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이반트 사이언스(Roivant Sciences)가 Nabriva Therapeutics의 항생제에 대한 중국 판권을 취득하면서 중국 지역에서의 파이프라인 강화에 나선다. 최근 ArQule의 섬유아세포성장인자수용체(FGFR) 억제제인 derazanitinib의 중국 판권을 확보한데 이어 올해만 두 번째다. 항생제 개발 전문회사 Nabriva Therapeutics는 세균성 폐렴 치료를 위한 항생제 후보물질인 Lefamulin의 중국 지역에서 개발과 상업화 권리에 대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계
유틸렉스는 글로벌임상 및 신약개발 총괄 담당으로 한정훈 부사장(전 암젠 아시아태평양 항암사업부 메디칼부 총괄)을 영입했다고 27일 밝혔다. 한 부사장은 고려대 유전공학과를 졸업하고 UMDNJ (Univ. of Medicine & Dentistry in New Jersey)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하버드 메디컬 스쿨에서 박사 후 연구과정을 수행했다. 2001년 일라이릴리 코리아의 마케팅 담당으로 입사 후 아스트라제네카, BMS, 베링거잉겔하임, 먼디파마 등 굴지의 다국적 회사에서 다수의 신약 상업화를 진행한 경력을 보유하고있다.
코오롱생명과학 유전자 치료제 인보사케이를 처방받은 골관절염 환자의 24개월 추적 조사 결과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무릎 기능성 및 활동성 평가(IKDC)를 비롯해 통증지수평가(VAS) 골관절염 증상 평가(WOMAC) 등의 지표에서 인보사케이의 효과가 24개월까지 지속하는 것을 확인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최근 미국 루이지애나에서 열린 2018 미국정형외과학회(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AAOS) 학술대회에서 ‘인보사-케이’(INVOSSA-K)의 최신 한국 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가장 주목받는 PD-(L)1 약물을 둘러싼 경쟁에서 로슈의 '테센트릭(Tecentriq)'이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로슈는 4기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진행한 IMpower150 임상3상에서 전체생존률(OS)이 연장됐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로슈는 이들 환자군에서 1차치료제로서 승인받겠다는 목표다. 임상3상의 1차 총족점으로 OS, 무진행생존기간(PFS)이 설정됐다. 임상 그룹은 크게 3개로, 핵심 임상군인 테센트릭+아바스틴+화학요법 병용투여군에서 OS 연장효과가 있었다. 특히 로슈는 비소세소폐암 환자에서 PD-L1
테라젠이텍스는 최근 곽여성병원·삼광의료재단·제노맘과 유전체 분석을 통한 연구 및 사업 활성화를 위한 4자 업무협약(MOU)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곽여성병원은 최근 8년 연속 전국 1위 최다분만병원으로 전국에서 산모가 가장 많이 찾는 병원으로 알려져 있다. 삼광의료재단은 전국 3500여곳의 의원·병원·대학병원·연구기관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임상검사 의뢰를 받아 처리하는 대형 수탁기관이다. 업무 협약 내용에 따라 △개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헬로진) 및 비침습적 산전 기형아 검사(제노맘) 서비스 확대를 위한 공동 협력, △유전체 데
한국바이오협회는 오는 29일 경기R&D센터에서 경기권 바이오기업 대상 투자세미나를 개최한다. 경기바이오센터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이번 세미나는 한국바이오협회의 바이오 스타트업 대상 바이오펀드 지원방안, IPO를 통한 바이오기업 상장전략, 투자사의 바이오기업 투자방안 등의 내용으로 진행된다. 먼저, 바이오 스타트업 및 바이오 펀드 지원 세션에서는 한국바이오협회 창업부문의 반재복 이사가 협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바이오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IPO를 통한 바이오기업 상장전략이라는 주제로 한국거래소의 정하원 과장이 비
아블링스(Ablynx)의 항 IL-6R 나노바디인 보바릴리주맙(vobarilizumab)의 용량을 설정하기 위한 임상2상 연구에서 실망스러운 결과가 나왔다. 올해 초 사노피가 48억달러에 인수한 아블링스는 전신홍반루푸스(Activ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치료제 후보물질인 보바릴리주맙의 임상시험 중간결과 1차종결점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26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STEADY 연구는 2015년 8월 시작해 SLE 환자 312명을 대상으로 위약 투여군과 보바릴리주맙 4가지 용량(4주마다
알테오젠은 네덜란드의 전문의약품 연구·개발 제약사인 'LinXis'와 허셉틴 바이오시밀러(ALT-02)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알테오젠은 LinXis사가 개발한 허셉틴 기반 ADC 의 신약개발에 허셉틴 바이오시밀러를 독점 공급하게 됐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사를 두고 있는 LinXis는 2011년에 설립된 암질환 및 만성질병 전문 의약품 개발 업체로 Lx technology라는 독자적인 ADC 기술을 기반으로 Her2+ 유방암을 타깃으로 하는 다수의 허셉틴 기반 ADC 파이프라인을 구축하
최근 면역치료법이 부각되면서 수지상세포(DC, dendritic cell)를 이용한 암백신이 재조명되고 있다. 2010년에 덴드리온(Dendreon)의 ‘프로벤지(provenge)’가 처음 허가받은 이후로 수지상세포가 주목받지 못했던 이유는 다른 면역세포 치료법과 비교해 낮은 항암효과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방식으로 암항원을 탑재하고 종양침투 수지상세포(CD141+)를 이용하고, PD-(L)1과 병용투여하는 등 임상에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면서 선천성 면역인자인 수지상세포가 가진 가능성이 재조명되고 있다. 국내에서 수지상세포
