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해 출시된 길리어드의 CAR-T(chimertic antigen rec eptor T cells) 치료제인 '예스카르타(yescarta)'의 병용투여 임상이 본격적인 궤도에 돌입했다. 길리어드가 지난해 인수한 카이트파마는 화이자가 보유한 초기단계의 항체신약과 병용투여 임상을 진행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B세포 림프종(lymphoma) 환자를 대상으로 두 회사의 면역항암제로 병용투여임상을 진행하게 된다. 임상1/2상은 카이트파마의 후원하에 올해 시작될것으로 예상된다. 예스카르타와 병용투여를 진행하는 약물
동아에스티가 미국 제약사에 천연물의약품 후보물질을 50억원에 양도했다. 지난 18일 당뇨병성신경병증치료제 기술이전에 이어 이틀새 2건의 천연물의약품의 수출 계약을 성사시켰다. 19일 동아에스티는 미국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와 자체개발 천연물 의약품인 퇴행성신경질환치료제 ‘DA-9803’에 대한 양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동아에스티는 뉴로보에 DA-9803의 기술을 양도하고 양도금 500만달러와 지분 24%를 수령키로 했다. 뉴로보에 DA-9803의 권리를 모두 넘기는
동아에스티가 미국 제약사에 천연물의약품의 기술 수출을 성사시켰다. ‘천연물의약품의 기술 수출은 어렵다’는 속설을 깼고 최근 ‘찬밥신세’로 전락한 천연물의약품의 명예회복을 위한 신호탄을 쐈다는 평가도 나온다. ◇천연물의약품 글로벌 성공 사례 전무..새 가능성 제시 18일 동아에스티는 미국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와 당뇨병성신경병증치료제 ‘DA-9801’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 규모는 총 1억8000만달러(약 1900억원)으로 동아에스티는 계약금 20
선천성면역을 활성화하는 인자가 차세대 면역항암제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PD-(L)1과 병용투여하는 약물은 대부분 후천성면역을 활성화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접근법이다. 특히 선천성면역인자를 겨냥한 신약 후보물질은 기존의 PD-(L)1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차가운종양(cold tumor)'을 항암제에 반응할 수 있는 '뜨거운종양(hot tumor)'으로 바꾸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어 주목된다. 그중에서도 선천성면역을 활성화하는 핵심인자인 STING(stimulator of inteferon genes)에 대한 관심이 가장
동아에스티는 미국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와 당뇨병성신경병증치료제 ‘DA-9801’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계약으로 동아에스티는 계약금 200만달러(약 20억원)와 뉴로보의 지분 5%를 수령한다. 단계별 마일스톤으로 최대 1억7800만달러(약 1900억원)와 상업화 이후 판매 로열티를 받는다. 뉴로보는 DA-9801의 글로벌 임상 개발, 허가, 판매 등을 담당키로 했다. DA-9801은 생약제제인 산약과 부채로 구성된 천연물의약품으로 당뇨병성신경병증치료제로
마크로젠이 새로운 3세대 유전자가위 기술을 도입해 맞춤형 모델동물 제작 등에 활용한다. 마크로젠은 17일 서울대병원과 ‘약물유도 유전자 가위 재조합 벡터 기술’을 독점 도입하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유전자 가위 기술은 다양한 난치성 질환에 대해 문제가 되는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을 하도록 유전자를 편집 또는 삽입해 근원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기술이다. 1세대 징크핑거 뉴클레이즈(ZFN), 2세대 탈렌(TALEN)을 거쳐 3세대 크리스퍼(CRISPR-Cas9)로 발전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3세대 유전자 가
"Change(변화)", "Challenge(도전)", "Creative(창조)" 성영철 제넥신 회장이 올해 경영슬로건으로 3C를 제시했다. 제넥신은 최근 신년행사를 통해 3C를 바탕으로 올해 흑자달성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고 18일 밝혔다. 제넥신은 올해로 설립 20년를 맞는다. 사람으로 치면 성년으로 독립의 시기로 기업으로서도 성과를 내야 하는 시기다. 제넥신은 작년 연말 면역치료제 ‘하이루킨’의 6000억원대 중국 판권 이전 (I-Mab)을 시작으로 그간의 연구개발의 성과들이 나올 예정이다. 성 회장은 이를 통해 올해 흑자전환
GC녹십자는 유전자 재조합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 ‘GC1102(헤파빅진)’의 임상 2/3상 시험 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18일 밝혔다. 임상시험은 국내 총 9개 기관에서 B형 간염을 기저질환으로 하는 간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헤파빅-진’의 최적용량 탐색과 기존 치료제 대비 유효성을 평가한다. 회사에 따르면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작용을 하는 단백질 성분으로 혈액(혈장)에서 분리 정제해 의약품으로 만든다. GC녹십자의 ‘헤파빅’이 대표 제품인데 통상 간이식 환자의 B형 간염 재발
길리어드의 B형간염치료제 ‘비리어드’가 발매 6년 만에 국내 처방의약품 시장에서 선두에 올랐다. 다국적제약사의 의약품들이 시장 판도를 주도했고 한미약품의 ‘아모잘탄’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18일 의약품 조사기관 유비스트의 품목별 원외 처방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길리어드의 ‘비리어드’가 1660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원외 처방실적은 병원을 방문한 외래 환자들에게 처방되는 의약품의 매출을 말한다. 건강보험 적용 의약품 중 입원환자 처방 의약품과 일반의약품 실적을 제외한 실적이다. 비리어드는 지난 2012년 국내 발매 이
