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앞으로 헬스케어 산업에 드라마틱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본다. 질병을 치료하는 더 혁신적인 약물이 부각되고 있으며, 빅파마의 M&A에서 초기단계의 딜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까지 5년간 일어난 70건 이상의 '빅딜(Big deal)'을 분석해보면 건수, 규모면에서 이러한 경향을 극명하게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기단계의 기술을 발굴해 상업화(commercialize)를 서포트, 인큐베이션에 집중하는 펀드모델인 이스라엘의 'FutuRx'을 소개하려고 한다. 올해 국내기업도 입주할 예정이다." 문병찬 RM G
서울바이오허브가 입주할 바이오 스타트업을 공개 모집한다. 14일 서울바이오허브에 따르면 서울시는 오는 6월 8일까지 새로운 창업기업의 서울바이오허브 입주 신청을 받는다. 이번 입주기업 모집 대상은 창업 후 5년 이하(공고일 기준 60개월 이내)의 창업기업 및 기업부설 연구소이며 창업예정자의 경우 입주 시까지 사업자 등록을 완료해야 한다. 모집 분야는 의약, 의료기기, 디지털헬스 등 바이오·의료 분야로 최대 12개 기업을 선발한다. 서울바이오허브는 지난해 10월 산업지원동 개관을 시작으로 올 하반기 연구실험동과 내년에 지역열린동을
알츠하이머병 신약 연구개발은 이전과는 다른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바이오마커가 본격적으로 출현하면서 나타나는 변화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선별하고 약물 효능을 평가하는 단계까지, 이제 알츠하이머병 신약개발 과정은 바이오마커로 시작해 바이오마커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알츠하이머병에서 바이오마커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며, 진단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가지 바이오마커를 동시에 측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중에서 살아있는 환자 뇌속의 병리단백질을 영상화해 측정해 수치화할 수 있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Positro
차바이오그룹이 다래LAW&IP그룹과 바이오분야 유망 특허기술 발굴과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14일 판교 차바이오컴플렉스 5층 회의실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양사는 ▲기술개발 전략 수립 ▲유망기술 발굴∙평가∙이전 및 사업화 ▲지식재산권 출원 기타 권리화 ▲법률자문 및 분쟁 예방 등 분야에서 상호 협력할 것을 합의했다. 다래LAW&IP그룹은 연간 30개 이상 바이오기업의 유망 기술에 대한 미래 가치를 평가하고 국내외 2000건 이상의 기술을 심층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업화를 위한 특허 확보 전략, 기술 사업화 전략
EOFlOW, which develops wearable disposable insulin pumps, has successfully attracted 14 million dollars in series C investment. The company plans to speed up the development of wearable artificial panceras with the production of 'EOPatch', which was approved to sell domestic grade 4 medical device
국내 새로운 바이오텍 2곳이 모습을 드러냈다. 줄기세포를 효과적으로 배양하기 위한 모니터링 플랫폼을 보유한 셀2인(Cell2in)과 인간 Fab 항체 라이브러리와 항알부민기전을 이용한 지속형약제 개발 플랫폼을 가진 에이프릴바이오다. Cell2in과 에이프릴바이오는 최근 열린 '바이오코리아 2018'에서 기업설명회를 갖고 회사가 가진 핵심 플랫폼 기술을 공개했다. 먼저 Cell2in은 2016년 설립된 바이오텍으로 줄기세포를 치료제에 가장 적합하고 효과가 높은 상태로 배양하기 위한 줄기세포 모니터링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김인
한국팜비오는 미국 트리베나(Trevana)가 개발 중인 정맥주사용 마약성 진통제 올리세리딘(Oliceridine)의 한국시장 내 개발 및 제품화를 위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올리세리딘은 중등도 및 중증 급성 통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면서 기존의 약물들에 비해 부작용은 줄이도록 만들어진 신약으로 개발 중이다. 올리세리딘은 2016년 미국식품의약국(FDA)에 혁신 치료제(Breakthrough therapy)로 등록됐다. 올리세리딘은 총 800여명을 대상으로 한 2차례의 대규모 3상 임상시험을 거쳤으며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치매DTC융합연구단이 타우(Tau) 단백질을 타깃으로 한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했다. 타우의 응집과 과인산화를 억제하는 기전의 신약 후보물질이다. 타우 단백질은 아밀로이드베타(Aβ)를 겨냥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임상이 줄줄이 실패하면서 새롭게 떠오르는 타깃으로 국내외에서 연구가 활발하다. 국내에서는 메디프론, 아델 등이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 배애님 치매DTC융합연구단장은 지난 11일 바이오코리아 2018에서 진행한 뇌과학 세션에 참여해 "알츠하이머는 다른 질환에 비해 임상 진행중
테라젠이텍스는 유전자 전문 자회사인 지놈케어를 통해 난임 여성의 최적 착상일을 찾아낼 수 있는 검사 서비스 ‘ERA(자궁내막 수용성 분석)’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이 검사 서비스는 여성의 자궁내막에서 추출한 조직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 인공수정 시 배아가 착상될 수 있는 개인별 최적의 시기를 특정하는 것이다. 테라젠이텍스 관계자는 "이 검사를 활용하면 체외 수정 시술의 성공 가능성이 25% 가량 더 높아질 수 있다고 2016년 미국 생식의학회에서 발표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ERA’ 검사 서비스는 이미 미국, 유럽, 일
