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넥셀(NEXEL)이 175억원 규모의 시리즈B와 pre-IPO 브릿지 투자유치를 마쳤다고 16일 밝혔다. 앞서 시리즈B로 97억원의 투자 유치 이후 2년만에 후속 투자다. 이번 투자 유치에는 기존 투자사인 유티씨인베스트먼트, 메디치인베스트먼트, 플래티넘기술투자, 코메스인베스트먼트의 후속 투자와 함께 신규 투자자로 NH투자증권, KDB산업은행캐피탈, 프랜드투자파트너스, 이베스트투자증권, 에스엘인베스트먼트, BSK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넥셀은 이번에 유치한 투자금으로 현재 개발 중인 항섬유화 기전의 간질환/심근경색 신약 후보물질
미국 머크(MSD)가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MK-7110’의 개발을 중단한다. 대신 경구용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 MK-4482(EIDD-2801))’ 개발과 J&J의 코로나19 백신 생산에 집중할 계획이다. 머크는 15일(현지시간)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MK-7110(CD2Fc)’의 개발 중단 소식을 발표했다. 머크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MK-7110의 긴급사용승인을 위해 추가 데이터를 요청받았다. 머크는 추가 데이터를 위해서는 새로운 임상연구 등을 진행해야 하며,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Seegene)이 김명건 전무를 IR/PR실장(총괄전무)으로 영입했다. 씨젠에 따르면 김 전무는 약 20년 이상 삼성전자와 삼성물산에서 IR업무를 담당해왔다. 회사 경영현황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바탕으로 기관투자가나 신용평가기관, 주주 등과 전략적 소통관계를 구축하는 등 IR과 관련된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씨젠은 PR 업무도 함께 맡아 기관투자자나 주주뿐만 아니라 일반 고객에 이르기까지 이해관계자 전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함으로써, 씨젠이 일관적이고 효율적인 대외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종근당은 1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중증 코로나19 고위험군 환자를 대상으로 ‘나파벨탄(나파모스타트)’ 임상 3상을 승인받았다고 발표했다. 종근당은 지난 3월 러시아에서 진행한 나파벨탄 임상 2상 결과를 바탕으로 식약처에 조건부허가를 신청했으나 식약처의 전문가 자문회의에서 대규모 임상 3상을 통한 유효성 입증을 권고받았다. 종근당은 식약처의 심사의견을 수용하고 신청한 조건부허가를 16일 자진취하했다고 공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임상 3상은 중증의 고위험군 환자 약 600명을 대상으로 서울대병원을 포함해 10여곳 이상 기관에서
미국 머크(MSD)가 오는 2028년 블록버스터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의 미국과 유럽 특허 만료를 앞두고, 키트루다 피하투여(SC) 제형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다. 경쟁사로는 면역관문억제제 시장의 후발주자 화이자가 PD-1 SC 약물 ‘사산리맙(sasanlimab)’의 임상3상 개발을 진행중이며, BRAF, MEK, VEGF 등 약물과 등과 병용투여하는 임상 7개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BMS와 로슈는 IV→SC 전환 히알루로니다제 기술을 보유한 할로자임(Halozyme)과 파트너십을 통해 각각 옵디보와 티쎈트릭의
애스톤사이언스(Aston Science)는 암백신으로 개발하는 DNA 기반 'AST-301'의 임상1상 최종 결과를 오는 6월 4일~8일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1년 연례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HER2 양성 진행성 유방암 66명을 대상으로 AST-301의 안전성과 최적의 면역학적 용량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1상 연구의 10년 장기 생존율 추적관찰 결과까지 포함됐다(NCT00436254). 임상1상 연구는 시애틀 소재의 워싱턴대(Univerity of Washinton, Seattle, U
GSK(GlaxoSmithKline)가 ICOS(Inducible T cell CO-Stimulatory) 작용제 ‘펠라딜리맙(feladilimab, GSK3359609)’으로 진행중이던 2개의 임상을 중단한다. GSK는 14일(현지시간) 독립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IDMC)의 권고에 따라 펠라딜리맙으로 진행중이던 두경부 편평세포암(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임상 2상(INDUCE-3)의 환자모집과 치료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중단 이유는 밝히지 않았다. INDUCE-3(NCT04128
휴온스글로벌(Huons Global)이 16일 러시아 국부펀드와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Sputnik V)’의 생산을 위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휴온스글로벌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휴메딕스, 보란파마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번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에 따라 컨소시엄은 백신 생산에 대한 기술 이전을 받아오는 8월 시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또 휴온스글로벌은 각 사의 역량을 동원해 월 1억 도즈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지난 2월 국제학술지 ‘란센(Lancet)’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길리어드(Gilead Biosciences)가 Trop2-ADC ‘트로델비(Trodelvy, sacituzumab govitecan-hziy)’를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UC)에 대해 가속승인 받으며 적응증 확대에 성공했다. 경쟁약물보다 한발 더 나아갔다. 경쟁약물인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와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개발 중인 Trop2 ADC ‘DS-1062’는 현재 비소세포폐암(NSCLC), 삼중음성유방암(TNBC)를 대상으로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다. 단, 트로델비는 임상에서 3~4등급의 이상
