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천승현 기자
▲한미약품은 지난 10일부터 14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리는 ADA에 참가해 현재 개발 중인 지속형 당뇨-비만신약의 주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10일부터 14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당뇨병학회(ADA)에서 현재 개발 중인 지속형 당뇨-비만신약의 주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한미약품은 독자 개발한 플랫폼 기술 ‘랩스커버리’가 적용된 바이오신약3종(에페글레나타이드, LAPSInsulin115, LAPSGLP/GCG(HM12525A))의 추가 연구결과 5건을 소개했다. 랩스커버리는 바이오의약품의 짧은 반감기를 늘려주는 플랫폼 기술로 투여 횟수 및 투여량을 감소시켜 부작용은 줄이고 효능은 개선하는 기술이다.
에페글레나타이드 관련 연구 2건에서는 당뇨∙비만 동물모델에서 뛰어난 체중감소 및 혈당조절 효과가 확를 확인됐다.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는 췌장 베타세포의 탈감작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보존효과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 임상시험에서 입증된 우수한 당뇨 및 체중감소 효력의 매커니즘을 규명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에페글레나타이드는 지난해 11월 프랑스 사노피에 기술수출된 당뇨신약 3종 중 하나로 세계 최초 월1회 투여 GLP-1계열 당뇨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주 1회 투여 인슐린 제제인 LAPSInsulin115의 경우 효과의 지속성을 최대화하고 투여용량을 낮출 수 있는 기전적 특성을 증명한 2건의 연구결과가 추가로 발표됐다.
한미약품 파트너사인 사노피는 올해 4분기내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임상 3상을 시작으로 ‘LAPSInsulin115’와 ‘LAPSInsulin Combo’ 등 나머지 퀀텀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임상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말 얀센에 기술수출된 'LAPSGLP/GCG(HM12525A)'의 추가 연구결과도 발표했다. 연구 결과 LAPSGLP/GCG은 당뇨, 비만 이외에 고지혈증 및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치료에도 효과가 있음이 추가로 입증된 것으로 나타났다.
권세창 한미약품 부사장은 “랩스커버리 기술 기반 당뇨·비만 신약들의 글로벌 임상이 파트너사를 통해 올해부터 본격화된다“며 “당뇨·비만 환자들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글로벌 혁신신약을 창출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