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파홀딩스가 보유한 미국 신약개발기업 바이럴진 주식 전량을 매각했다. 알파홀딩스는 이번 매각으로 또다른 미국 신약개발기업인 온코섹과 시스템반도체 사업 부문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26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알파홀딩스와 자회사 알파바이오랩스는 필룩스, 코아젠투스에 바이럴진 주식 전량 1005만주를 280억원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내년 5월 10일까지 단계적으로 주식 대금을 지급받는 조건으로 이후 해당 주식에 대한 소유권 이전을 완료하는 계약이다. 알파홀딩스는 2016년 미국 대장암 백신개발업체인 바이럴진의 지분 37.6%를
국내에서 자체개발한 글로벌 신약이 탄생할 수 있을까? SK 자회사 SK바이오팜이 자체 개발한 뇌전증 신약 후보물질 ‘세노바메이트(Cenobamate)’의 신약 판매허가(NDA) 신청서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고 26일 밝혔다. 국내 기업이 기술수출없이 직접 글로벌 임상3상까지 추진해 FDA에 NDA를 제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노바메이트는 뇌전증을 치료하는 중추신경계 난치성 질환 치료제다. 계획대로 FDA 판매 허가를 받게 되면 2020년 상반기 내 미국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SK바이오팜은 북미·유럽·아
유한양행(12억5500만달러), 코오롱생명과학(5억9160만달러), 인트론바이오(6억6750만달러), 앱클론(4000만달러).. 11월 국내 바이오제약의 대형 기술수출 계약이 잇따라 성사되면서 올해 글로벌 기술이전 실적도 크게 상승했다. 올해 바이오제약 주식시장은 대외변수와 회의론으로 크게 흔들렸지만 기업들은 연구개발 성과로 스스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26일 바이오스펙테이터가 올해 국내 바이오제약의 글로벌 기술이전 성과를 종합한 결과 11월까지 총 11건이 기술수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 규모는 41억8900만달러(약 4조7400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 20일 불응성, 재발성, 진행성의 원발성 혈구탐식성 림프조직구증(Primary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pHLH)을 앓거나, 기존 HLH 치료제에 내성을 보이지 않는 소아 및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스위스 바이오제약사 노브이뮨(Novimmune SA)과 소비(Swedish Orphan Biovitrum, Sobi)의 '가미판트(Gamifant, 성분명: emapalumab-lzsg)'를 승인했다. 가미판트는 FDA의 승인을 받은 유일한 원발성 HLH 치료제가 되
화이자가 개발한 SMO 수용체 억제 기전의 혈액암 치료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 FDA는 21일(현지시간) 화이자의 '다우리스모(Daurismo, 성분명 glasdegib)'를 고강도 화학치료가 불가능한 75세 이상의 신규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치료제로 승인했다. 다우리스모는 다양한 암종에서 과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SMO(smoothened) 수용체를 억제함으로써 종양세포의 증식에 관여하는 신호체계를 차단하는 기전의 화학합성제제다. 다우리스모의 이번 승인은 시타라빈 단독 치료 환자와 다우리스모와 시타라빈
국내 체외진단기업 수젠텍이 1주당 1주를 배정하는 1대1 무상증자를 실시한다. 기업공개 절차를 앞두고 주식 공모와 거래를 활성화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수젠텍은 23일 이사회를 열고 신주 586만1517주를 발행하는 무상증자를 결의했다. 신주 구성은 보통주식 571만3003주, 기타주식(우선주) 14만8514주다. 신주 배정 기준일은 내달 10일이며, 신주의 상장 예정일은 내년 1월 8일이다. 무상증자 후 수젠텍의 총 발행주식수는 우선주 29만 7028주를 포함해 총 1172만3034주가 된다. 회사 관계자는 "코스닥 이전상장을 앞
툴젠이 CRISPR/Cas9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희귀 유전질환인 샤르코마리투스병 1A형(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CMT1A) 치료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이재영 툴젠 책임연구원은 “툴젠이 자체 개발한 CRISPR/Cas9 기술로 샤르코마리투스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마우스 모델에서 원인 유전자인 PMP22의 TATA-box를 타깃한 CRISPR/Cas9의 표적 특이성, 전달효능, 치료효과를 모두 확인했다”며 최근 열린 '제 13회 한국유전자세포치료학회(KSGC
지플러스생명과학이 리보핵단백질을 원형질체로 전달하는 방법을 개선한 작물 유전자교정 기술에 대한 국내 특허를 등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기존에 확보한 유전자 교정기술의 효율을 2배 이상 개선해 식물 단일세포에 유전자가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최성화 지플러스생명과학 대표는 2015년 CRISPR/Cas9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작물 유전자교정에 성공해 ‘네이처바이오테크널러지(Nature Biotechnology)' 저널에 발표한 바 있다. 최 대표는 “이 기술은 2015년 CRISPR/Cas9 유전자가위를 이
Samsung BioLogics will file an administrative lawsuit and application to suspend and invalidate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SFC)'s decision to suspend the company due to alleged accounting fraud. "We are planning to apply for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suspension of execution as soo