올해들어 체내 면역을 활성화하는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IL, Interleukin)' 약물 관련 딜이 잇달아 터지고 있다. 일라이릴리는 ARMO Bioscience를 주당 50달러로 책정, 현금인수로 16억달러(약 1조7152억) 규모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인수절차는 올해 2분기말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번 인수를 통해 일라이릴리는 ARMO의 페길레이션을 통해 반감기를 늘린 지속형 인터루킨-10(PEGylated IL-10)인 'AM0100(pegilodecakin)'을 확보하게 됐다. AM0100은 업계에
“아벨리노랩은 크리스퍼 기술을 적용해 세계최초로 각막이상증 분야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각막은 안구의 바깥쪽 세포표면에 있어 치료제가 몸 속으로 들어가 독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크리스퍼 기술을 활용해 치료제 개발 성공의 가능성이 큰 분야다. 또한 각막이상증 유전자 검사 서비스도 전세계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비록 작은 분야라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가 개척한 새로운 시장이다. 아벨리노랩은 카피캣(copy-cat)이 아닌 ‘퍼스트무버(first mover)’로서 새로운 시장에 도전하는 바이오회사가 되겠다.” 이진 아벨리노랩 회
알테오젠은 차세대 지속형 인간 성장호르몬(ALT-P1)의 소아 임상 2상이 산업통상자원부의 혁신 IP 글로벌 제품 사업화 과제에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약 5년(3+2)간 최대 114억원(정부 출원금 약 76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과제 대상인 차세대 지속형 인간 성장호르몬(ALT-P1)은 알테오젠이 자체 개발한 지속형 플랫폼 기술인 NexPTM 기술로 활용해 체내에서 적은 용량으로 오랫동안 효능을 낼 수 있도록 설계됐다. 알테오젠은 현재 3개 국내 대학병원에서 진행 중인 성인환자 대상의 임상 1b/2a를 성공적
연세의료원 임상시험 글로벌선도센터 컨소시엄(SCI-C)은 대학병원과 제약·바이오 기업간 지속적인 연구개발 협력을 위해 온라인 소통 창구를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제약사나 바이오텍 등 수요자가 간편하게 연구 제안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 컨소시엄에는 세브란스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인하대병원이 참여하고 있다. SCI-C 통합 운영 홈페이지(www.sci-c.org)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 Hospitals’ 카테고리에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코너
국내 바이오기업, 바이오산업이 1년새 훌쩍 컸다. 많은 신생 바이오기업이 진전된 연구결과를 가지고 양지로 나오기 시작했으며 또 많은 바이오기업들은 연구개발을 가속화하는 시리즈A부터 프리IPO 투자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국내외 기업들과의 공동연구, 기술이전 등의 전략적 협력도 구체화되는 모습이다. 1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코리아 2018' 현장에서는 새로운 바이오기업들이 눈에 많이 띄었다. 그동안 업계 동향 파악이나 파트너링을 위해 행사장을 찾던 연구자나 바이오기업들이 부스를 열거나 기업설명회를 통해 모습을 드러
이원다이애그노믹스와 아이큐어가 코스닥 상장을 확정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1일 코스닥시장 상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두 회사의 상장예비심사를 승인한다고 밝혔다. 이원다이애그노믹스는 작년 12월 말, 아이큐어는 지난 3월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한 바 있다. 두 회사는 증권신고서와 투자설명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공모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상장주관사는 SK증권과 키움증권이다. 이원다이애그노믹스는 이원의료재단과 미국 다이애그노믹스가 2013년에 합작 설립한 회사로 각종 유전체 정보 분석 및 응용 기술을
중국에서도 면역항암제 붐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면역항암제 전문기업에 또한번 중국 바이오파마 역사상 가장 큰규모의 투자유치가 이뤄졌다. CStone Pharmaceuticals은 시리즈B로 2억6000만 달러(약 2787억원)를 투자받았다고 지난 9일 밝혔다. 2016년에 시리즈A로 1억4000만 달러를 합하면, CStone은 이로써 총 4억1000만 달러를 유치하게 됐다. CStone은 당시 사노피의 Asia-Pacific R&D 책임자인 Frank Jiang를 대표이사로 영입한 바 있다. 이번 시리즈B는 중국 바이오파마에서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BMS, 'PRMT5 저해제' 새 단서? "EGFR 폐암 ORR 57%"
보로노이, 'RIPK1 저해제' 美앤비아서 옵션행사 "양도"
큐로셀, 100억 규모 CB 발행 결정
로슈도, MASH ‘FGF21’ 89바이오 “35억弗 인수”
이노퓨틱스, 'AAV' 파킨슨병 "국내 1상 IND 승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졸레어 시밀러 '옴리클로' 유럽출시
종근당, 한국노보노디스크와 '위고비' 공동판매 계약
지아이이노, CD80-IL2+마이크로바이옴 "항노화 임상"
마티카바이오랩스, 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