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제네론(Regeneron)과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두 빅파마가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해 손을 잡았다. 치료제 타깃은 리제네론 연구팀이 발견한 ‘GPR75’다. 리제네론은 27일(현지시간) 아스트라제네카와 비만 및 관련 질환 치료를 위한 GPR75 타깃 저분자화합물을 공동개발한다고 밝혔다. GPR75는 리제네론 유전학센터(Regeneron Genetics Center®)에서 발견한 비만치료의 새로운 타깃이다. 발표에 따르면 두 회사는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GPR75 저해제에 대한 연구, 개발, 상업화를 진행한다. 두
퍼킨엘머(PerkinElmer)가 지난 26일(현지시간) 항체와 시약을 개발하는 바이오레전드(BioLegend)를 52억5000만달러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인수금액 중 22억달러는 주식인수(stock consideration)를 통한 지분투자로 지급되며 현금 부분은 보유현금과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로부터 받은 단기융자(bridge financing)를 포함해 지급된다. 거래는 올해 말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바이오레전드는 미국 샌디에고에 위치한 항체와 시약 개발 및 제조 회사다. 면역학, 신경학, 종양학등의 영역에서
한올바이오파마는 28일 올해 2분기 매출이 234억37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7%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14억9800만원, 당기순이익 31억88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8.6%, 46.1% 감소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소화기 전문 항생제 '노르믹스', 전립선암 치료제 '엘리가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바이오탑' 등의 매출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희귀난치질환 신약 연구개발기업인 티움바이오가 SK플라즈마에 300억원을 투자하고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SK플라즈마의 최대주주 SK디스커버리와 한국투자파트너스가 공동투자자로 참여하며, 전체 투자금액은 총 1100억원이다. SK플라즈마는 지난 2015년 SK케미칼에서 분할해 설립된 SK디스커버리 자회사로, 알부민, 이뮤노글로불린 등 국가 필수의약품으로 지정된 혈액제제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회사다. 안동공장 신설을 통해 60만리터의 혈액제제 생산규모를 갖췄다. 지난 6월부터는 글로벌 최대
희귀난치질환 신약개발 바이오텍인 티움바이오(Tiumbio)의 첫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 임상진입을 앞두고 있다. 티움바이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TU2218'의 임상1/2상 시험계획(IND)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28일 공시했다. TU2218는 종양화와 억제성 면역환경 형성에 관여하는 TGF-β 수용체1(TGF-βR1) 저해제며, 이전 회사가 밝힌바에 따르면 추가로 VEGFR-2 억제능을 갖는다. 이번 임상1/2상은 진행성 암환자 대상 TGFβ 수용체1의 억제제인 TU2218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바이오마커 기반 체외 암 조기진단 전문기업 지노믹트리(Genomictree)가 오리온홀딩스를 대상으로 약 5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1주당 1만4650원의 신주 34만1297주가 발행될 예정이며, 오리온홀딩스의 지분율은 1.62%가 된다. 납입일은 다음달 5일이다. 안성환 지노믹트리 대표는 “이번 유상증자 배정은 양사간 사업적 협력관계 강화 및 공동의 경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 제휴 차원”이라며 “오리온홀딩스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중국 시장 진출 및 확
구글(Google)의 인공지능(AI) 프로그램 개발회사 딥마인드(Deep Mind)가 지난 22일(현지시간) 2만개 인간 단백질과 대장균, 효모, 초파리, 마우스 등 20종 유기체를 포함하는 35만개 단백질 구조의 데이터베이스, ‘알파폴드 단백질 구조 데이터베이스(AlphaFold Protein Structure Database)’를 공개했다. 단백질은 특정 아미노산 사이의 상호작용과 ‘접힘(folding)’을 통해 고유의 3차원 구조를 이루며, 이 구조를 기반으로 단백질의 기능과 작용기전이 결정된다. 그러나 아미노산 서열만으로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의 신약개발지원센터는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 개발회사 에이조스바이오(AZothBio)와 자가면역질환 신약 공동개발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공동개발에서는 에이조스바이오의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해 발굴한 신약 후보물질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한다. 발표에 따르면 에이조스바이오는 가상최적화, 효능예측 등 인실리코(in-silico) 기반 연구를, 신약개발지원센터는 유도체합성, 효능검증, 공정개발 등의 업무를 지원하기로 했다. 에이조스바이오는 면역시스템을 분석해 부작용 최소화 표
