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면역세포치료제 개발기업 셀리드가 20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2006년 회사 설립 이후 약 13년만에 기업공개에 성공한 강창율 대표(서울대 약대 교수)는 "면역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셀리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서울사옥 홍보관에서 정운수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 강창율 셀리드 대표, 오태권 연구소장, 강수연 전무, 장경희 상무 등이 참석한 가운데 코스닥시장 신규상장기념식을 개최했다. 셀리드는 B세포 기반의 새로운 면역항암제 개발 기업이다. 미국 아이덱 파마슈티컬스(I
아이진은 자체 개발 중인 심근허혈 및 재관류 손상 치료제 '이지-마이오신(EG-Myocin)’의 국내 임상 2상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신약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단계로 급성 심근경색 환자 중에서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CI)을 시술받는 약 60명의 환자에게 치료제 또는 위약을 1일 1회 총 5일간 피하 투여해 심근허혈 및 재관류 손상의 억제 효과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심근허혈 및 재관류 손상(myocardial ischemia - reperfusion injury)’은 주로 심장질환
제일헬스사이언스가 19일 간장보호제 신제품 '레드리버 연질캡슐'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항산화제 ‘밀크시슬엑스350mg(식물성 실리마린으로서 196mg)’을 단일성분으로 하는 고함량 간장 보호제로 간세포막을 안정시켜 독성물질로부터 간장을 직접적으로 보호하고 손상된 간장조직을 재생시켜준다. 레드리버 연질캡슐의 단일성분인 ‘밀크시슬’은 엉겅퀴 풀의 일종으로 알코올 분해, 기침, 소화촉진, 우울증, 만성간염 등에 효능이 있으며 스트레스, 술 등으로 인해 높아진 GOT, GPT 등의 간수치를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 제일헬스사이언스 마케팅부
지난 연재에서는 혈액 순환의 원리와 고혈압이 언제부터 질병의 요소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는지에 대한 역사를 알아보았다. 이번 연재부터는 실제로 고혈압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의 역사를 살펴보도록 한다. 초창기의 고혈압 치료 시도들 1950년대 이전에는 아직 고혈압이 각종 질병의 위험요소로 크게 인식되지도 않았지만, 설사 그렇다고 해도 큰 부작용 없이 혈압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고혈압에 대한 치료는 널리 시도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나마 알려졌던 혈압 강하의 수단들도 심장질환 환자 등 한정된 한자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알보젠(Alvogen)이 미국의 메가 블록버스터(blockbuster) 의약품 ‘레블리미드(성분명: lenalidomide)’의 제네릭 의약품을 최초로 출시한다고 지난 13일 발표했다. 판매 범위는 독일, 폴란드 체코,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불가리아 및 발트해 연안 국가를 포함한 CEE(Central and Eastern Europe) 시장이다. 제네릭 제품은 2.5, 5, 7.5, 10, 15, 20, 25mg의 경질 캡슐로 시판된다. CEE 지역에 출시된 후 레블리미드의 제네릭은 2019년 알보젠의 자회사인 로투스(Lotus
펨토바이오메드가 한국투자증권과 위드윈인베스트먼트로부터 시리즈B로 6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회사는 지난 2015년 한국투자증권과 한화투자증권으로부터 시리즈A로 35억원을 포함 총 95억원을 투자받았다. 이상현 펨토바이오메드 대표는 바이오스펙테이터와의 전화 통화에서 "이번 투자 자금으로 셀샷(CellShot) 플랫폼 기술의 개념입증(Proof of concept, PoC)을 하기 위한 동물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다“며 ”또한 셀샷 시스템을 구현하는 시설을 구축하고, 바이오 전공 R&D 인력을 충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펨토바이오메드는
On February 13th 2019, Samsung Bioepis released the list of Biogen executives who have joined their Board of Directors. Biogen became a Joint Management Body by acquiring 50%-1 shares of Samsung Bioepis as a call option last year. The BioGen executives joining the Board of Directors are Executive Vi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개발기업 고바이오랩이 올해 아토피와 중증 천식을 겨냥한 2가지 신약 후보물질의 글로벌 임상 1상에 돌입한다. 고광표 서울대 교수가 2014년 회사를 설립한 이후 첫 신약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입이다. 고바이오랩은 이를 통해 질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큐어바이오틱스(Curebiotics)와 건강기능/건강유지식품을 개발하는 케어바이오틱스(Carebiotics) 시장을 공략하려는 투트랙 전략도 본격화한다. 고광표 대표는 "작년 케어바이오틱스 분야의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바이오비옴’을 성공적으로 론칭했다. 올해는 2
동아에스티는 ‘제3회 동아ST Open Innovation 연구과제’를 공모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오픈이노베이션 연구과제 공모는 학계의 창의적인 기초 연구 지원 및 동아에스티의 혁신신약을 연구개발하는 데 있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모분야는 △퇴행성 뇌질환(희귀질환 포함) △동아ST 제품 적응증 확장 및 제반 연구 2가지다. 국내 대학 및 병원의 교수 또는 연구원이면 지원할 수 있다. 연구과제 공모접수는 3월 4일부터 3월 22일까지 진행된다. 동아에스티 홈페이지에서 연구계획서 서식을 내려 받아 작성한 후 o
