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웨덴 생명공학회사 Affibody AB가 Affibody 분자를 이용한 신약 포트폴리오 및 임상현황을 공개했다. 요아킴 펠드위시(Joachim Feldwisch) Affibody AB 이사는 최근 열린 ‘한국-스웨덴 공동연구 심포지엄’에서 파이프라인 개발현황을 소개했다. Affibody는 핵심 플랫폼기술인 ‘Affibody 분자’와 반감기를 연장시키는 ‘Albumod’ 기술을 기반으로 진단 및 치료법을 개발한다. 현재 HER2 및 PD-L1을 타깃한 진단법 2개와 신약후보물질 2개가 임상 단계에 있다. Affibody 분자는
올해 7월 설립된 신약개발 바이오텍인 젠센은 아주대학교 최상돈 교수가 개발한 TLR4(Toll-like receptor 4) 저해 펩타이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신약을 포함, 총 5개 펩타이드 후보물질을 도입하는 기술이전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젠센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총 40억원 기술료를 지급하며, 제품이 출시될 경우 추가로 로열티를 지불하기로 계약했다. 젠센은 내년 하반기에 선도 후보물질의 전임상 개발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선도 후보물질은 TLR4를 핵심적으로 저해하며, 그밖에 TLR 7, TLR8 등 선천성
지엔티파마가 뇌졸중 치료제 임상 등에 사용할 자금 17억원을 확보했다. 지엔티파마는 18일 미국계 투자기관인 'Idea Harvest Investment Limited'에 보통주 18만 9000주를 신규 발행해 17억 100만원을 조달한다는 유상증자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엔티파마는 이번에 유치한 자금을 현재 진행중인 임상 비용으로 투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엔티파마는 현재 △뇌졸중치료제(Neu2000) 임상 2상 △심정지치료제 임상2상 △반려견 치매치료제 임상 2상 등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뇌줄중 치료제의 경우 중국과
선천면역을 활성시키는 TLR1/2 작용제와 PD-L1 요법의 병용치료로 시너지 효과를 확인한 연구결과가 ‘PNAS' 저널에 최근 발표됐다. 흑색종 마우스에서 TLR1/2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저분자화합물 '디프로보심(Diprovocim)'을 PD-L1 항체와 함께 투여하자 100% 생존율을 보였다. TLR1/2 작용제인 디프로보심이 선천면역을 자극해 적응면역을
우정바이오가 동탄에 짓는 '우정바이오 신약 클러스터'내에 신약개발을 위한 3D 바이오이미징 센터를 구축한다. 우정바이오는 17일 본사 회의실에서 신약개발 바이오 이미징 융합기술센터와 프렌즈기업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천병년 우정바이오 대표이사와 신약개발 바이오이미징 융합기술센터 소장이자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인 김상은 교수 주도로 진행됐다. 양 기관은 이번 업무 협약을 바탕으로 동탄 우정바이오 신약클러스터 내에 3D 바이오이미징 센터를 구축해 국내 신약개발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인천 송도 바이오의약품 공장의 cGMP 공정에 이상 없음을 확인받았다. 작년 5월부터 이어온 cGMP 공정 이슈는 1년 5개월만에 사실상 마무리됐다. 셀트리온은 지난 17일 FDA가 발행한 '최종 실사 보고서(EIR, Establishment Inspection Reports)’를 수령(발행일 : 2018년 9월 13일)했다고 18일 밝혔다. FDA 재실사 결과 cGMP 공정에 이상이 없다는 내용이다. FDA는 2017년 5월 cGMP 공장 정기 실사 후 추가 보완 요구 사항을 담은 Fo
국내연구진이 타미플루 내성 바이러스를 신속하게 진단하는 키트를 개발했다. 해당 키트는 10분 이내 신속하고 간단하게 타미플루 내성 바이러스를 검출해 앞으로 현장 진단 의료기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주연, 임은경 박사 연구팀(위해요소감지BNT연구단)은 타미플루 내성 바이러스 표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유기 분자를 발굴하고 이를 간단한 종이기반 바이오 검출장치(측방 유동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한 연구가 최근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고 18일 밝혔다. (논
딥지노믹스(DeepGenomics) CEO이자 캐나다 토론토 대학 교수인 '브렌던 프레이(Brendan Frey)' 그룹에서 최근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바이오의약(biomedicine) 분야에서 딥러닝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와 미래 적용될 헬스케어 분야를 소개하는 '바이오의약 분야 딥러닝(Deep learning in biomedicine)' 리뷰 논문을 냈다. 이번에는 이 논문을 요약해 보았다. 1950년 초, DNA의 분자구조가 밝혀졌다. DNA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물리적 저장 매체라는 것이 밝혀졌다. 그로부터 50
재활 의료기기회사 네오펙트가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한국거래소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 이르면 연내 코스닥 입성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7일 코스닥 상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네오펙트의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네오펙트는 앞선 7월 두 곳의 기술상장기업 전문평가기관에서 받은 AA등급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한 바 있다. 약 두달 만에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해 본격적인 공모 절차를 밟게 됐다. 네오펙트의 상장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희망 공모가는 1만
