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올해 페프로민바이오(PeproMene Bio)의 B세포종양 신규타깃 BAFFR-CAR T가 CD19 약물 불응성을 극복하고 효능을 나타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페프로민바이오는 지난해 BAFFR-CAR T 임상 적응증을 기존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에서 외투세포림프종(MCL) 등을 포함한 B세포 비호지킨림프종(B-NHL)까지 넓히면서, 연내 임상1상 초기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지난해 CAR-T 시장도 본격적으로 열리기 시작했다. CAR-T가 림프종 2차 치료제로 진입하면서 나타난 효과로 길리어드
지난 2022년에는 글로벌 수준에서도 바이오 기업에 투자 한파가 몰아쳤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고평가됐던 기업들의 거품이 꺼짐과 동시에 금리인상에 따른 투자위축 등 대외적 요인까지 겹치면서 체감온도는 급격하게 떨어졌다. 이를 반영하듯 해외 바이오기업들은 연구인력 구조조정, 에셋 및 승인약물 로열티 매각 등 생존자금을 확보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움직임은 노바티스(Novartis), BMS, 애브비(Abbvie) 등 대형 제약사들의 구조조정 등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시장에서 투자금이 말라붙으며 바이오 기업의 어
셀트리온(Celltrion)은 5일 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로부터 아바스틴(Avastin, bevacizumab)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Vegzelma, CT-P16)의 판매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전이성 직결장암, 비소세포폐암, 상피성 난소암, 난관암, 원발성 복막암, 교모세포종 등 캐나다서 아바스틴에 승인된 전체 적응증(Full Label)에 대해 베그젤마의 판매허가를 받았다. 특히 지난 9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판매허가를 획득한데 이어 캐나다 보건부로부터 추가로 허가를 받아 북미시장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은 5일 미국 온코러스(Oncorus)와 지질나노입자(LNP)를 이용한 mRNA 항암신약 공동개발 및 상업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양사는 온코러스가 보유한 자체 LNP 플랫폼을 이용해 대웅제약의 mRNA 항암신약에 최적화된 제형을 찾아 정맥투여(IV) 방식의 항암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온코러스는 미국 메사추세츠주 앤도버에 있는 첨단제조시설에서 LNP 제제의 제조, 생산 및 최적화를 담당하고 대웅제약은 비임상 개발을 포함한 임상 과정 및
이스라엘 케모맙(ChemomAb)은 3일(현지시간) 피하주사(SC) 방식의 CCL24 항체 ‘CM-101’의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임상2a상(NCT04595825)에서 우수한 안전성 프로파일 및 간 섬유증 바이오마커를 일부 개선한 긍정적인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마드리갈 파마슈티컬(Madrigal Pharmaceuticals)이 개발한 THR-β 작용제(agonist) ‘레스메티롬(resmetirom)’이 임상3상에서 모든 NASH 임상지표를 유의미하게 개선한 ‘깜짝’ 결과를 내놓으며 업계에 긍정적인 충격을
에보크 테라퓨틱스(EVOQ Therapeutics)는 3일(현지시간) 길리어드(Gilead Sciences)와 6억5850만달러 규모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길리어드는 에보크에 계약금, 옵션료, 마일스톤 등을 포함해 총 6억5850만달러를 지급한다. 길리어드와 에보크는 류마티스관절염(RA)와 루푸스(Lupus) 등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전임상 연구를 함께 수행한다. 길리어드는 후보물질에 대해 에보크의 나노디스크(NanoDisc) 기술 독점권을 부여할 수 있는 옵션을 가진다. 만약 길리어드가
HLB그룹 관계사인 미국 베리스모 테라퓨틱스(Verismo Therapeutics)는 4일 임상품질 및 규정준수(Quality & Compliance) 총괄 담당자로 재클린 스티브(Jacqueline Stief)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HLB그룹에 따르면 이번에 시니어 디렉터로 영입된 재클린 스티브는 제약 및 세포치료제 분야에서 13년간 품질관리를 담당해 온 전문가로, 최근까지 어댑티뮨(Adaptimmune)에서 미국과 유럽 등 다양한 임상규제 환경에서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및 품질관리 분석검사 업무를 총괄했다. 베리스모는 현재 자
삼진제약은 4일 노벨티노빌리티(Novelty Nobility)와 항체약물접합체(ADC)에 대한 공동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삼진제약은 ADC에 사용할 신규 페이로드를 발굴하고, 노벨티노빌리티는 자체구축한 링커기술(PREXISE-L)을 이용해 링커-페이로드(LP) 결합체를 삼진제약과 함께 개발한다. 삼진제약은 전통적인 케미컬 신약연구 개발에 대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면역항암제 계열의 신약 후보물질을 페이로드로 개발할 예정이다. 노벨티는 링커-페이로드(LP) 결합체 기술을 고도화해 ADC의
HLB 테라퓨틱스는 4일 이사회를 거쳐 HLB를 대상으로 13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신주 발행가액은 1만1312원, 납입일은 1월 12일이다. 신주 상장예정일은 1월 27일이며 상장일로부터 1년간 보호예수된다. HLB는 이번 유상증자에 참여해 HLB테라퓨틱스의 신주 115만주를 취득, 지분 5%(168만3000주)를 확보하면서 최대주주에 올랐다. 기존 최대주주였던 HLB글로벌은 지분 4.7%를 보유중이다. HLB테라퓨틱스는 추가 투자를 통해 글로벌 임상 확대 및 기업가치 제고를 목적
