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미코젠(Amicogen)은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비피도(Bifido)의 지분 245만4000주 취득을 결정했다고 21일 공시했다. 이는 비피도 지분의 30%에 해당하며 600억원 규모다. 이번 결정으로 아미코젠은 비피도의 실질적인 경영권을 인수한다고 밝혔다. 아미코젠에 따르면 비피도 인수를 통해 국내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시장 지배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사람 유래 기능성 비피도박테리움 분야에서 기술력을 갖고 있는 비피도와 시너지를 발휘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양사가 가진 제품기술력과 유통망을 이용해 마이크로바이
한올바이오파마는 대웅제약과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안구건조증 치료제 'HL036 점안액(성분명: 탄파너셉트)'에 대한 2번째 임상3상(임상명: VELOS-3)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고 22일 밝혔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올해 3분기 HL036의 VELOS-3 임상을 시작해 내년 상반기내 탑라인(Topline)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한다. VELOS-3 임상은 HL036의 효능과 안전성이 앞선 결과와 재현되는지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미국내 9개 안과병원에서 안구건조증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메드팩토는 22일 ‘백토서팁+5FU/LV/오니바이드' 병용요법이 췌장암을 대상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희귀의약품(Orphan Drug Designation, ODD)으로 지정받았다고 밝혔다. 메드팩토 관계자는 “’백토서팁+5FU/LV/오니바이드’ 병용요법은 전임상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이며 췌장암의 새로운 치료옵션으로서 가능성을 확인한 상황”이라며 “백토서팁과 암 치료제의 병용요법이 희귀의약품(ODD)지정을 받은 것은 위암에 이어 두번째”라고 말했다. 메드팩토가 지난 4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발표한 전임상 결과
당과 지방의 대사 속도를 높여 대사 및 심혈관계 질환을 치료한다는 컨셉을 가진 리부스(Rivus Pharmaceuticals)가 20일 시리즈A로 35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시리즈 투자는 론지튜드 캐피탈(Longitude Capital)과 메딕시(Medicxi)가 리드했으며 Rx캐피탈(RxCapital)이 참여했다. 리부스는 이번 투자금으로 제2형당뇨,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중증 고중성지방혈증(severe hypertriglyceridemia, SHTG), 박출률 보존 심부전(heart failu
아밀릭스(Amylyx Pharmaceuticals)는 20일(현지시간)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치료제 후보물질 ‘AMX0035’의 미국 임상 3상 및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을 위해 시리즈C로 1억35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리즈C 투자는 바이킹 글로벌(Viking Global)이 주도해 베인캐피탈(Bain Capital Life Sciences), 퍼셉티브(Perceptive Advisors), 락스프링 캐피탈(Rock Springs Capital) 등 15개 투자사가
프랑스 소재 바이오텍 AB사이언스(AB Science)의 신약 후보물질 ‘마시티닙(Masitinib)’이 초기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환자의 전체 생존기간(Overall survival)을 25개월 연장했다는 새로운 장기추적 임상결과를 발표했다. 그러나 초기가 아닌 중증도의 루게릭병 환자들을 대상으로한 장기추적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개선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이번 결과는 지난 2018년에 종결한 임상2/3상(NCT02588677)에 참가한 394명의 환자들 중 하위그룹을 대상으로 평
씨제이제일제당(CJ제일제당)이 천랩의 대주주 지분과 유상증자를 통한 신주 발행을 합쳐 지분 43.99%를 확보, 천랩을 인수한다. 천랩 인수금액은 총 982억원 규모다. 천랩은 21일 최대주주인 천종식 대표와 주요 주주인 상해 ZJ 바이오텍(Shanghai ZJ Bio-Tech)이 보유주식 총 62만5233주(15.99%)를 CJ제일제당에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각각 천종식 대표는 10%, 상해 ZJ 바이오텍은 5.99%의 주식을 양도했다. 주당 4만원으로 총 250억원 규모다. 더불어 천랩은 CJ제일제당을 대상으로
지난해말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긴급사용승인(EUA)을 받아 올해부터 전세계적으로 대규모 접종에 들어가면서 mRNA 백신이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일반인들까지 ‘화이자 mRNA 백신’, ‘모더나 mRNA 백신’이라는 용어가 익숙해진 지금, 코로나19 이외의 다른 감염병에서는 mRNA 기반 백신 개발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mRNA 기반 백신의 장점을 한 단어로 표현하자면 ‘빠른 대응력’이다. mRNA 백신을 이루고 있는 뉴클레오티드와 LNP(lipid nano particle)는 적
AI startup Lunit said on 19th that it has completed attracting a strategic investment of $26 million from Guardant Health. The deal, which includes the investment made by Guardant Health and also a groundbreaking collaboration between a liquid biopsy company and a medical AI startup, is intended to
