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노피(Sanofi)와 R&D 파트너 리제네론(Regeneron)은 양사가 공동 개발한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제 '사릴루맙'(sarilumab)이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판매허가신청(Marketing Authorisation Application, MAA) 검토를 승인 받았다고 지난1일 밝혔다. 사릴루맙은 인터루킨-6(interleukin-6) 수용체 유도 인간 단클론항체로 최근 애브비(AbbVie)의 자가면역 TNF 차단제 휴미라(Humira, adalimumab)와 비교한 류마티스성 관절염 3상 임상시험에서는 휴미라 보
녹십자는 오창공장 내 혈액제제 생산시설 ‘PD(Plasma Derivatives)2관’을 완공하고 시생산을 돌입한다고 3일 밝혔다. 오창공장 ‘PD2관’은 3개월간의 시생산을 거쳐 내년부터 상업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지난 2014년 착공해 약 850억원이 투입된 PD2관의 혈장처리능력은 기존 PD1관과 동일한 70만ℓ 규모다. 오창공장의 총 혈장처리능력은 연간 최대 140만ℓ 규모로 늘었다. 회사 측은 "혈액제제 수출 물량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고, 세계 최대인 북미 혈액제제 시장 진출이 임박해 있어 생산능력을 늘리고 있다"고
화이자(Pfizer)는 유전자 치료의 리더를 목표로 밤부 테라퓨틱스(Bamboo Therapeutics)를 인수했다고 1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이번 인수를 통해 화이자는 자사의 기존 희귀 질환과 유전자 치료 포트폴리오를 보완할 밤부 테라퓨틱스의 고급 재조합형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advanced recombinant adeno-associated virus, rAAV) 기반의 유전자 치료법을 얻게 됐다. 이 치료법들은 희귀 질환인 뒤시엔느 근위축증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을 위한 전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약) 시장의 글로벌 리더가 되려는 삼성이 부족한 2%를 채웠다. 물론 숫자상의 2%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2012년 중단했던 '리툭산(Rituxan)' 바이오시밀러의 임상재개로 글로벌 매출 상위 10대에 속하는 바이오의약품 라인업 모두를 확보하게 된 것이다.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유럽을 건너뛰고 세계 최대 항체의약품 시장인 미국을 직접 겨냥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삼성, 주요 바이오시밀러 라인업 모두 확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아스트라제네카의 합작법인인 아키젠 바이오텍 리미티드(Archi
차바이오텍이 미국 항체 신약 개발 회사와 손잡고 항암면역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차바이오텍은 미국 '소렌토'와 ‘CAR-NK(키메릭 항원 수용체-자연살해)’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합작 투자회사를 국내 설립키로 했다고 2일 밝혔다. CAR-NK 치료제는 기존 암치료법 중 하나인 ACK(활성화된 자연 살해세포) 치료를 보완하는 치료법이다. 기존에는 자연살해(NK) 세포를 70% 이상 활성화한 ACK세포를 암환자에 투여했을 때 일부 암세포만 죽고 일부 암세포는 그대로 살아 남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ACK세포에 암을 정확하게 인식해서
생체내 다능성 인자 발현을 유도해 뇌 손상으로 떨어진 환자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됐다. 연세대 의과대학 조성래·김형범 교수팀은 허혈성 뇌졸중을 유도한 생쥐에서 다능성 인자를 통해 운동기능이 향상됐다고 2일 밝혔다. 다능성 인자(Oct4, Sox2, c-Myc, K1f4)는 실험실에서 성숙하고 분화된 세포를 역분화시켜 분화이전의 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만들 수 있다. 뇌와 같은 중추신경계는 다른 기관보다 재생능력이 떨어져 손상을 받으면 영구적인 기능 장애가 나타난다. 이런 중추신경계 질환
지난달 27일 동아에스티 해외사업 담당자들은 가슴을 쓸어내렸다. 신약 수출 제휴 업체가 진행한 임상시험이 만족스럽지 않다는 뉴스가 나오면서다. 동아에스티가 수출한 신약의 상업화 절차는 당초 계획대로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당시 주가도 휘청이며 투자자들에 혼선이 빚어졌다. 제약사들이 기술 수출한 신약의 후속 개발 소식에 전전긍긍하는 분위기다. 최근 잇따라 신약 성과를 내고 있지만 상당수 수출 신약은 해외 파트너가 독자적으로 개발과 허가 절차를 진행하는 탓에 현지 개발 과정에 대해 깊숙이 들여다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미
면역관문 억제제가 항암치료에 있어서 매력적인 치료제인 것은 틀림없지만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앞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크게 4가지 정도로 정리해볼 수 있겠다. 먼저, 면역항암제에 대한 독성 반응을 해결하는 것이 관건이다. 약물 투여 시 면역반응을 조작함으로써 생기는 자가면역질환이나 면역 매개성 부작용으로 인한 감염증, 간질성 폐질환 등의 부작용에 주의해야한다. 그 외에도 설사, 발열, 피로, 피부반응 등이 빈번하게 관찰됐다. 두번째, 병용요법 전략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일본에서
