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Seegene)이 기존 사업의 확장 및 신사업 진출을 위해 M&A 총괄 임원으로 박성우 부사장을 영입했다고 22일 밝혔다. 씨젠은 이번 박성우 부사장 영입을 통해 코로나19를 계기로 급성장한 회사 실적을 기반으로 기존사업을 활성화하고 향후 진출 가능한 사업영역을 다각도로 검토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려 한다. 씨젠 관계자는 “분자진단이라는 기존 분야 강화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시너지가 극대화될 수 있는 신규 사업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박성우 부사장은 미국 하버드 MBA를 졸업한 뒤 약
한독(Handok)이 에이비엘바이오(ABL Bio)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VEGFxDLL4 이중항체 ‘ABL001’의 담도암 환자 대상 임상2상을 진행한다. 한독은 ABL001에 대한 국내 임상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 ABL001 임상1상은 에이비엘바이오가 진행했으며, 임상2상부터는 에이비엘바이오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있는 한독이 주도한다. 한독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담도암 대상 임상2상 변경 계획은 2월 2일, 임상시험 의뢰자를 한독으로 변경하는 것은 2월 19일 신청 완료했다고 밝혔다. ABL001은 차세
싸이토비아 테라퓨틱스(Cytovia Therapeutics)가 탈렌(transcription activator-like effector nuclease, TALEN) 유전자가위 기술을 보유한 셀렉티스(Cellectis)와 자연살해(natural killer, NK) 세포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싸이토비아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셀렉티스와 공동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르면 싸이토비아는 셀렉티스에 계약금으로 1500만달러의 자사주와 마일스톤으로 최대 7억6000만달러를 지급하게 된다. 올해 12월 31일까지 특
GSK(GlaxoSmithKline)가 지난해 비어(Vir Biotechnology)와 체결했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치료제 연구개발 파트너십을 확장하는 총 6억4500만달러의 딜을 체결했다. 이에 앞서 GSK는 지난 3일 큐어벡(CureVac)과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지난해 12월 사노피(Sanofi)와 공동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임상 및 출시 지연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GSK는 꾸준히 백신 개발 관련 딜을 맺고 있다. GSK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비어와 맺은 기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파
글로벌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찰스리버(Charles River)가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인 코그네이트(Cognate BioServies)를 8억76500만달러에 인수했다. 이에 코그네이트에 투자했던 국내 바이오 전문 투자기관 메디베이트 파트너스(Medivate partners)가 한번 더 주목받게 됐다. 찰스리버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코그네이트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찰스리버는 코그네이트에 약 8억7500만달러를 현금으로 지급할 예정이며 인수 거래는 올해 1분기 말에 완료될 예정이다. 코그네이
보툴리눔 톡신 제재 ‘나보타(미국 제품명: 주보(Jeuveau))’를 둘러싼 분쟁이 애브비(Abbvie), 메디톡스(Medytox), 에볼루스(Evolus) 3자간 합의로 일단락됐다. 이에 따라 대웅제약의 나보타는 수입금지 조치나 항소 절차에 관계없이 판매할 수 있게 됐다. 단, 이번 합의에 에볼루스 파트너사인 대웅제약은 제외됐다. 대웅제약은 이번 합의의 당사자가 아니기 떄문. 애브비는 이번 합의가 한국과 타 국가에서 메디톡스와 대웅제약과의 법적 권리, 지위, 조사, 소송 절차에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애브비는
티앤알바이오팹이 19일 신경외과 수술재료 ‘두개안면골 임플란트(Craniofacial Implant)’ 제품에 대해 식약처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티앤알바이오팹은 내달부터 국내서 판매를 개시할 계획이다. 특수재질로 개발된 두개안면골 임플란트 제품은 두개골의 외상 또는 신경외과의 개두술 시 발생된 결손을 재건 및 수리하는 수술재료다. 또, 두개골의 성형 및 외상을 수복하는 수술에도 이용할 수 있다. 티앤알바이오팹이 개발한 제품은 생분해성 재료로 제작돼 수술 후 손상된 두개골 조직의 재건과 수복을 돕고 체내에
사노피(Sanofi)가 경구제 약물개발 플랫폼을 보유한 i2O테라퓨틱스(i2O Therapeutics)와 기존 주사치료제의 경구용 제형 변경에 나선다. 만성질환을 앓거나 장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 기존 주사제보다 약물 순응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i2O은 지난 10일(현지시간) 사노피와의 공동연구 계약을 발표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사노피는 i2O의 이온성 액체(ionic liquid) 플랫폼을 사용해 나노바디(nanobody) 기반 주사제형 치료제의 제형변경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약물의 성분 및 구체적인 공동연구 계약 조