일양약품은 ‘프리온(Prion/광우병)질환 치료제 개발’이 최근 보건복지부의 ‘종간전파 인체감염병 극복 기술개발’ 연구과제에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일양약품은 총 48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고 ‘광우병을 포함한 동물 및 인간 프리온 질환 치료제’ 개발을 진행한다. 일양약품은 한림대학교 일송생명과학 연구소와 함께 연구를 진행했다. 최근 실험동물을 이용한 연구에서 유효한 후보물질을 찾아 물질특허 출원과 선별된 후보물질의 유효성 평가를 함께 진행 중이다. 소에서 발생되는 광우병 및 인간에서 발생되는 크루츠펠트 야콥병(Creutzfe
면역관문억제제인 PD-1 항체를 두고 BMS, 머크의 치열한 경쟁에서 머크의 '키트루다(keytruda)'가 또한번 시장을 선점하는데 성공했다. 머크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를 대상으로한 1차치료제로 키트루다를 병용투여하는 임상3상(KEYNOTE-189)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병용투여를 진행한 약물은 일라이릴리의 화학치료제인 알림타(pemetrexed)와 백금기반 화학치료법 인시스플라틴(cisplatin) 혹은 카보플라틴(carboplatin)이다. 머크는 자료모니터링 위원회(data moni
이연제약이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뉴라클사이언스에 100억원을 투자했다. 뉴라클사이언스는 이번 투자를 통해 2020년 ‘신경교흉터’를 타깃하는 새로운 기전의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글로벌 임상에 진입할 계획이다. 브라만인베스트먼트는 17일 ‘브라만투자조합 1호’를 결성해 알츠하이머병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 벤처인 뉴라클사이언스에 지분 취득 방식으로 100억원을 투자했다고 밝혔다. 브라만인베스트먼트는 이연제약의 자회사로 작년 8월 설립 이후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산업 내 유망 벤처를 발굴해왔는데 첫 투자처로 뉴라클사이
퇴행성뇌질환을 이미징기술인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로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APRINOIA Therapeutics가 시리즈B에서 11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를 리드한 것을 한국 KTB네트워크와 일본 DCI 파트너스이며 이밖에 중국 hangPharma 인베스트먼트그룹, 대만 TaiAn 테크놀로지스가 참여했다. APRINOIA는 이번에 유치한 자금으로 퇴행성뇌질환의 이미징 진단과 치료제 파이프라인의 개발에 투입한다. 회사는 아시아에 포진돼 있는 투자사
Korea’s bio-venture company Eubiologics will go global with inactivated oral cholera vaccine in a plastic tube. Eubiologics announced on January 5 that it would ship 2.45 million doses of the vaccine to Zambia and Somalia in Africa. The cholera vaccine called ‘Euvichol-Plus’, a bivalent vaccine th
Korea’s biotechnology company ToolGen will invest 30.0 billion KRW in diversifying its portfolio in the agriculture/livestock and pharmaceutical sectors, while laying out its initial public offering plan in the KOSDAQ market. In its regulatory filing on January 5, ToolGen announced its capital inc
알테오젠이 올해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Eylea)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임상에 본격 착수한다. 알테오젠은 17일 자체 제제 및 제형 기술을 적용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ALT-L9)의 미국 비임상시험에서 오리지널 대조약과 동등성(similarity)을 확보했으며 특이한 부작용없이 성공적으로 종료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비임상시험에 대한 공식보고서가 나오는대로 미국 식품의약품 임상시험 승인절차를 밟아 이르면 올해 임상에 돌입할 계획이다. 알테오젠은 지난 9개월간 세계적인 GLP 인증 전임상시험 기관인 미국 MPI Researc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BMS, 'PRMT5 저해제' 새 단서? "EGFR 폐암 ORR 57%"
보로노이, 'RIPK1 저해제' 美앤비아서 옵션행사 "양도"
큐로셀, 100억 규모 CB 발행 결정
올락, 시리즈A 5천만弗..'사노피 L/I' pan-ROCK 개발
릴리, ‘경구 GLP-1' vs리벨서스 당뇨병 3상 "우세"
CSL, ‘항응고제 역전제’ VarmX 22억弗 인수옵션 딜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유한양행, 오송 신공장 기공..'글로벌 수준' 제조라인 구축
종근당, '자율형 공장 구축사업' 발대식
셀트리온, 졸레어 시밀러 '옴리클로' 유럽출시
종근당, 한국노보노와 '위고비' 공동판매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