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써모피셔(Thermo Fisher)가 유전자 치료제 CDMO인 브래머바이오(Brammer Bio)를 17억달러에 인수키로 했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최근 글로벌 딜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유전자 치료제 분야로 사업 확장에 나선 것이다. 이번 거래는 오는 6월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써모피셔는 CDMO 산업분야에서 계속해서 영역을 넓히고 있다. 써모피셔는 지난 2017년 제약사 의약품 CDMO 전문회사인 패세온(Patheon)을 72억달러에 인수한 바 있다. 페세온은 저분자 화합물 API와 고분자화합물 등 의약품 공정개발·생산하는
면역분야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기 위한 일라이 릴리(Eli Lilly)의 꾸준한 행보가 계속되고 있다. 릴리는 27일 ‘이뮤넥스트(Immunext)’사와 함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하는 새로운 타깃에 대한 전임상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공동연구의 계약규모는 약 6억500만달러에 달한다. 지난 12월 ‘Aduro biotech’에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한지 3개월 만이다. 이뮤넥스트가 발굴한 타깃은 림프구의 대사에 작용하는 기전으로 면역 억제(suppression)보다는 재편
SK바이오팜이 올해 국내 유가증권(코스피)시장 상장을 추진키로 하면서 국내 바이오산업계와 관련 기업공개 시장의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시총 5조원 이상으로 예상되는 대어(大漁)의 등장이 국내 관련 산업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동시에 증시 부양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편으론 올해 상장 추진 예정기업들은 SK바이오팜의 상장계획에 따라 전략수정을 고민하게 됐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SK바이오팜은 최근 국내 대형 증권사 7곳에 코스피 상장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했다. 회사측은 다음주까지 제안서를 접수받은 뒤
셀트리온이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3상의 환자 모집을 조기 완료했다. 셀트리온은 2018년 3분기 개시된 류마티스관절염(RA: Rheumatoid Arthritis) 환자 대상 휴미라(성분명: 아달리무맙) 바이오시밀러 ‘CT-P17’의 글로벌 3상 임상시험 환자 모집을 완료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영국 8개국 75개 임상 사이트에서 환자 560여명을 대상으로 동시 진행되는 것으로 계획됐다. 다만 50여개 사이트로만 환자 모집을 완료해 글로벌 3상 역시 조기 마무리를 기대하게 됐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과거 램시마 임상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오는 4월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보건산업 일자리 매칭 지원 행사인 '2019 바이오 잡페어(2019 BIO JOB FAIR)'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6회를 맞은 이번 채용박람회에는 한미약품, 코아스템, 한독, 바이넥스, JW중외제약, 유영제약 등 제약·바이오기업 30여개가 참가해 직무상담 및 다양한 분야에서 신입 및 경력사원을 채용할 계획이다. 특히 18일에는 한미약품, 한스바이오메드, 한국머크, 그리고 19일에는 오스템, 루트로닉, 사이넥스, 메드트로닉 등 국내외 우수 기업들의 2019년
한국 바이오제약산업의 미래와 이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기조를 보여주는 두가지 단적인 사건이 거의 동시에 발생했다. 보건복지부의 제네릭 약가제도 개편방안 발표와 이에 앞선 첨단재생의료·첨단바이오의약품법의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소위 통과다. 제네릭(복제약)은 억제하고 신약개발은 돕겠다는 것이 핵심 골자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제네릭(복제약) 의약품 약가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의 내용은 제네릭 의약품의 관리수준을 강화해 약가를 인하함과 동시에 제네릭의 신규 진입(난립)을 억제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제네릭의약품은 일률적으로
에이치엘비가 진양곤 대표이사의 사임과 함께 김하용·김성철 각자대표 체제로 변경됐다. 3상 결과 발표와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신청을 앞둔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의 성공을 위해 전문경영 체제를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에이치엘비는 27일 진양곤 대표이사(회장)에서 김하용·김성철 각자 대표이사로 변경됐다고 공시했다. 최대주주인 진 대표는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했다고 밝혔다. 김하용·김성철 대표는 에이치엘비 계열사인 에이치엘비생명과학, LSK Biopartners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에이치엘비생명과학은 지난해 부광약품으로부터 경구
종양세포의 항암제 반응성과 미토콘드리아의 관련성을 규명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같은 항암제를 사용하더라도 종양세포의 약물 반응성이 다르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지만 어떤 요인에 의한 것인지는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한 연구결과다. 미국의 마운트 시나이(Mount Sinai) 의과대학 연구진과 IBM은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도하는 항암제에 대한 종양세포의 반응성은 세포 내에서 에너지 생성을 담당하는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와 관련이 있으며 미토콘드리아가 적은 종양세포일수록 약물에 대한 반응성이 높다고 26