T&R Biofab released its dental bioresorbable membrane product. Starting in February 2019, T&R Biofab will enter the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with MegaGen Implant as its exclusive distributor. MegaGen Implant specializes in the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of dental implants and medical equip
신생 면역항암제 개발기업 메디맵바이오가 3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메디맵바이오는 최근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와 BNH인베스트먼트로부터 30억원의 투자를 마무리했다. 삼성종합기술원 출신 강유회·조홍석 대표가 2017년 6월 회사를 설립한 이후 2년여만에 시리즈A 투자에 성공했다. 메디맵바이오는 2017년 TIPS프로그램(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에도 선정됐다. 강유회 대표는 영국 임페리얼대학(Imperial College)를 졸업했으며 옥스포드대(Univ of Oxford)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셀라토즈테라퓨틱스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과 ‘첨단재생의약치료제 연구개발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두 기관은 셀라토즈테라퓨틱스가 개발하고 있는 세포치료제와 엑소좀 등 첨단재생 의약 치료제 분야의 연구, 개발 및 생산에 대해 협력하게 된다. 향후 세포 치료제 신약의 글로벌 진출로 협력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셀라토즈는 지난해 10월에도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과 세포·유전자치료제 연구 협력을 맺은 바 있다. 병원을 기반으로 하는 세포·유전자치료제 특성을 고려해 향후 임상개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전략적
클리니젠(Clinigen)이 노바티스가 시판중인 '인터루킨-2(Interleukin-2, IL-2)' 항암제 '프로루킨(Proleukin)'의 전세계 판매 독점권을 모두 사들였다. 클리니젠은 지난해 7월 미국을 제외한 지역의 의약품 판매 권리를 인수한 바 있다. 클리니젠은 지난 13일 노바티스로부터 프로루킨의 미국 판권을 1억2000만달러의 계약금과 판매 마일스톤을 포함해 2억1000만달러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인수 절차는 4월까지 완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클리니젠은 프로루킨을 사용해 현재 미국 내에서 전이성 신장암을 비롯한 다양한
에이티젠이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자회사인 엔케이맥스의 인수합병을 결정하였다고 18일 공시했다. 두 회사의 합병 후 법인명은 엔케이맥스가 된다. 에이티젠은 선천면역세포인 NK세포 활성을 기반으로 체내 면역력 확인 및 검사가 가능한 진단 키트인 ‘NK뷰키트’를 개발해 판매해왔다. 에이티젠은 이 제품을 미국과 캐나다의 지사를 통해 북미지역에 판매 중이며, 태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다수 국가에 판매 승인을 획득하여 시장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인 NK365를 판메하고 있다. 엔케이맥스는 에이티젠 관계사(지분 40.71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대장암(colorectal cancer, CRC) 세포를 악성 종양세포로 바뀌게 하는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하버드대 화학 연구팀과 예일대 생화학과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이 독소를 내뿜어 DNA를 손상시켜 대장암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 결과를 지난 15일 사이언스 저널에 발표했다(doi: 10.1126/science.aar7785). 장내 미생물은 수백개에 이르는 독특한 저분자 물질을 만들고 2차 대사물질을 만들어 숙주인 인간의 질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왔다. 이전 연구에서 장내 박테리아와 장
"신규로 투자할 만한 유망 바이오기업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기업 수도 적을 뿐더러 너무 초기이거나 너무 밸류(가치)가 높아서 투자를 결정하기 쉽지 않습니다." 국내 바이오투자 시장에 수요(기업)와 공급(자금)의 불일치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시장의 관심과 자금은 바이오기업 투자에 쏠리고 있지만 정작 투자할 바이오기업이 마땅치 않은 것이다. 이러한 수요 공급의 불일치로 바이오기업의 몸값은 치솟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벤처캐피탈 등 창업 및 비상장기업 투자사들이 투자 대상 바이오기업 찾기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올해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알테오젠, '아일리아 시밀러' 유럽 "시판허가 획득"
에스티팜, 내달 PoC 결과 ‘ALLINI’ HIV “개발전략은?”
이노퓨틱스, 'AAV' 파킨슨병 "국내 1상 IND 승인"
메이즈, ‘SLC6A19 저해제’ PKU 1상 "긍정적"..주가 급등
코스타시스, '비강투여' 부메타니드 이뇨제 "美 승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보로노이, 'RIPK1 저해제' 美앤비아서 옵션행사 "양도"
지아이이노, CD80-IL2+마이크로바이옴 "항노화 임상"
마티카바이오랩스, 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앱클론, '네스페셀'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