셀트리온의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가 노르웨이 전체 TNF-α 억제제 시장에서 점유율 50%를 돌파했다. 인플릭시맙(레미케이드+램시마) 시장을 넘어 아달리무맙(휴미라) 에타너셉트(엔브렐) 등이 경쟁하는 TNF-α 억제제 시장을 석권한 것이다. 2일 셀트리온에 따르면 램시마는 올해 1분기 기준 노르웨이 전체 TNF-α 억제제 시장에서 점유율 59%를 차지했다. 인플릭시맙 시장만 보면 90% 이상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했다. 램시마는 지난해 말 휴미라, 엔브렐, 레미케이드 등이 포함된 노르웨이 TNF-α 억제제 시장에서 37%를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는 구글의 생명과학부문으로 알려진 버릴리(Verily Life Sciences)와 함께 생체전자공학을 이용한 치료기술 개발 회사 ‘갈바니 바이오일렉트로닉스(Galvani Bioelectronics)’를 설립한다고 1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많은 만성질환은 신경에 불규칙적 또는 바뀐 전기적 자극이 주어져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환자의 인체에 전기적 신호를 수정하여 정상적인 자극을 줄 수 있는 초소형 장치를 삽입하는 것이 생체전자공학을 이용한 치료기술 중 하나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2012년부터 이 분
한독의 DPP-4 억제제 당뇨병치료제 테넬리아가 누적매출 100억원을 돌파했다. 한독은 작년 8월과 10월 국내에 선보인 테넬리아정(성분명 테네리글립틴), 복합제 테넬리아엠서방정테네리글립틴+메트포르민)이 자체 집계 결과 매출 100억원을 돌파했다고 2일 밝혔다. 한독은 테넬리아정의 가장 큰 성장 요인으로 당뇨병 환자 10명 중 7명을 목표 혈당(HbA1c
테라젠이텍스는 세계적인 암 연구 권위자 김성진 박사가 기술총괄 부회장으로 취임했다고 2일 밝혔다. 김성진 부회장은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장과 신약개발 자회사 메드팩토의 대표이사를 겸임하며 유전체 유전체 분석을 통한 진단솔루션 연구와 신약 개발까지 테라젠이텍스의 연구개발 분야를 총괄한다. 김 부회장은 약 30년간 암 유전체, 암 전이, 암 예방 등을 연구하며 267편의 논문을 발표한 암 연구 전문가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국립암연구소 재직 당시 세계 최초로 암에서 TGF-β 수용체 유전자의 결손과 돌연변이를 규명했고 암
삼성이 2012년 돌연 중단했던 항체의약품 '리툭산(Rituxan)'의 바이오시밀러 임상을 재개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4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아스트라제네카가 합작해 세운 아키젠 바이오텍 리미티드(Archigen Biotech Limited)의 첫 작품이다. 삼성이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아닌 또다른 계열회사를 통해서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나섰다는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2일 미 식품의약국(FDA)과 업계에 따르면 아키젠 바이오텍 리미티드는 지난 6월 'SAIT101'과 리툭산을 류마티스 관절염 적응증에서 효능을 비교하는 임상 1상 승인
제약사들이 올 상반기에 전반적으로 매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품 고갈, 리베이트 규제 등 최악의 영업환경에서도 다국적제약사 신약 판매 대행, 신약 수출 기술료, 해외사업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한 업체들이 위기를 타개하는 모습이다. 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잠정 실적을 공개한 주요제약사 9곳의 매출은 3조108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6.6% 늘었다. 종근당이 지난해보다 매출이 41.9% 성장했고 LG생명과학(33.6%), 유한양행(18.5%), 한독(15.2%), 녹십자(13.8%) 등도 두 자릿 수
유전자 편집 바이오업체 에디타스 메디신(Editas Medicine)은 조혈줄기세포(hematopoietic stem cell, HSC) 유전자 편집 및 T 세포(T cell) 치료법 연구개발을 위해 폰다지온 텔레톤(Fondazione Telethon) 및 오스페데일 산 라파엘(Ospedale San Raffaele)과 협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8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폰다지온 텔레톤과 오스페데일 산 라파엘은 ‘유전차 치료를 위한 산 라파엘 텔레톤 연구소(San Raffaele Telethon Institute for Ge
바이로메드와 이연제약이 공동으로 개발하는 허혈성 심장질환 치료제 'VM202RY'가 국내 임상 2상을 앞두게 됐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달 29일 바이로메드의 'VM-202RY' 임상 2상 신청을 승인했다. 바이로메드는 지난 2004년 이연제약에게 VM202의 한국 판매권리를 이전했는데 이후 공동개발하는 프로젝트는 'VM-202RY'로 호명하고 있다. 이번 임상은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경피적 심내막 경로로 투여한 'VM202'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인해 심혈관 중재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에임드바이오, 코스닥 상장예심 통과.."연내상장"
알지노믹스,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통과"
머크, ‘키트루다 SC' 유럽 허가 “CHMP 긍정의견”
화이자-아비나스, '무색해진' 최초 PROTAC "매각 결론"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유한양행, 오송 신공장 기공..'글로벌 수준' 제조라인 구축
종근당, '자율형 공장 구축사업' 발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