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큐롬바이오사이언스(Curome Biosciences)는 미토콘드리아성 희귀 안질환 치료제 개발물질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신약 기반 확충 연구’ 과제에 선정되어 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큐롬바이오사이언스는 향후 2년동안 레버씨 시신경 위축증(Leber hereditary optic neuropathy, LHON) 치료제의 선도물질 도출을 지원받게 된다. 큐롬바이오사이언스는 2017년 4월에 설립된 바이오벤처로 NQO1(NADH:quinone oxidoreductase 1)을 타깃하는 하는 NA
로슈(Roche)가 경구용 BTK 저해제의 다발성경화증(MS) 임상2상에서 뇌 병변을 90% 이상 개선한 결과를 내놨다. 로슈의 BTK 저해제 ‘페네브루티닙(fenebrutinib)’은 뇌 병변 개선과 함께 혈뇌장벽(BBB)를 통과해 직접적으로 MS 관련된 만성염증을 치료할 가능성을 보였다. 여기에 더해 경쟁 BTK 저해제보다 긍정적인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이며 다발성경화증에 대한 첫 BTK 저해제로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페네브루티닙은 비공유결합(non-covalent) 방식의 BTK 저해제로 B세포와 미세아교세포(microgl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은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현지시각)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3 AACR-NCI-EORTC에 참가해 KRAS 변이 고형암을 타깃하는 SOS1 저해제 ‘HM99462’의 연구 결과 1건을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AACR-NCI-EORTC는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와 유럽 암연구 및 치료기구(EORTC)가 매년 공동주최하는 학회이다. 한미약품은 이번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할 계획이며, 이르면 내년 임상1상을 시작한다. KRAS는 KRAS
지아이이노베이션(GI Innovation)은 IgE Trap 기반 알러지신약 후보물질 ‘GI-301’의 일본내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일본 마루호(Maruho)에 총 2980억원 규모로 기술수출했다고 16일 공시했다. 지난 2020년 지아이이노베이션이 유한양행(Yuhan Corporation)에 GI-301의 일본을 제외한 글로벌 권리를 계약금 200억원을 포함 총 1조4090억원 규모에 라이선스아웃(L/O)한 이후, GI-301의 추가적인 라이선스 계약 성사 건이다. 지아이이노베이션은 이번 계약을 통해 마루호로부터 반환의무 없는
애스톤사이언스(Aston Science)는 오는 11월 1일부터 5일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되는 미국 면역항암학회(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SITC)에서 총 5건의 항암백신 후보물질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애스톤사이언스는 이번 SITC에서 현재 다국적 임상2상에 진입한 주력 파이프라인 ‘AST-201’과 ‘AST-301’의 연구결과를 ‘난소암 마우스 모델에서 표준치료와 결합한 AST-201의 항종양 효과’와 ‘인간 위암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을 이용해 진행된
HLB가 중국 항서제약(Hengrui Pharmaceuticals)과 공동개발 중인 TKI 약물 ‘리보세라닙(rivoseranib)’이 위식도접합부(G/GEJ) 선암종의 수술전후요법(perioperative) 임상3상에서 화학요법 대비 병리학적완전관해(pathological CR, pCR)를 유의미하게 개선한 첫 중간분석(interim analysis) 결과를 보였다. 이는 리보세라닙과 PD-1 항체 ‘캄렐리주맙(camrelizumab)’, 화학요법을 병용한 결과다. 이번 임상3상(NCT04208347) 결과는 오는 21일(현지시
브릿지바이오 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암 연구 관련 국제 학술 회의 ‘2023 AACR-NCI-EORTC’에서 회사의 자체 발굴 임상과제 및 비임상 과제 등 2건의 포스터를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AACR-NCI-EORTC는 미국암학회(AACR), 미국국립암연구소(NCI), 유럽 암 연구 및 치료기구(EORTC)가 공동으로 주관해 미국과 유럽에서 매년 순회 개최되는 국제학회다. 브릿지바이오는 고형암을 타깃해 개발하는 TEAD 저해제 ‘BBT-443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16일 미국골대사학회(The Americ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ASBMR 2023) 연례 학술대회를 통해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SB16(denosumab)’의 임상1상, 3상 결과를 최초로 공개했다고 발표했다. ASBMR 2023는 13~16일까지 캐나다 벤쿠버에서 진행된다. 우선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건강한 성인 남성 168명을 대상으로 SB16에 대한 임상 1상을 진행했으며, 이를통해 SB16과 오리지널 의약품 간 약동학(phar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2023 유럽종양학회(ESMO 2023)에서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Lunit SCOPE)를 활용해 항암제 치료 효과 예측 유효성 등을 입증하는 9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고 16일 밝혔다. 루닛은 이번 학회에서 진행성 담도암(BTC), 두경부 편평세포암(HNSCC), 비소세포폐암(NSCLC) 등 여러 암종에 대해 AI 바이오마커를 적용, 치료 반응 예측력을 높이고 임상적 가치를 재확인했다. 주요 연구 중 하나로, 루닛은 진행