엠디뮨(MDimune)은 15일 독일 단백질 엔지니어링 기업 나비고 프로테인(Navigo Proteins)과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엠디뮨과 나비고는 나비고의 어필린 분자(Affilin® Molecule) 기술을 인체 유래 세포유래 소포체(Cell-derived Vesicles, CDV)에 결합할 계획이다. 나비고는 세포외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s) 일종인 CDV가 특정 종양 조직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약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독일 할레(Hall
바이오마커 기반 신약개발 기업 메드팩토(Medpacto)가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와 BAG2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치료제 ‘MA-B2’의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메드팩토는 이번 계약을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로부터 세포주 개발, 공정 개발, 임상시료 생산 및 임상시험계획(IND) 제출 지원 등 MA-B2의 위탁개발생산 전 과정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예정이다. MA-B2는 ‘백토서팁(Vactosertib)’의 후속 파이프라인으로 BAG2 단백질을 표적하는 항체치료제다
샤페론(Shaperon)이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윤명진 전무를 영입했다고 15일 밝혔다. 윤명진 전무는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LG생명과학, 삼일회계법인 등에서 투자, IPO, M&A 자문 및 전문 컨설팅과 신사업 개발 및 전략기획 부문의 요직을 역임했다. 20여년간 바이오/헬스케어 분야를 담당했다. 샤페론은 이번 CFO 영입을 통해 기업공개(IPO)와 코스닥 상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 전무는 “샤페론은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보유한 유망한 바이오 벤처기업”이라며 “투자전문가, IPO 전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이 실제 유방암 검진 환경에서 AI의 성능을 검증하는 새로운 연구에 참가한다고 15일 밝혔다. 스웨덴 왕립 카롤린스카연구소(Karolinska Institutet)와 공동 진행하는 이번 연구는 유럽에서 진행하는 첫 전향적 연구라는 설명이다. 지금까지 AI 암 진단 회사의 임상연구는 대부분 후향적 연구였던 반면, 이번 연구는 실제 병원에 찾아오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연구는 스웨덴 10대 병원 중 하나인 스톡홀름 카피오 세인트 거란(Capio Saint
이탈리아 소재 체외 진단기업 다이아소린(Diasorin)이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의 진단기업 루미넥스(Luminex Corporation)을 18억달러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다이아소린은 루미넥스 인수를 통해 루미넥스의 독자적인 멀티플렉스(multiplex) 기술과 진단 패널을 기반으로 분자진단 솔루션을 확보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이아소린의 분자진단 사업 분야를 보강할 계획이다. 특히 감염성 질환, 호흡기 감염, 벡터 매개체 감염(Vector-Borne Disease), 원내감염(Hospita
휴온스글로벌은 15일 자회사 휴온스바이오파마가 미국 아쿠아빗홀딩스(AQUAVIT HOLDINGS)와 ‘휴톡스(국내명: 리즈톡스)’에 대한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시판은 2024년이 목표다. 발표에 따르면 계약규모는 로열티, 마일스톤을 포함해 10년간 총 4000억원 수준. 구체적인 계약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아쿠아빗이 현지 임상 및 허가, 마케팅, 영업은 담당하고 휴온스바이오파마는 국내 생산한 휴톡스 완제품을 공급한다. 연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허가신청서(IND)를 제출해 2023년까지 현지 임상을 마
파로스아이바이오(Pharos iBio)가 약물재창출(drug repositioning) 방식으로 기존에 차세대 FLT3 저해제로 개발하던 약물을, 새로운 기전인 CHK2 저해제로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파로스아이바이오는 난소암과 유방암으로 적응증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4월 10일부터 15일, 이어 내달 17일부터 21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온라인으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1에서 'PHI-101'의 암 세포주에서 효능을 확인한 데이터를 발표했다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
셀비온, ‘PSMA RPT’+키트루다 “국내 1상 IND 승인”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리제네론, '알러젠 항체' 고양이 알러지 3상 "1차 충족"
뉴라클제네틱스, '저용량 AAV' wAMD 1/2상 "첫 공개"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네오이뮨텍, 유상증자 472억 조달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당뇨약 공급계약
유한양행, 휴이노와 '메모큐' 판매계약 M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