글로벌 시장 진출을 꿈꾸는 국내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8개 스타트업이 새로운 전략과 비전으로 투자자 앞에 섰다. 7개월간의 액셀러레이션 프로그램을 마친 디플리·모어이즈모어를 비롯해 밸류앤드트러스트 보비씨엔이 와인 플라워메디칼 페로카 프로큐라티오가 그 주인공이다. 국내 바이오헬스케어 액셀러레이터 액트너랩은 22일 서울 강남구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강남호텔홀에서 '2018 글로벌 액션 파트너스 데모데이'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K-Global 액셀러레이터 육성사업'의 수행기관인 액트너랩이 8개 스타트업을 대
SK바이오사이언스는 프리필드시린지(Prefilled Syringes, 사전충전형 주사기) 형태의 대상포진백신 ‘스카이조스터주’를 새롭게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프리필드시린지 스카이조스터는 주사용수와 동결건조 백신을 혼합 후 이를 다시 주사기에 옮겨 담는 기존 바이알(주사용 유리용기) 제형의 번거로움을 개선한 제품이다. 프리필드시린지 제형은 주사용수를 주사기에 미리 충전한 형태로 기존 바이알 제형에 비해 접종 전 준비 과정을 한 단계 줄일 수 있다. 새로운 제형의 스카이조스터는 접종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주사기 외형에 두 가지
우정바이오가 국내 신약개발, 정밀의학 기업들과 네트워크를 확대하며 동탄에 들어설 '우정바이오 신약 클러스터'의 청사진을 구체화하고 있다. 우정바이오는 최근 한국콜마를 비롯해 셀비온, 커넥타젠, 인핸스드바이오와 연속해서 프렌즈기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먼저 우정바이오는 한국콜마, 방사성의료품 연구개발기업 셀비온과 함께 ‘비임상 및 임상시험용 원료 및 제품 생산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들은 이번 협약에 따라 신약개발을 위한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 작은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을 위해 원스톱 비임상 솔루
알츠하이머 치매는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고 병기 진행을 더디게 늦추는 정도의 약물만 존재하는 탓에 조기 발견이 질병을 적절하게 관리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건으로 꼽힌다. 하지만 현재 활용되는 유전자 검사나 PET(양전자 단층촬영) 등은 정확도 혹은 비용 면에서 뚜렷한 한계를 갖는다. 최근 활발히 진행되는 것이 MRI(자기공명영상)를 활용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 연구인데 미국 연구진이 MRI의 확산 텐서 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 DTI)을 활용한 진단법을 공개했다. 미국 워싱턴대 의과대학 말린크로트 영상의학연구
미국 텍사스대 MD 앤더슨 암센터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치료 중 발생하는 부작용 중 하나인 대장염에 분변이식이 치료효과가 있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대장염 표준치료에 내성을 보인 면역항암제 연관 대장염 환자 2명에게 분변 이식(fecal microbiota transplant)한 결과를 지난 12일 ‘Nature Medicine’에 게재했다.(doi: 10.1038/s41591-018-0238-9) 대장염은 전체 면역항암제 투여 환자의 40%에서 발생하는 두번째로 많은 부작용이다. 면역항암제 투여 과정에서 대장
셀트리온헬스케어는 22일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가 국내 최초로 글로벌 시장에서 연간 처방액 1조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의약품 시장 조사기관인 IQVIA(아이큐비아)에 따르면 램시마는 최근 1년 동안 전 세계에서 1조3000억원 이상 처방된 것으로 확인됐다. 누적 처방액은 올 2분기까지 약 2조 6000억원에 달한다. 현 추세가 이어질 경우 연말에는 3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셀트리온헬스케어 관계자는 "램시마가 2013년 하반기 유럽에 처음 론칭한 직후에는 연간 처방액이 2014년 1
지플러스생명과학이 미국 바이오팩트(BioPact)와 협력해 크리스퍼플러스 유전자교정 효소 전달 플랫폼을 개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지플러스생명과학은 바이오팩트가 보유한 탄소 나노 튜브(CNT) 기술인 ‘MGMR™’을 활용해, 지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크리스퍼플러스(CRISPR PLUS™) 유전자가위 단백질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세포 내에 전달하는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미국 텍사스 주에 위치한 바이오팩트가 개발한 탄소 나노튜브 기술인 ‘MGMR 기술’은 세포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세포독성을 유도하지 않고, 고효율로 단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알테오젠, '아일리아 시밀러' 유럽 "시판허가 획득"
에스티팜, 내달 PoC 결과 ‘ALLINI’ HIV “개발전략은?”
이노퓨틱스, 'AAV' 파킨슨병 "국내 1상 IND 승인"
메이즈, ‘SLC6A19 저해제’ PKU 1상 "긍정적"..주가 급등
코스타시스, '비강투여' 부메타니드 이뇨제 "美 승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보로노이, 'RIPK1 저해제' 美앤비아서 옵션행사 "양도"
지아이이노, CD80-IL2+마이크로바이옴 "항노화 임상"
마티카바이오랩스, 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앱클론, '네스페셀'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