지엘팜텍이 오는 4월부터 신경병성통증치료제 '프레가발린 서방정'을 국내 출시한다. 프레가발린 서방정은 블록버스터 신경병증성 통증치료제 리리카(성분명 프레가발린)의 복용편의성을 개선한 제품으로 지난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27일 회사측에 따르면 지엘팜텍의 ‘카발린CR정’과 크라운제약에서 상호가 변경된 지엘파마의 ‘슈프레가CR서방정’이 오는 4월 1일부터 국내 CJ헬스케어와 일동제약을 통해 발매된다. 두 제품은 지난 22일 건강보험 약가(150mg 770원, 300mg 987원)가 고시됐다. 지엘팜텍과 기술이전 계
한독은 이중항체 전문 회사인 에이비엘바이오와 이중항체 기반 신약의 국내 임상시험 및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한독은 에이비엘바이오의 이중항체 기반 신약 과제 중 국내 임상1a상을 진행 중인 신생혈관 억제 항암항체 'ABL001'을 포함해 T세포를 끌어드리는(T cell engager) 메커니즘의 이중항체, 이중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등 3개 과제에 대한 한국시장의 임상시험 및 상용화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확보하게 됐다. 또한 한독은 추가적으로 4개의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면역항암제 신약 과제에 대해
CAR-T(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치료제가 아시아 시장에 첫 진출한다. CAR-T는 치료 대안이 없었던 말기 혈액암 환자에게 80%가 넘는 높은 반응률을 보이는 혁신 세포∙유전자 치료제다. 옥스포드바이오메디카(Oxford Biomedica)와 노바티스는 일본 후생노동성(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MHLW)이 CD19 불응성/재발성 B세포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과 CD19 불응성/재발성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DLBCL) 치료제로 '킴리아(Kymri
JW생명과학의 3세대 종합영양수액제가 유럽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아시아권 제약사가 종합영양수액제로 유럽의 관문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JW홀딩스의 자회사 JW생명과학은 미국 박스터가 영국, 네덜란드, 벨기에 등 유럽 국가로부터 3체임버 종합영양수액제 피노멜주(FINOMEL, 국내 제품명 위너프)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27일 밝혔다. 박스터는 수액제 분야 세계 최대 기업으로 JW생명과학이 생산하는 피노멜주에 대한 글로벌 판권을 확보하고 있다. JW생명과학과 박스터는 작년 4분기 유럽 판매를 위한 통합승인절차(DCP, D
지노믹트리의 코스닥 상장 첫날, 핵심 제품인 대장암 진단키트 'EarlyTect-Colon Cancer'의 임상 결과가 공개됐다. 연구결과 대변에 포함된 DNA 분석을 통해 대장암 가능성을 90% 이상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노믹트리의 대장암 진단키트는 2018년 8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등급 의료기기로 허가받았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김남규·한윤대 교수팀(대장항문외과)은 27일 지노믹트리와 진행한 새로운 대장암과 대장용종 조기 진단 검사법에 대한 임상결과를 공개했다. 연구결과는 세계적 후생유전학 학술지인 'Clinic
씨제이헬스케어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한 임상연구 논문이 SCI급 국제 학술지에 발표됐다. 기존에 처방되고 있는 PPI(proton pump inhibitor) 계열 약물인 에스오메프라졸 대비 약물과 비교한 연구결과다. 씨제이헬스케어는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의 임상 3상 결과가 지난 13일자 SCI급 의학저널인 AP&T(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ISSN: 0269-2813), IF: 7.357)에 등재되었다고 27일 밝혔다. 케이캡
지노믹트리가 미국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지노믹트리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용 임상시험 및 글로벌 기업과 협업 등 사업확장을 위해 지분율 100%의 미국 현지법인을 설립한다고 지난 26일 공시했다. 법인명은 지노믹트리의 후성유전학 바이오마커를 뜻하는 '에피'에, 약속이라는 '프로미스'를 합한 '에피프로미스헬스(Epipromis Health)'로 지었다. 지노믹트리는 에피프로미스헬스에 1000만달러(약 113억4900만원)을 출자키로 했다. 자기자본의 9.45%에 해당하는 수치다. 지노믹트리는 27일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다
메디포스트는 골관절염치료제 카티스템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약물과 인과관계가 있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발현이 전혀 없는 등 안전성을 재확인 받아 의약품 재심사를 통과했다고 26일 밝혔다. 메디포스트는 의약품 허가사항 변경 지시와 관련 작년 4월 PMS(시판 후 조사) 615례를 완료해 식약처에 모든 이상사례를 제출했으며 재심사(허가의약품은 시판 일정 기간 후 재심사를 받아야 함) 결과에 따라 ‘사용상 주의사항’에 해당하는 허가사항이 변경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PMS 결과 통증, 두통, 가려움증, 말초부종 등 약물 이상반응 발현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알테오젠, '아일리아 시밀러' 유럽 "시판허가 획득"
에이프릴, "전략변화" SAFA 개선 '차세대 플랫폼'은?
이노퓨틱스, 'AAV' 파킨슨병 "국내 1상 IND 승인"
메이즈, ‘SLC6A19 저해제’ PKU 1상 "긍정적"..주가 급등
코스타시스, '비강투여' 부메타니드 이뇨제 "美 승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보로노이, 'RIPK1 저해제' 美앤비아서 옵션행사 "양도"
지아이이노, CD80-IL2+마이크로바이옴 "항노화 임상"
마티카바이오랩스, 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앱클론, '네스페셀'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