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쟁이 치열한 KRAS 저해제 분야에서 또 하나의 진전이 나타났다.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에게서 기존 약물의 전체반응률(ORR)이 40% 초반인데 비해 노바티스의 'JDQ433'은 ORR 57%의 초기결과를 보였다. 또 기존 약물보다 투여 용량도 200mg(BID)로 낮아 안전성 측면에서도 장점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불과 이틀전 암젠(Amgen)은 첫 KRAS G12C 저해제 '루마크라스(Lumakras, 960mg(QD))'의 2년 장기추적 결과 ORR 40.6%를, 후발주자인 미라티(Mirati
HK이노엔은 13일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정(중국명: 타이찐산)’을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허가 받았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HK이노엔은 케이캡정을 미란성식도염을 적응증으로 승인받았다. HK이노엔은 중국 파트너사인 뤄신제약과 현지시장 특성에 맞는 판매전략을 수립해 제품 출시 및 마케팅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케이캡은 P-CAB(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계열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위벽세포의 프로톤 펌프(H+/K+-ATPase)를 막아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기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가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개최되고 있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13일(현지시간) C797S 변이를 포함하는 EGFR 이중변이 저해제 ‘BBT-207’의 전임상 데이터를 공개했다. BBT-207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서 ‘오시머티닙(제품명: 타그리소)’ 등 3세대 EGFR 저해제 치료 이후 내성으로 나타나는 C797S 변이 포함 EGFR 이중 돌연변이를 표적하는 4세대 EGFR 저해제 후보물질이다. 기존 EGFR TKI 저해제 투여에 따라 나타나는 저항성 변
면역항암제 개발기업 넥스아이(NEX-I) 연구팀이 PD-1 항체 불응성을 가진 종양에서 T세포 침윤(infiltration) 및 면역세포 활성을 높여 항암효과를 높이는 NANOG/HDAC1 신호전달 기전과 면역항암 불응성인자 발굴 플랫폼에 대한 연구결과를 내놨다. 연구팀은 NANOG/HDAC1 신호전달의 증가가 종양미세환경(TME)에서 T세포 침윤억제, 종양세포 사멸저항(anti apoptosis) 등을 유도해 PD-1 항체 치료에 불응하는 현상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PD-1 항체 불응성 마우스모델에서 NANOG/HDAC1 발현이
셀트리온은 13일 아바스틴(Avastin, bevacizumab) 바이오시밀러 ‘CT-P16’ 임상 3상에서 오리지널의약품과 전체반응률(ORR)에서 동등성을 입증한 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이번 포스터 발표를 통해, 아바스틴의 대표적인 적응증 중 하나인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 689명을 두 개 그룹으로 나눠 각각 CT-P16과 아바스틴을 병용 항암제와 함께 3주에 한 번씩 최대 6회에 걸쳐 투약(유도 시험기간: induction study period)한 이후 최대
분자접착제(molecular glue) 신약개발 스타트업 트리아나 바이오메디슨(Triana biomedicines)이 지난 6일(현지시간) 시리즈A로 1억10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분자접착제는 리가아제(ligase), 유비퀴틴(Ubiquitin) 등 단백질분해를 유도할 수 있는 세포소기관과 표적단백질의 결합을 촉진시켜 질병유발 단백질을 제거하는 컨셉의 약물이다. 트리아나는 표적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는 E3 리가아제의 선별을 위한 AI 기반 단백질 구조분석 in silico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E3 리
파멥신(Pharmabcine)이 개발하고 있는 VISTA 항체 ‘PMC-309’가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을 모두 활성화시킨다는 전임상 결과를 공개했다. 다양한 면역활성화 기전을 갖는 PMC-309는 후천면역만을 활성화시키는 PD-1 항체와 병용으로 사용될 경우 더 높은 종양성장억제 효능을 보였다. 파멥신은 이같은 결과를 근거로 병용투여 임상1상을 고려하고 있다. 파멥신은 VISTA 타깃 면역관문억제제 PMC-309에 대한 전임상 결과를 지난 8일(현지시간)부터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온라인으로
코오롱생명과학은 13일 싱가포르 주니퍼 바이오로직스(Juniper Biologics)에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후보물질 ‘인보사(TG-C)’를 계약금 150억원 포함 총 7234억원 규모에 라이선스아웃(L/O)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코오롱생명과학은 주니퍼로부터 계약금 150억원과 판매 마일스톤 약 7084억원(5억7500만달러)을 수령받게 된다. 판매 마일스톤은 누적 순매출액 규모에 따라 단계별로 수령하도록 되어 있으며, 미실현 가능성이 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기존 체결된 코오롱티슈진과의 계약에 따라 총
유한양행(Yuhan)이 개발중인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HER2x4-1BB 이중항체 ‘YH32367(ABL105)’이 전임상에서 HER2 저발현(low) 암종에서 효능을 보인 데이터를 새롭게 공개했다. 올해 하반기 임상1상 시작을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HER2 발현 고형암에서 YH32367의 적응증을 넓힐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영장류 독성시험에서 확인한 긍정적인 안전성 데이터도 업데이트했다. 유한양행은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YH32367의 전임상 결과를 포스터를
