금을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인 ‘비마그루맙(bimagrumab)’의 임상2상 진행에 사용할 계획이다. 버사니스는 올해초 대사성 질환 및 비만 치료제 개발을 위해 투자회사 애디툼이 비마
난치성 신경질환 신약개발 전문기업 아스트로젠은 3일 신임 연구소장에 안기찬 박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안 연구소장은 신규 파이프라인 발굴 및 개발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안 연구소장은 부산대 생물학과를 졸업한 후 캐나다 앨버타대(University of Alberta)에서 신경화학(Neurochemistry) 석사학위와 신경생물학(Neurobiology)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텍사스대(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신경생리∙신경행동(Neurophysiology & Behavioral Neuro
항체신약 개발 바이오텍 파멥신(Pharmabcine)은 3일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로부터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mTNBC) 환자를 대상으로 '올린베시맙'과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 병용투여 임상2상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파멥신에 따르면 이번 임상2상은 올린베시맙과 키트루다 병용요법 임상1b상의 고용량 16mg/kg 투여군에서 확인한 약물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다. 파멥신은 mTNBC 환자에게 1차 또는 2차 치료제 세팅으로 병용투여한 임상1b상 중간 결과, 고용량 투여군에서 전체반응률(ORR) 50%, 질병통
모더나(Moderna)는 지난 1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백신 ‘mRNA-1273’의 50μg 용량 3차 부스터샷 투여 결과 초기 데이터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모더나는 코로나19 백신의 추가 부스터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임상2상을 수정하여 2번째 백신을 투여한지 6~8개월 지난 참가자 344명에게 50ug 용량의 세번째 백신을 투여했다. mRNA-1273의 중화항체 역가는 2차 접종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유의미하게 낮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모더나는 임상에서 2차 접종 후 6개월이
지플러스생명과학(G flas life sciences)은 3일 식물기반 플랫폼으로 생산한 코로나19 백신 관련 논문이 국제학술지 ‘Vaccines’에 게재됐다고 3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Plant-Expressed Receptor Binding Domain of the SARS-CoV-2 Spike Protein Elicits Humoral Immunity in Mice’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DOI: 10.3390/vaccines9090978) 논문에 따르면 지플러스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spike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의 얀센(Janssen)이 6개월 간격으로 주사하는 ‘인베가하피에라’를 조현병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이로써 기존에 기존 1개월, 3개월 단위 주사제에서 더 길어진 투약기간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꾸준히 성장중인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의 팔리페리돈(paliperidone) 계열 조현병 치료제 사업에 긍정적인 신호다. 얀센은 1일(현지시간) FDA로부터 1년에 2회 투여하는 조현병 치료제 ‘인베가하피에라(Invega Hafyera,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만성염증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는 'JAK 저해제'가 심장질환, 암, 혈전증 등의 부작용을 발생시킬 위험이 있다고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FDA가 기존에 알려진 고용량 JAK 저해제에 국한된 부작용이 아나라, 더 낮은 용량에서도 동일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고 나섬에 따라 현재 승인 및 적응증 확장을 앞두고 있는 JAK 저해제들의 허가절차에 빨간불이 켜졌다. 미국 FDA는 지난 1일(현지시간) 관절염 및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치료제로 승인받은 화이자(Pfiz
아스텔라스가 지난해 재개한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AAV) 기반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AT132(resamirigene bilparvovec)’에 대한 임상을 다시 중단한다. 아스텔라스는 AT132로 진행한 희귀 근육질환(XLMTM) 임상에서 3명의 간염환자가 발생해 임상을 중단한 적이 있다. 3명의 환자는 결국 사망했지만 아스텔라스는 임상 프로토콜을 수정해 임상을 재개했으나 이번에 또다시 간기능 이상으로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난 환자가 발생했다. 아스텔라스(Astellas Pharma)는 1일(현지시간)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A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셀비온, ‘PSMA RPT’+키트루다 “국내 1상 IND 승인”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리제네론, '알러젠 항체' 고양이 알러지 3상 "1차 충족"
뉴라클제네틱스, '저용량 AAV' wAMD 1/2상 "첫 공개"
인터셉트, '오칼리바' PBC 적응증도 결국 "美 시판철회”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네오이뮨텍, 유상증자 472억 조달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당뇨약 공급계약
유한양행, 휴이노와 '메모큐' 판매계약 MOU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