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umab is a new start-up company that is developing transgenic mouse platforms that can produce fully human antibodies using genomic recombination technology. The company was founded in 2018 by CEO Oh Chang-Gyu, who had led transgenic animal-related projects in Macrogen and Toolgen. CEO Oh said, “The
툴젠이 치료제사업본부를 신설하는 등 신약개발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했다. 툴젠은 16일 R&D센터, 사업본부, 경영지원본부로 구성된 1센터, 2본부 체제를 치료제사업본부, 신사업본부, 경영지원본부로 구성된 3본부 체제로 조직개편했다고 밝혔다. 기존 기능 위주의 조직을 사업 중심으로 개편하면서 특히 신약개발 부문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툴젠은 올해 초 호주 Cartherics와 '유전자교정 CAR-T' 공동개발계약을 체결하는 등 유전자교정 기술을 활용한 신약개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신설된 치료제사업본부장에는 김석중 상무, 신사업본부
네오이뮨텍(NeoImmuneTech, NIT)은 T세포 증폭 신약후보 물질인 하이루킨-7(Hyleukin-7, NT-I7; rhIL-7-hyFc)이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특발성 CD4+ 림프구 감소증(Idiopathic CD4+ Lymphocytopenia, ICL) 치료제로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특발성 CD4+ 림프구 감소증은 1992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첫 정의한 희귀질환으로, HIV 감염이나 다른 면역 결핍 소인 없이 CD4+ T세포 숫자가 현저하게 낮게 유지되는 상태를 일컫는다.
유전체 분석기업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가 항암바이러스치료제 개발기업 바이로큐어의 2대 주주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투자를 통해 전략적 파트너가 된 두 회사는 유전체 기반 항암바이러스치료제 공동개발에 본격 나선다. EDGC는 치료제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게 됐고 바이로큐어는 기술력·자본력을 가진 우군을 만나 재도약을 노릴 수 있게 됐다. 16일 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EDGC는 최근 바이로큐어의 신주·구주를 매입해 10% 중반대 지분율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한상경 바이로큐어 공동대표에 이어 2대 주주 자리에 올랐다. 이번 투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진행성 또는 전이성 방광암 성인환자의 치료제로 얀센의 '발버사(Balversa, 성분명: Erdafitinib)'를 지난 12일 신속 승인했다. 이에 따라 발버사는 FDA로부터 승인받은 첫 FGFR(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인산화효소 저해제가 됐다. 발버사는 FGFR3 또는 FGFR2 변이를 보유하며, 수술 전 보조요법(neoadjuvant) 또는 수술 후 보조요법(adjuvant)으로 12개월 이내에 백금 기반의 화학항암제로 치료 중이거나 치료받은 후에도 증상이 진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가 바이로큐어와 항암바이러스치료제 공동개발에 나선다. 유전체분석기업 EDGC는 15일 송도 본사에서 항암바이러스 개발 전문기업 바이로큐어와 '임상유전체 데이터를 활용한 바이러스 항암치료제 개발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단순 업무협력 뿐 아니라 지분투자까지 포함된 협약이다.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유전자 치료제 상용화 연구개발 ▲항암바이러스 병용요법 및 거부반응 모니터링 ▲암 관련 바이오마커 임상데이터 공유 ▲종양 억제물질 생산 등을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바이로큐어의 항암바이러스 신약개발
항암바이러스 전문 개발회사인 바이로큐어는 최근 유행준 대표이사와 윤주한 연구소장(CTO)을 새롭게 영입했다고 15일 밝혔다. 유 신임 대표는 CJ그룹 바이오 사업 총괄부사장, 전북 생물산업진흥원장 및 아미코젠 경영총괄사장을 역임했다. 윤 연구소장은 미국 메이요클리닉(Mayo Clinic)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하버드의대 펠로우(Fellow)를 거친 다음 제약사에서 신약개발 경험을 쌓았다. 바이로큐어는 인재 영입과 함께 임상 개발에도 속도를 낸다. 바이로큐어는 올해 하반기에 항암효과와 안전성을 높인 리오바이러스 'AV Reoviru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코오롱생명과학 인보사 사태와 관련, 미국 현지조사 등을 포함한 추가 조사를 예고했다. 이에 따라 당분간 인보사 판매 재개를 기대하기는 어려워보인다. 식약처는 아울러 인보사 투여환자 전체에 대한 15년간의 장기추적조사와 함께 유전학적 계통검사(STR) 검사 의무화, 세포·유전자치료제 장기추적조사 의무화 등과 같은 규제강화책도 내놨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보사케이주' 관련 중간조사결과 발표를 통해 자체 수거·검사 결과 주성분중 2액이 허가당시 제출한 자료에 기재된 연골유래세포가 아닌 태아신장유래세포인 것으로 확인됐다