지금까지의 연재를 통해서 현대 항암치료의 근간이 되는 저분자 화합물에 의한 항암표적치료제와 항체 기반의 항암치료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연재를 포함하여 앞으로 약 5회에 걸쳐서는 최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있는 면역항암요법(Cancer Immunotherapy)에 기반한 항암치료제의 개발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사실 인체의 면역계를 이용하여 항암치료를 하는 면역항암요법은 근래에 큰 관심을 끌게 되었고, 이는 ‘키트루다’(Keytruda)나 ‘옵디보’(Opdivo)와 같은 면역 체크포인트(Immune checkpoi
한국오노약품공업과 한국BMS제약은 26일 면역항암제 옵디보가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위 선암 적응증을 추가로 승인 받고 전형적 호지킨 림프종에 대한 적응증을 확대 승인 받았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옵디보는 국내에서 7개 암종에 8개의 적응증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적응증 추가 및 확대 승인으로 옵디보는 PD-L1 발현여부와 관계없이 ▲이전 두 가지 이상의 항암화학요법 후에도 재발하거나 진행된 위 선암 또는 위식도 접합부 선암의 치료 ▲자가조혈모세포이식(HSCT) 전 혹은 후에 브렌툭시맙 베도틴 투여에도 재발하거나 진행된
국내 기업들이 주주총회 시즌에 돌입한 가운데 정관 변경, 신규 이사 선임 등을 통해 바이오 분야를 신사업으로 추진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유망 바이오분야를 신규 사업으로 추진함으로써 기업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은 국내외 바이오기업 투자, 인수 등에 나설 계획이다. 26일 업계와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정보보안 업체인 닉스테크는 이날 주주총회를 열어 상호를 바이오닉스진(BIO NICSGENE CO.,LTD)로 변경하고 사업목적도 △바이오신약 개발, 제조 및 판매업 △생명공학 관련 사업 △백신류 및 관련된 진단제 개
종근당이 헌팅턴병 치료제 후보물질인 'CKD504'의 임상개발에 돌입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1일 CKD504의 임상1상을 승인했다. 임상1상은 건강한 한국 및 코카시안 성인을 대상으로 CKD504의 단회투여 및 반복투여, 단계적 약물증량에 따른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적 특징을 평가한다. 임상1상은 총 64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진행하며, 임상기간은 11개월로 내년 2월경에 종료될 예정이다. 종근당은 지난해 2분기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CKD-504의 임상1상 승인신청서를 제출한바 있다. 그러나
국내 바이오벤처 제넨셀이 천연물 활용한 대상포진치료제 개발에 도전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제넨셀은 최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대상포진(Herpes zoster) 치료후보물질 ES16001의 임상 1상을 승인받았다. 건강한 성인 48명을 대상으로 ES16001를 단회 혹은 반복으로 경구 투여 후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이다. 제넨셀은 경희대 강세찬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천연물 대상포진치료제 기술을 이전받아 2016년 설립한 기업이다. 강 교수 연구팀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에 선정돼 2012~
크리스탈지노믹스가 자체개발 1호 신약 ‘아셀렉스’를 활용한 복합제 개발 임상에 본격 돌입한다. 아셀렉스에 또다른 진통제 ‘트라마돌’를 결합시킨 더 강력한 효과의 진통제로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크리스탈의 아셀렉스(성분명 콜마콕시브)와 비마약성진통제 트라마돌을 결합한 복합제 'CG100650'가 최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1상을 승인받았다. 임상은 구성성분간의 약물상호작용 및 약동학적 특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무작위 배정, 공개, 반복투여, 평행 임상시험으로 국내 건강한 성인 39
김상범 이수그룹 회장이 이수앱지스의 각자 대표이사에 이름을 올리고 경영에 직접 참여한다. 이수앱지스의 바이오신약 및 바이오시밀러 개발사업을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점찍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행보다. 이수앱지스는 지난 23일 판교 본사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김상범 이수그룹 회장의 무보수(1원) 등기이사 선임안이 승인됐다고 25일 밝혔다. 아울러 주총 직후 열린 이사회에서는 등기임원에 이름을 올린 김상범 회장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이로써 이수앱지스는 기존 단독 대표이사 체제에서 김상범 회장과 이석주 대표의 각자 대표이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BMS, 'PRMT5 저해제' 새 단서? "EGFR 폐암 ORR 57%"
보로노이, 'RIPK1 저해제' 美앤비아서 옵션행사 "양도"
큐로셀, 100억 규모 CB 발행 결정
사노피, ‘OX40LxTNFα’ HS PoC 2a상 “경쟁력 확인”
로슈도, MASH ‘FGF21’ 89바이오 “35억弗 인수”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유한양행, 오송 신공장 기공..'글로벌 수준' 제조라인 구축
종근당, '자율형 공장 구축사업' 발대식
셀트리온, 졸레어 시밀러 '옴리클로' 유럽출시
종근당, 한국노보노디스크와 '위고비' 공동판매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