앱클론(AbClon)이 오는 12월 9일부터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리는 미국 혈액학회(ASH 2023)에 참가해 CD19 CAR-T ‘AT101’와 신규 타깃인 CD30 CAR-T에 대해 미국 펜실페니아 의과대학과 공동으로 발표한다고 13일 밝혔다. 앱클론은 신규 타깃 CD30 CAR-T 연구결과를 구두로 발표할 예정이며, AT101의 업데이트된 임상1상 후속 결과는 포스터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앱클론은 지난 6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에서 AT101의 임상1상 결과를 발표했으며, 지난달 대한 조혈모세포이식학회(ICBMT)
티움바이오(Tiumbio)는 주요 파이프라인 임상개발 및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185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이번 CB발행에는 차병원그룹의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우리벤처파트너스를 포함해 한국투자증권, DS자산운용 등 유수의 기관투자자가 참여했다. 이번 자금조달로 티움바이오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약 300억원으로 늘어나 안정적 임상개발을 지속할 수 있게 됐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티움바이오는 이번 조달자금을 키트루다(Keytruda)와 병용투여 임상을 진행중인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TU22
에필바이오사이언스(EFIL Bioscience)는 최근 미국 프래더-윌리 연구재단(Foundation for Prader-Willi Research, FPWR)이 콜로라도주 덴버시에서 개최한 국제 학술심포지움에서 프래더-윌리 증후군 환자의 과식증 치료제 후보물질 ‘EC-001’의 비임상 데이터를 첫 공개했다고 13일 밝혔다. 프래더-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 PWS)은 15번 염색체 유전자 이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전성 희귀질환으로 과도한 식욕, 고도비만, 작은 키, 근육긴장 저하, 성선기능 저하증, 지
이수앱지스(ISU ABXIS)는 13일 이사회를 열고 총 6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와 3자배정 유상증자를 발행하기로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CB로는 500억원, 유상증자로는 100억원을 조달한다. 공시에 따르면 이수앱지스는 주주배정후 공모방식으로 CB를 발행해 500억원을 조달한다.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은 각각 3%, 5%다. 전환가액은 7000원, 시가하락에 따른 최저 조정가액은 4900원이다. 기존주주의 청약기간은 12월 14~15일, 일반청약은 12월 19~20일이며 납입일은 12월22일이다. 전환청구기간은 2024년
인벤티지랩(Inventage Lab)은 13일 당뇨 및 비만치료제로 개발중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1개월 장기지속형 주사제 후보물질 ‘IVL3021’의 전임상 결과를 세계 비만체중관리학회(WOC 2023)에서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 인벤티지랩은 IVL3021을 주사한 후 약물동태(PK)를 관찰해 1개월간 안정적인 혈중 약물방출을 확인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WOC 2023(World Obesity and Weight Management Congress 2023)은 오는 16~18일 미국 보스턴에서 개
스파크바이오파마(Spark Biopharma)는 섬유화 치료제 후보물질 ‘SBP-401’이 지난 6월 2023년 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임상1상단계 지원과제로 선정돼 국가신약개발재단(KDDF)과 최종 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스파크바이오파마는 향후 2년간 임상1상 진행을 위한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 SBP-401은 특발성 폐섬유화증(IPF) 치료제 개발과제로 타깃분자(비공개)에 선택적으로 결합해 염증 반응과 폐섬유아세포의 섬유화를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의 약물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스파크바이오는
GC녹십자(GC Biopharma)는 미국 이메타스 테라퓨틱스(Immetas Therapeutics)와 자가면역질환 관련 mRNA 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두 회사는 선천성 면역, 만성 염증조절을 위한 이메타스의 플랫폼 기술에 GC녹십자의 mRNA 치료제 및 지질나노입자(lipid nano article, LNP) 전달 플랫폼을 활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계약의 구체적인 계약규모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메타스는 선천 면역시스템(innate immune
노보노, 새 CEO 취임 하루前 “비만에셋 2개 중단”
릴리 "기대주", '경구 GLP-1' 첫 비만 3상 "기대 이하"
와이바이오, 350억 CB발행 완료.."바이오VC 참여"
LG화학, '에스테틱사업' VIG에 "2000억 매각"
스트랜드, 시리즈B 1.5억弗..'IL-12 mRNA' LG 투자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삼진제약, HR담당에 신승원 이사 영입
대웅제약, '셀트리온 출신' 홍승서 본부장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네오이뮨텍, 'NT-I7' 美1b상 후속 연구자임상 "승인"
씨젠, 2분기 매출 1141억 "전년比 14% 증가
제이피아이헬스, 공모가 2만원 확정 "밴드 상단"
큐로셀, 성인 ALL 대상 ‘안발셀’ 1/2상 "IND 변경신청"
브릿지바이오, '파라택시스 코리아'로 사명변경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