3D 바이오프린팅 전문기업 티앤알바이오팹(T&R Biofab)이 치료 목적으로 간세포와 혈관을 한번에 프린팅해 체내 이식 효율을 높일 수 있는 3D 바이오프린팅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기존 기술과 비교해 간 기능에 중요한 간소엽(hepatic lobule) 구조를 모사했다는 점이 중요하다. 티앤알바이오팹은 이번에 발표한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신규 분야로 비즈니스 확장 가능성을 엿보고 있다. 해당 결과를 재료과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수준으로 인정받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IF:
쓰리빌리언(3billion)은 21일 희귀유전질병 진단을 위한 유전변이 해석 딥러닝 모델 ‘3Cnet’개발에 대한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Bioinformatics’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3Cnet은 순환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s, RNN)이 적용된 유전변이 해석 인공지능 모델로, 환자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변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기 위해 쓰리빌리언 연구팀이 개발중인 모델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3Cnet은 기존에 개발된 인공지능(AI) 모델(REVEL, VEST4, SIFT, PolyPhen, Pr
바이오엔텍(BioNTech)이 카이트(Kite Pharma)의 신생항원(neoantigen) TCR 세포치료제 개발 플랫폼과 미국 제조시설을 사들였다. 화이자(Pfizer)와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해 유명해졌지만, 세포치료제를 이용한 항암제 개발은 바이오엔텍의 핵심 연구분야 중 하나다. 바이오엔텍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신생항원 이용 세포치료제의 임상을 진행 중이며, 지난해에는 TCR 세포치료제 개발기업인 네온 테라퓨틱스(Neon Therapeutics)를 6700만달러에 인수했다. 카이트 역시 이번 매각을 통해 기존에 승인받은 CA
동아에스티(Dong-A ST, 동아ST)와 전략적 파트너사인 메이지세이카파마(Meiji Seika Pharma)는 인도 제약사 인타스(Intas Pharmaceuticals)와 임상3상 단계에 있는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DMB-3115’의 글로벌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동아에스티와 메이지세이카파마는 DMB-3115의 연구개발과 완제품 독점 공급을 맡고, 글로벌 지역(한국, 일본, 일부 아시아 국가 제외)에서 허가와 판매에 대한 독점 권리를 인타스에 이전한다. 상업화 후 제품 생산은 동아쏘시오
미국 머크(MSD)가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 피하투여(SC) 제형의 임상3상에 들어갔다. 키트루다 SC는 머크가 오는 2028년 키트루다의 미국, 유럽 특허 만료를 앞두고 특허를 연장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이다. 기존의 정맥투여(IV) 제형과 비교해 30분 동안의 투약 기간을 몇분내로 줄여, 투약 편의성을 높인 형태다. 그밖에도 머크는 투여 간격을 늘리거나 병용투여 등의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머크는 앞서 지난 4월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키트루다의 2가지 SC 제형 약물과 기존의 IV
미국 머크(MSD)가 한번에 15가지 혈청형의 폐렴구균에 대해 예방이 가능한 접합백신 ‘백스누반스(Vaxneuvance)’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시판허가를 받았다. 이번 승인으로 머크는 현재 폐렴구균 백신 1위 '프리베나13(Prevnar 13)'을 갖고있는 화이자와 더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머크는 오랫동안 큰 매출을 가져다준 폐렴구균 백신 '뉴모백스23(Pneumovax 23)'을 가지고 있다. 머크는 지난 16일(현지시간) 15가 폐렴구균 백신 ‘백스누반스(Vaxneuvance)’에 대해 미국 FDA의 시판허가 승인을
샤페론은 지난 13~15일 비대면으로 열린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치료제 개발 써밋(ARDS Drug Development Summit)에서 코로나19 치료제 ‘누세핀 (NuSepin®)’의 유럽 임상 2상 최종결과를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누세핀이 코로나19 환자의 폐렴증상을 개선시키고, 치료기간을 단축시켰다는 결과다. 이번 써밋은 영국 핸슨웨이드(Hanson Wade)가 주관해 개최됐다. 발표에 따르면 임상2상은 지난해 9월부터 루마니아 소재 5개 병원에서 코로나19 폐렴환자 64명을 대상으로 위약군과 누세핀 주사제를 투여해 진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셀비온, ‘PSMA RPT’+키트루다 “국내 1상 IND 승인”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리제네론, '알러젠 항체' 고양이 알러지 3상 "1차 충족"
뉴라클제네틱스, '저용량 AAV' wAMD 1/2상 "첫 공개"
인터셉트, '오칼리바' PBC 적응증도 결국 "美 시판철회”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네오이뮨텍, 유상증자 472억 조달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당뇨약 공급계약
유한양행, 휴이노와 '메모큐' 판매계약 MOU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