바이오엔텍(BioNTech)의 클라우딘6(Claudin-6, CLDN6) 타깃 CAR-T 프로그램이 고환암, 난소암 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부분관해(Partial Response, PR)를 달성하며 긍정적인 임상결과를 나타냈다. 바이오엔텍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고형암 CAR-T세포치료제 후보물질 ‘BNT211’ 단일 및 RNA 항암백신 ‘CARVac’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1/2상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바이오엔텍의 고형암 CAR-T 프로그램은 종양항원 클라우딘6(CLDN6)을 타깃하는
GC녹십자의 미국 자회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가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머크(MSD)와 아티바의 자사 NK 세포치료제 ‘AB-101’을 공급하는(provide)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아티바는 머크에 ADCC 인핸서(enhancer) NK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AB-101를 공급하며, 머크는 AB-101과 삼중결합 NK 세포 인게이저(Tri-specific NK cell Engager) 후보물질의 병용요법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계약조건은 공개하지
C4 테라퓨틱스(C4 Therapeutics, C4T)가 개발중인 표적단백질분해(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 후보물질 ‘CFT7455’이 다발성골수종(Multiple Myeloma, MM) 초기임상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이는데 실패했다. 또한 임상도중 4등급(Grade 4) 수준의 부작용이 확인되면서 치료제의 독성이슈까지 우려를 더하고있다. 이 소식으로 C4T의 주가는 전일종가 대비 50.39% 하락했다. C4T는 지난 8일(현지시간) 전사인자 IKZF1/3를 타깃하는 표적단백질분해(TPD) 후보
GC녹십자는 12일 글로벌사업본부 내 윤영준 GSM(Global Sales&Marketing) 상무(유닛장)을 영입했다고 밝혔다. 윤 유닛장은 서강대 화학과를 졸업한 뒤, GSK(GlaxoSmithKline) 한국지사에서 백신 영업·마케팅 및 사업개발(Business Development) 본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GSK 본사에서 해외마케팅 업무를 수행했다. GC녹십자에서 윤 유닛장은 제제별 제품 해외영업 전략수립 및 마케팅 활동강화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GC녹십자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공략을 위한 영업전략 강화를 위해 노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가 자체 개발하는 ADC 프로그램으로 가장 앞서가는 TROP2 ADC가 길리어드의 ‘트로델비(Trodelvy)’, 아스트라제네카-다이이찌산쿄의 ‘DS-1062’ 경쟁약물이 불응하는 췌장암, 폐암, 대장암 등 종양모델에서 효능을 보인 전임상 데이터를 내놨다. 레고켐바이오는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TROP2 ADC ‘LCB84’의 전임상 데이터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 이날 발표는 정철웅 레고켐바이오 신약연구소장
루비우스 테라퓨틱스(Rubius Therapeutics)가 고형암을 대상으로 진행중인 적혈구 기반 동종유래(allogenic)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RTX-240’의 임상1상에서 저조한 효능결과를 내놨다. 이 소식이 알려진 후 루비우스의 주가는 전날대비 45.56% 하락했다. 루비우스는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포스터 발표를 통해 이같은 결과를 밝혔다. 포스터에 따르면 루비우스는 사전에 1가지 이상의 항암제 치료경험이 있는 27명의 재발성, 불응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유유제약이 12일 안구건조증 치료제 후보물질 ‘YP-P10’의 임상 2상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YP-P10은 펩타이드 기반 바이오신약으로 1일 2회 투여해 염증에 의한 안구건조증 징후와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한다. 회사측은 이전 동물실험을 통해 기존약물 대비 항염증 기전 및 각막 상피세포 치료효과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유원상 유유제약 대표는 “미국 FDA로부터 YP-P10 임상 2상 진행허가를 최종 확인했으며 상반기 내에 환자대상 첫 투약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유유제약은 지난해 3월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AC이뮨, ‘BBB 투과 ADC’ 개발중단..인력 30% 감축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SMC 임상의 6人 'ADC 현장'서 본 "4가지 인사이트"
라포, ‘TARPγ8’ 뇌전증 첫 PoC “기대이상, 주가 폭등”
'신생 엑소좀' 인텐트, 화이자 前사장 CEO로 합류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HLB라이프케어, 연세대와 ‘AI 디지털헬스케어’ MOU
큐로셀,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대통령표창 수상
유한양행,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