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엠바이오는 알테오젠과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생산 및 공급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양측은 알테오젠이 개발 중인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ALT-L9’의 글로벌 임상 3상을 위한 임상시료와 개발 완료 후 상업용 제품의 생산 및 공급에 있어 상호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아일리아는 독일 바이엘이 개발한 황반병성 치료제로 작년 전세계 관련시장 규모는 약 65억 달러(약 7조6000억원)에 달한다. 알테오젠은 올해 5월 식약처로부터 ALT-L9의 국내 임상 1상 승인을 받아 현재 진행 중으로 2
화이자에 이어 암젠도 자체 신경과학 연구개발(R&D)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최근 빅파마가 자체 신경과학 연구개발을 축소하거나 중단하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초 화이자는 중추신경계(CNS) 분야에서 300명을 해고하면서, CNS 연구개발을 중단했다. 지난 10월에는 퇴행성뇌질환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 있는 일라이릴리가 2020년말까지 CNS 분야의 핵심 R&D 센터인 영국 Erl Wood 신경과학 센터를 폐쇄하고, 미국으로 연구개발 파트를 옮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암젠은 지난 30일 열린 3분기 실적발표 자리에서 신
헵시딘(hepcidin) 신호 경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혈구 관련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디스크 메디슨(Disc Medicine)이 투자자들과 글로벌 제약기업의 주목을 받고 있다. 디스크 메디슨은 시리즈A를 통해 5000만달러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디스크 메디슨의 시리즈A 투자에는 노보홀딩스 A/S(Novo Holdings A/S), 액세스바이오테크놀로지(Access Biotechnology) 그리고 창립 투자자인 아틀라스벤처(Atlas Venture)가 참여했다. 같은 날, 디스크 메
인공지능 신약개발기업 신테카바이오와 인공지능 의료솔루션기업 제이엘케이인스펙션이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 인공지능 기반 바이오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코스닥 상장을 확정했다. 두 회사는 연내 코스닥 상장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신테카바이오와 제이엘케이인스펙션은 지난 30일 열린 코스닥 상장 심사위원회에서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 신테카바이오는 8월말, 제이엘케이인스펙션은 9월초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한지 약 두달여만이다. 2009년 설립된 신테카바이오는 신약 후보물질 발굴·약효예측 바이오
TG테라퓨틱스(TG Therapeutics)는 자사의 PI3K-δ(phosphoinositide-3-kinase-δ) 억제제 움브랄리십(umbralisib, TGR-1202)이 여포성 림프종(Follicular Lymphoma, FL) 환자대상 임상 2b상(NCT02793583, UNITY-NHL)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했다고 지난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움브랄리십은 2019년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림프종 치료를 위한 혁신 치료제(Breakthrough Therapies, BT)로 지정된 신약후보물질이다. 이번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후보 물질로 임상2상을 진행하던 IL-17C 항체 ‘MOR106’ 개발이 중단됐다. MOR106의 약효에 대해 무용성(futility) 판단이 내려졌기 때문이다. MOR106을 공동으로 개발하던 모포시스 AG(MorphoSys AG)와 갈라파고스 NV(Galapagos NV)는 지난 28일(현지시간) MOR106 개발중단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현재 진행하고 있던 MOR106 관련 임상시험은 모두 종료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개발중단의 근거로 MOR106 임상2상(IGUANA, NCT03568071) 중간분석(
동아에스티가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동아에스티는 3분기 매출액이 1617억원, 영업이익이 215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9%(1408억원), 영업이익은 163.4%(82억원)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63.4%(61억원) 증가한 215억원으로 집계됐다. 동아에스티는 3분기 매출은 전문의약품, 해외수출, 의료기기·진단 전 부문의 고른 성장과 1회성 기술수출 수수료의 유입으로 전년 동기 대비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전문의약품 부문은 자체개발 신약인 당뇨병
GC녹십자가 처음으로 3분기 누적매출 1조원을 달성했다. GC녹십자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액 3670억원, 영업이익 366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4.9%, 3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기순이익은 2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41.7%에 달했다. GC녹십자의 누적 매출은 1조161억원으로 창립이래 처음으로 3분기 누적매출이 1조원을 넘어섰다. 3분기 실적은 주력 사업의 성장과 효율적인 판매관리비 집행을 통해 매출 대비 수익지표가 대폭 호전되는 모습을