코오롱생명과학 인보사케이주의 주요성분인 형질전환세포(TC)가 '태아 신장 유래 293세포(Human embryonic kidney 293 cell)'로 나타났다. 코오롱생명과학이 판매중인 인보사와 코오롱티슈진이 미국 임상 3상을 위해 생산한 인보사가 같은 성분임이 확인됐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인보사케이주에 대한 유전자 정밀성분 검사(Short Tandem Repeat, STR) 검사결과 2액인 형질전환세포가 293유래세포임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인보사는 사람의 연골에서 추출한 연골세포(HC)와 TGF-β1 유전자를 도입한 형질
Samsung Bioepis has completed phase 1 clinical study in Germany for the development of Soliris (ingredient name: Eculizumab) biosimilar. According to the clinical information sit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ClinicalTrial.gov, on November 11th, Samsung Bioepis has finished their phase 1 stu
"PROTAC, ADC(Antibody-Drug Conjugate) 등 새로운 융합기술로 인해 합성의약품 역시 계속적인 혁신과 발전을 이룰 것으로 생각한다. 합성의약품 개발을 지원하는 대구경북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도 빠른 시일 안에 글로벌 기술이전 성과를 내는 것이 목표다." 이영호 대구경북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은 지난 11일 대구 혁신도시에 위치한 본부에서 바이오스펙테이터와 만나 이 같이 말했다. 바이오의약품 붐이 일어나면서 상대적으로 화학합성물 기반 의약품에 대한 관심은 적어지지 않았냐는 질문에 대한 답이다. 대구경북 첨단
비씨켐이 1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를 통해 표적/면역항암제, 알츠하이머성 치매치료제 등의 개발에 속도를 내게 됐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비씨켐은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3차례에 걸친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약 100억원을 확보했다. 보통주를 신주로 발행하는 이번 투자에는 DS자산운용, KB증권, 수인베스트먼트캐피탈 등을 포함한 국내 다수 기관이 참여했다. 비씨켐은 2018년 3월 요즈마그룹코리아(요즈마 개인투자조합1호 펀드)를 비롯한 국내 기관으로부터 30억원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1년여만에 시리즈B
“ABL503은 종양 조직의 PD-L1과 T세포 보조자극 인자인 4-1BB에 동시에 결합하는 이중항체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특이적으로 T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다. ABL503은 PD-L1을 발현한 암조직에서만 항암 효과를 나타냈고, PD-L1과 4-1BB 약물을 병용투여군보다 독성 T세포 활성화 및 종양성장 억제효과가 우수했다. 이번 달에 ABL503의 GLP 독성시험에 들어갈 예정이며, 내년 하반기에 미국 임상을 위한 임상시험계획서 제출(IND filing)을 계획하고 있다.” 박은영 에이비엘바이오(ABL Bio) 팀장(과제 책임
대웅제약이 자체 개발한 보툴리눔 톡신제제 '나보타(Prabotulinumtoxin A)'의 미간주름 개선 효과와 안전성이 보톡스와 비교해 동등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웅제약은 지난 5일 나보타의 유럽 및 캐나다 임상3상 결과가 국제학술지 '에스테틱 서저리 저널(Aesthetic Surgury Journal)'에 게재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 및 캐나다에서 시행한 임상3상(EVB-003)으로, 나보타와 앨러간의 보톡스를 직접 비교한 비열등 임상이다. 미간주름 척도인 GLS(Glabellar Line Scale)
바이오니아와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는 유전체 분석 분야 공동 연구개발 및 사업 제휴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분야의 기술 고도화를 위해 연구 및 용역사업 등에 대한 유무형의 연구 역량과 자산을 공유하고 시설 장비 등에 대한 상호 활용 지원 및 정보 교류를 추진할 계획이다. 바이오니아는 실시간핵산증폭장비와 핵산추출장비, 각종 질병진단을 위한 진단키트들을 개발해 출시해 왔다. 테라젠이텍스는 유전체 분야 연구 시설과 인력, 기술을 갖추고 있다. 박한오 바
RNAi 신약개발기업 올릭스가 특발성폐섬유화(IPF) 치료제를 새로운 신약 파이프라인에 추가했다. 12일 올릭스에 따르면 OLX201는 폐섬유화의 주요 유전자인 CTGF(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를 억제하는 흡입제형(nebulizer inhalation)의 RNAi 신약후보물질이다. CTGF는 결합조직 생성인자 또는 연결조직 성장인자로 인체 내 섬유화 촉진의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OLX201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첨단기술개발사업으로 싱가포르 국가기관인 A*Star와 공동 국제과제를 통해 개발했다.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알테오젠, '아일리아 시밀러' 유럽 "시판허가 획득"
에이프릴, "전략변화" SAFA 개선 '차세대 플랫폼'은?
메이즈, ‘SLC6A19 저해제’ PKU 1상 "긍정적"..주가 급등
코스타시스, '비강투여' 부메타니드 이뇨제 "美 승인"
젠맙, '18억弗 인수' 프로파운드 PTK7 ADC "개발중단"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지아이이노, CD80-IL2+마이크로바이옴 "항노화 임상"
마티카바이오랩스, 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앱클론, '네스페셀'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 "참가"
큐로셀, 100억 규모 CB 발행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