릴리가 임상2상을 앞둔 RIP1 인산화효소(RIPK1) 저해제를 계약금 1억2500만달러를 베팅해 인수했다. 릴리는 리겔(Rigel Pharmaceuticlas)로부터 RIPK1 저해제 ‘R522’를 라이선스인 한다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로써 릴리는 단숨에 RIPK1 저해제 개발에서 선두 자리를 꿰차게 됐다. 해당 약물은 올해 임상2상에 들어가며, 두 회사는 혈뇌장벽(BBB)을 투과하는 RIPK1 저해제 개발도 이어간다. 질환으로는 자가면역/염증성 등 면역질환과 퇴행성뇌질환을 타깃한다. 앞서가던 GSK와 사노피-디날리(D
유방암 치료 후 재발 가능성과 항암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예후진단에서 인종간 차이가 있다는 논문이 나왔다. 켄트 호스킨스(Kent F. Hoskins) 일리노이대(University of Illinois cancer center) 교수 연구팀은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JAMA oncology’에 게재했다(doi: 10.1001/jamaoncol.2020.7320). 논문에 따르면, 호스킨스 연구팀은 2004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이그젝사이언스(Exact Science)의 ‘온코타입DX(Oncotype DX)’
바이오의약품 분야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세계적으로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이 부족함을 알게 되었고, 실제로 바이오의약품 공장 건설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의 투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최근에 위탁생산이 많이 거론되고 있다. 선진국들의 예를 살펴보면, 자체 생산능력의 유무를 떠나서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 위탁생산 전문기업)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는 개발된 바이오의약품의 time to market이 빠르며, 안과용 같이 적응증에 따라 특화된 생산기술을 확보하고 있기 때
현재 글로벌 의약품 시장 중 가장 크고 치열한 시장을 어디일까? 아마 대부분은 면역항암제 시장을 꼽는다. 최근 몇년동안 글로벌 매출 10위 안에 들었던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 옵디보(Opdivo, nivolumab)와 같은 면역관문억제제부터 킴리아(Kymriah, tisagenlecleucel), 예스카타(Yescarta, axicabtagene ciloleucel)와 같은 CAR-T 치료제까지 현재 핫한 치료제들은 모두 면역항암제의 범주에 있다. 카이노젠(Kynogen)도 면역항암제 시장에 뛰어들
보스턴 소재 유전자 치료제 개발 회사 엔소마(Ensoma)가 지난 11일(현지시간) 다케다(Takeda Pharmaceutical)와 희귀 질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다케다는 총 1억달러의 계약금과 전임상 연구비를 엔소마에 지급할 예정이다. 엔소마는 추가적인 유전자 치료제의 개발 및 상업화 성공 시 최대 12억5000만달러의 마일스톤 비용과 로열티를 지급받게 된다. 계약에 따라 다케다는 5종의 희귀 질환에 대한 Engenious ™ 벡터 기반 유전자 치료제의 독점 라이선스를 획득
국내 CRO 기업 씨엔알리서치는 18일 조숙정 전무를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조 전무는 올해 2월부터 씨엔알리서치에서 Data Management 서비스와 Biostatistics 서비스 파트를 총괄하는 CTO로 품질 향상 및 데이터, 통계분석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조 전무는 고려대학교 통계학 석박사 과정을 밟은 후, 1996년부터 글로벌 통계분석 기업 SAS Korea에서 근무했으며, 종근당을 거쳐 ICON 이사를 역임하는 등 지난 20년간 제약, 임상 CRO 관련 업계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CAR-T 치료제 전문기업인 큐로셀(Curocell)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재발성 또는 불응성 거대B세포림프종(DLBCL)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차세대 CD19 CAR-T 치료제 후보물질의 'CRC01’의 임상시험을 허가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국내 기업에서 개발 중인 CAR-T 치료제가 식약처의 임상시험 허가를 받은 것은 첫 케이스다. 또한 설립된지 4년만에 후보물질의 임상 진입을 앞두고 있다는 의미도 있다. CAR-T 치료제는 미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온 첨단바이오의약품이다. 환자 본인의 면역세포를 이용한 항암면
유틸렉스(Eutilex)는 18일 국가항암신약개발 사업단과 개발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EU101’의 국내 임상 1/2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유틸렉스에 따르면 임상은 최대 110명의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임상은 직장암(CRC) 및 비소세포폐암(NSCLC) 코호트에서 EU101을 확장 평가하도록 설계됐다. 유틸렉스는 임상을 통해 EU101 치료에 따른 이상반응,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을 주요 평가 요소로 확인할 예정이다.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리제네론, '알러젠 항체' 고양이 알러지 3상 "1차 충족"
뉴라클제네틱스, '저용량 AAV' wAMD 1/2상 "첫 공개"
동아ST, 사이러스와 면역·염증 ‘분자접착제’ 공동연구
LB파마, 나스닥 2.85억弗 IPO..’BBB투과' 조현병약 개발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신규 뇌전증 3상 "1차 충족"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루닛, APEC 보건회의서 ‘한국기업 유일’ 단독행사 주관
마티카바이오, 美기업과 세포치료제 “CDMO 계약”
프로메디우스, 중기부 '스케일업 팁스' 과제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