보톡스를 중심으로 메디컬 에스테틱 사업을 확장중인 글로벌 제약사 앨러간(Allergan)은 새 보툴리눔 신경독소(Botulinum Neurotoxin) 개발을 위해 속효성 신경독소 제품 개발에 집중하는 미국 바이오테크 본티(Bonti)를 인수했다고 지난 14일 발표했다. 본티는 새로운 보툴리눔 신경독소 혈청형 E형(Serotype E)인 EB-001을 개발한 기업으로, EB-001A(미용/치료용), EB-001T(치료용)를 이용한 임상 2상을 진행중이다. 본티는 지난 8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제5회 에스테틱 심포지엄에서 미
지플러스생명과학이 국내 유전자세포치료제 CDMO 기업인 씨드모젠과 바이오의약품 및 크리스퍼 유전자치료제 분야에 대한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두 회사는 지난 14일 지플러스생명과학 본사에서 업무협약식을 가졌다. 지플러스는 씨드모젠이 보유한 품질평가분석 기술, GMP 제조시설 등을 활용해 유전자치료제 연구분야에서 협력키로 했다. 씨드모젠은 지플러스의 선두 파이프라인 식물기반 허셉틴 항체의약품 ‘GF003' 및 ‘크리스퍼플러스(CRISPR PLUS)’ 기술을 활용한 항암신약의 임상 시료도 생산하기로 했다
미스미즈바이오는 현직 산부인과 의사인 정소용 대표가 2015년 창업한 기업이다. 환자를 진료하며 느꼈던 여성 질환에 대한 언맷니즈(Unmet Needs)를 해결하기 위해 여성 청결제 개발에 도전했다. 제품의 안전성과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생산한 제품을 갈아엎은 것도 여러번. 그렇게 출시한 제품은 지난해 유명 헬스앤뷰티(H&B) 매장에 입점한 이후 가파른 매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정소용 대표는 "연구개발 확대와 GMP 시설 확보를 통해 제품을 의료기기까지 확장할 계획"이라면서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여성 청결제 시장에서 전문 브랜
국내 생물공학 발효기술 전문업체인 큐젠바이오텍이 전북대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CTCF2)와 손잡고 베타글루칸 기반의 건강기능식품에 도전한다. 17일 회사측에 따르면 양 기관은 지난 11일 채수완 CTCF2 센터장과 이종대 큐젠바이오텍 대표 등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식을 진행했다. 양 기관은 업무 협약을 통해 전임상 및 인체적용 시험 등 효율적인 임상 연구를 통해 신개념의 고부가가치 건강 기능 식품을 개발함으로써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 판매가 가능한 제품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큐젠바이오텍이 확보한 고순
셀리버리가 주관사 추천 성장성 특례상장의 첫번째 주인공이 됐다. 17일 셀리버리에 따르면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성장성 특례상장 신청 1호 기업인 셀리버리의 상장예비심사를 지난 14일 승인했다. 2017년 성장성 특례제도가 도입된 이후 등장한 첫 사례다. 셀리버리는 남은 공모절차를 진행해 연내 코스닥 입성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상장주관사는 DB금융투자다. 공모 희망가는 2만~2만5000원, 공모예정금액은 227억~284억원이다. 성장성 특례상장은 유망 혁신기업의 발굴을 위해 상장주관사가 성장성을 평가해 일정한 책임 하에 자율
올릭스가 다음달 미국 보스턴에 지사를 설립한다. 현지 지사를 총괄하며 기술이전 업무를 주도할 최고개발책임자(CDO, Chief Development Officer)로 보스턴 바이오메디컬(Boston Biomedical, Inc.) 부사장 출신인 웨이 리(Wei Li)를 영입했다. 17일 올릭스에 따르면 웨이 리는 미국 죠지아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분자 바이러스학)를 취득하고 하버드 의학 대학원에서 박사 후 연구과정(Postdoc)을 수료했다. 보스턴 바이오메디컬에 2007년 사업개발(Business Development) 책임
고형암에서 PD-1/PD-L1 면역관문 단백질의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삼중음성유방암(TNBC)에서 PD-L1 단백질의 당화(Glycosylation) 조절을 활용한 치료 전략이다. 임승외 미국 퍼듀대 교수는 지난 14일 앱클론과 서울아산병원 항암T2B구축기반센터의 공동주최로 열린 ‘한국-스웨덴 공동연구 심포지엄’에서 ‘당화 PD-L1 표적의 삼중음성 유방암세포 치료전략'이라는 주제로 관련 연구를 소개했다. 임 교수는 “단백질의 당화과정은 단백질의 위치, 안정성, 활성을 조절하는데 다양성을 제공한다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BMS, 'PRMT5 저해제' 새 단서? "EGFR 폐암 ORR 57%"
보로노이, 'RIPK1 저해제' 美앤비아서 옵션행사 "양도"
큐로셀, 100억 규모 CB 발행 결정
이노퓨틱스, 'AAV' 파킨슨병 "국내 1상 IND 승인"
메이즈, ‘SLC6A19 저해제’ PKU 1상 "긍정적"..주가 급등
코스타시스, '비강투여' 부메타니드 이뇨제 "美 승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지아이이노, CD80-IL2+마이크로바이옴 "항노화 임상"
마티카바이오랩스, 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앱클론, '네스페셀'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