독일 머크(Merck KGaA)가 새해부터 비핵심 면역항암제 에셋을 매각하면서, R&D 전반을 정리하는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머크는 2년전 사이토카인 TGF-βxPD-L1 면역항암제로 잇따른 쓰라린 실패를 겪은 상황에서, 우선적으로 종양을 타깃하는 인터루킨12(IL-12) 융합단백질 ‘M9241(NHS-IL12)’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머크는 면역항암제 붐이 한창이던 2019년, GSK와 TGF-βxPD-L1 이중항체를 개발하는 42억달러규모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으면서 화제가 됐다. 그러나 2021년 비소세포폐암에서 키트
GC셀(GC cell)은 4일 미국 관계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에 T세포 림프종 타깃 동종유래(allogeneic) CAR-NK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AB-205’를 라이선스아웃(L/O)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계약금액과 계약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AB-205는 동종 제대혈(cord blood) 유래 세포치료제 후보물질로, T세포 림프종에서 발현되는 CD5를 타깃한다. GC셀은 아티바와 협력해 국내 및 FDA 가이드라인을 충족하는 임상1상을 주도하게 되며, 이후 GC셀과 아티바는 각각
일동제약은 4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조코바(Xocova, ensitrelvir fumaric acid, S-217622)’의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일본 시오노기(Shionogi)가 개발한 조코바는 홍콩 핑안시오노기가 아시아지역(일본제외) 개발 및 상업화 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다. 일동제약은 지난해 9월 홍콩 핑안시오노기와 국내 판권 등에 대한 라이선스계약을 맺은 바 있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허가신청에는 일동제약이 한국에서 진행한 임상결과와 일본 시오노기가 아시아 지역에서 시행한 임상
올해 시판허가를 받아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약물 중 앞으로 높은 매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약물은 무엇일까? 시장조사 전문기관 이밸류에이트파마(evaluate pharma)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보고서 ‘Evaluate Vantage 2023 Preview’를 통해 오는 2028년까지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향후 블록버스터 신약으로의 성장가능성이 높은 탑10 의약품을 공개했다. 순위를 살펴보면 뇌질환에 대한 신약이 3개로 가장 많았고, 자가면역질환 신약이 2개로 그 뒤를 이었다. 희귀근육질환, 안구질환, 감염증, 암, 심혈관질환에
이퀼리움(Equillium)은 지난달 23일(현지시간) 미국 바이오텍 메타크린(Metacrine) 인수를 철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이퀼리움이 지난달 초 일본 오노파마(Ono Pharmaceutical)에 CD6 항체 ‘이톨리주맙(itolizumab)’을 계약금 2600만달러 포함 총 1억6450만달러 규모의 옵션 딜을 맺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브루스 스틸(Bruce Steel) 이퀼리움 CEO는 “오노파마와의 계약을 통해 2025년까지 운영할 수 있는 자금을 확보했다. 현재 독자적으로 개발중인 에셋들의 가능성을 확
신풍제약(Shinpoong Pharm)이 자사 전무 노모씨의 업무상 횡령 및 배임혐의 발생을 최종적으로 확인했다고 3일 공시했다. 노모씨의 횡령배임 금액은 63억원이며, 검찰에 의해 지난달 16일 공소됨에 따라 신풍제약은 향후 적법한 절차에 따라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공시에 따르면 신풍제약 전무 노모씨는 57억6500만원을 횡령하고, 5억7600만원을 배임해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을 위반했다. 이같은 혐의발생 금액 및 내용은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의 공소장에 기재된 내용이다.
셀트리온(Celltrion)은 3일 세계최초로 글로벌 규제기관의 판매허가를 받은 바이오시밀러 ‘램시마(remsima, infliximab)’가 10여년 만에 글로벌 허가100개국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램시마는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건선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TNF-α 억제제 항체 바이오시밀러로 지난 2006년 물질개발을 시작해 2012년 7월 세계 최초로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획득했다. 이후 2013년 9월 유럽(EU), 2016년 4월 미국 식품의약국(F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SMC 임상의 6人 'ADC 현장'서 본 "4가지 인사이트"
라포, ‘TARPγ8’ 뇌전증 첫 PoC “기대이상, 주가 폭등”
'신생 엑소좀' 인텐트, 화이자 前사장 CEO로 합류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HLB라이프케어, 연세대와 ‘AI 디지털헬스케어’ MOU
큐로셀,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대통령표창 수상
유한양행,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