큐리언트는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열린 글로벌 최대 결핵학회인 WGND(Working Group on New TB Drug)에서 '텔라세벡(telacebec, Q203)'의 초기 임상 2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큐리언트는 지난 6월 텔라세벡의 임상2a상에서 1, 2차 유효성 충족점과 안전성 평가 목표를 달성했다고 밝혔으며, 이번 학회에서 임상 데이터를 발표했다. 다제내성결핵은 매년 50만명의 신규환자가 발생하고 치사율이 30~50%에 이르는 심각한 질병이다. 그러나 현재 시판된 약물은 얀센의 베다퀼린(bedaquline
와이바이오로직스가 자체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인 ALiCE(Antibody-Like Cell Engager)에 대한 첫 해외 파트너십 계약을 맺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파스칼 바이오사이언시스(Pascal Biosciences)와 ALiCE 기반 이중항체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30일 밝혔다. 계약 내용에 따라 파스칼의 급성 백혈병 관련 신규 항체에 와이바이오의 ALiCE 기술을 적용해 암 항원에 T세포를 끌어들이는 T세포 Engager의 효능을 유지하면서, 독성을 최소화시킨 혈액암 치료제를 개발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리드 항
9월 가을 찬바람과 함께 국내 벤처캐피탈의 바이오투자가 급감했다. 연이은 임상실패로 코스닥 바이오기업의 주가가 휘청대는 와중에도 이어지는 공격적인 바이오투자를 진행하던 벤처캐피탈이 신중모드로 돌아섰다. 30일 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바이오의료분야 투자액은 8928억원으로 집계됐다. 누적액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였던 작년 한해 투자액 8417억원을 뛰어넘어 신기록을 갱신했다. 업종별로도 바이오의료분야 투자는 전체의 28.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하지만 월별 추이를 살펴보면 5월부터 8월까지 매달 1000억원 이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는 글림스바이오(Glympse Bio)의 생체 내 감지기술(in vivo sensing technology)을 비알콜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임상개발에 이용하기 위해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세부적인 계약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글림스바이오는 섬유증(fibrosis), 암(cancer), 감염병(infectious disease)등과 관련된 질병 관련 효소(ex, 프로테아제(protease)) 특
국내 연구진이 난치성 ALK 양성 폐암 치료에서 YAP 유전자의 작용 기전을 규명하고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조병철 연세암병원 교수(종양내과)와 윤미란 제욱암연구소 박사 연구팀은 30일 난치성 ALK 융합 양성 폐암 치료에서 YAP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암 관련 광범위 연구나 리뷰 등을 발표하는 국제학술지 엠보 분자의학(EMBO Molecular medicine, IF 10.293) 최신호에 게재됐다. ALK(Anaplastic lymphoma kinase)
지난 30년 동안 미개척지로 여겨지던 KRAS 저해제의 긍정적인 임상 결과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암젠의 KRAS G12C 저해제와 승부를 겨루고 있는 미라티테라퓨틱스(Mirati Therapeutics)의 KRAS 저해제 ‘MRTX849’의 임상 데이터가 공개됐다. 미라티는 MRTX849를 투여한 비소세포폐암(NSCLC), 대장암(CRC) 환자에게서 부분 반응(partial response, PR)이 나타난 결과를 발표했다. 미라티는 지난 28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AACR-NCI-EORTC에서 MRTX849의 임상1상 초기
셀트리온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 미국명 인플렉트라)의 3분기 미국 시장 매출이 전년 동기, 전분기보다 소폭 증가한 7700만달러로 집계됐다. 화이자는 29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램시마의 미국 매출이 7700만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매출 7100만달러 대비 8.5% 증가한 것이다. 전분기 7400만 달러 대비해서는 4.1% 늘었다. 올해 1월 5700만달러 매출을 기록한 이후 2분기 연속 매출이 늘었다. 셀트리온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로 개발한 램시마는 2016년부
지오팜(Ziopharm)과 MD앤더슨 암센터(MD Anderson Cancer Center)가 손을 잡고, 트랜스포존(transposon)으로 제작하는 TCR(T cell receptor)-T세포 치료제에 관한 공동연구에 들어갔다. 지오팜은 28일(현지시간) 발표를 통해서, ‘Sleeping Beauty’ 기술을 적용한 TCR-T세포 치료제에 관한 공동연구계약을 MD앤더슨 암센터와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KRAS, TP53, EGFR 등의 돌연변이와 신항원(neoantigen)을 표적하는 TCR-T세포 치료제로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알테오젠, '아일리아 시밀러' 유럽 "시판허가 획득"
에이프릴, "전략변화" SAFA 개선 '차세대 플랫폼'은?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신규 뇌전증 3상 "1차 충족"
에스티팜, 내달 PoC 결과 ‘ALLINI’ HIV “개발전략은?”
어타이어, 'NRP2 조절제' 폐질환 3상 "1차 미충족"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GC녹십자 美자회사, 텍사스주 혈장센터 '개소'
씨어스, '부정맥 탐지 AI모델' 국제학술지 게재
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 "추가매입 결정"
지노믹트리, ‘얼리텍 BCD’ 美AUA 가이드라인 "공식 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