암젠(Amgen)이 차세대 T세포 engager와 다중항체(multispecific antibody)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테니오바이오(Teneobio)를 9억달러에 인수키로 최종합의했다고 27일(현지시간) 밝혔다. 계약금 9억달러 현금지금과 더불어, 향후 테니오바이오의 주주에게 지급하는 추가 마일스톤까지 합하면 16억달러를 합하면 총 25억달러 규모의 인수딜이다. 딜은 올해 하반기 마무리될 예정이다. 암젠은 한동안 M&A 움직임이 뜸했다가, 올해부터 다시 공격적인 인수 행보를 이어오고 있다. 올해 주목할 마일스톤으로 암젠은 지난
애드베럼(Adverum biotechnologies)이 AAV기반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ADVM-022’의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임상을 결국 포기했다. 이는 지난 4월에 있었던 실명환자의 발생과 추가적인 안압저하 환자 발생에 따른 결정이다. 하지만 ADVM-022의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 임상(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wet AMD)은 계속 진행하기로 했다. 애드베럼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안질환 유전자치료제로 개발중인 ‘ADVM-022’의 당뇨병성 황반부종(Diabetic Mac
쿄와기린(Kyowa Kirin)의 파킨슨병 보조치료제 ‘누리안츠(Nouryant, 성분명: istradefylline)'가 유럽 약물사용 자문위원회(CHMP)로부터 부정적 권고를 받아 유럽시판이 좌절될 위기에 처했다. 누리안츠는 파킨슨 환자에게 주치료제의 약효가 소진될때 행동제약이 나타나는 '오프(off)' 시간을 줄여주는 보조치료제로, 2019년 FDA의 허가를 받은 약물이다. 쿄와기린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CHMP가 파킨슨병 보조치료제 누리안츠의 시판허가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BMS(Bristol Myers Squibb)가 지난 23일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치료제로 가속승인을 받은 ‘옵디보(Opdivo, nivolumab)’의 적응증을 자진 철회하겠다고 밝혔다. 옵디보는 지난 2017년 9월 간암 1차 치료제 ‘소라페닙(sorafenib)’에 대한 내성을 보이거나, 소라페닙 투여 이후에도 여전히 암의 진행을 보이는 간세포암 환자의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가속승인을 받았다(NCT01658878). 그러나 BMS는 소라페닙 대비 옵디보의 효능비교
GC녹십자는 27일 미국 미럼 파마슈티컬스(Mirum Pharmaceuticals)와 소아 희귀간질환 치료제 ‘마라릭시뱃(Maralixibat)’의 국내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자세한 계약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미럼파마는 현재 마라릭시뱃을 알라질 증후군(Alagille syndrome, ALGS),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정체증(Progressive familial intrahepatic cholestasis, PFIC), 담도폐쇄증(biliary atresia, BA) 등에 대한 치료제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는 27일 공시를 통해 2021년 2분기 매출 4122억원, 영업이익 1668억원을 기록하며 각각 분기 최대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매출은 신규 제품 수주에 따른 3공장 가동률의 상승과 코로나19(COVID-19) 제품 판매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34.0%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05.7%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코로나19 관련 제품 생산분의 매출 인식의 영향으로 각각 58.1%, 124.5% 증가했다. 삼성
애브비(Abbvie)의 '달반스(Dalvance, dalbavancin)'가 급성 세균성 피부 및 연조직감염증(acute bacterial skin and skin structure infections, ABSSSI)에 대해 18세 이하 소아를 대상으로 승인받았다. 지난 2014년 성인 ABSSSI 환자를 대상으로 승인받고 약 7년만이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등 그람양성 박테리아로 인한 ABSSSI 소아환자에게 단일용량으로 30분간 정맥투여(
디어젠(Deargen)은 27일 숙명여대 산학협력단과 비알코올성지방간(NASH) 환자 예후 예측 및 단계 판별용 바이오마커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계약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계약에서 디어젠이 숙명여대 산학협력단으로부터 이전받은 특허 기술은 지방간(steatosis)과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환자를 단계별로 구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기술이다. 이 기술은 포스트게놈 다부처유전체사업 연구결과로, 연구에는 숙명여대 생명시스템학부 유경현, 박종훈교수, 국립암센터 임상의학연구부 이연수박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셀비온, ‘PSMA RPT’+키트루다 “국내 1상 IND 승인”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리제네론, '알러젠 항체' 고양이 알러지 3상 "1차 충족"
뉴라클제네틱스, '저용량 AAV' wAMD 1/2상 "첫 공개"
인터셉트, '오칼리바' PBC 적응증도 결국 "美 시판철회”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네오이뮨텍, 유상증자 472억 조달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당뇨약 공급계약
유한양행, 휴이노와 '메모큐' 판매계약 MOU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