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큐리언트(Qurient)가 그동안 축적된 항암제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페이로드(payload) 영역으로 진입한다. 큐리언트는 지난 22일부터 26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AACR-NCI-EORTC 2025에서 두 플랫폼을 동시에 오픈했다.
큐리언트는 현재 ADC 임상 현장에서 가장 큰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페이로드 저항성을 해결하기 위해 CDK7 저해제와 TOP1 저해제를 결합한 이중페이로드(dual payload), 신규 프로테아좀(proteasome) 저해제 페이로드라는 2가지 키워드에서 연구결과를 공개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글로벌에서도 시도되지 않았던 조합이다.
현재 토포이소머라아제1(TOP1) 저해제 기반 ADC 개발 붐 속에서, 임상에서 약물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는 대부분 PD-(L)1 병용요법에 치우쳐져 왔다. 이러한 가운데 앞서가는 HER2 ADC ‘엔허투’, TROP2 ADC 등 임상에서 약물저항성 메커니즘에 대한 분석결과가 도출되기 시작하면서, 세포내 DNA 손상을 복구하는 DNA 손상반응(DDR) 경로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PARP 저해제를 포함한 DDR 저해제는 기존에도 화학항암제 민감성을 높이는 약물(chemosensitizer)로서 병용투여 임상개발이 시도돼 왔고, 최근 PARP 저해제나 ATR 저해제와 ADC 약물을 병용투여하는 움직임으로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이번달 열린 유럽 종양학회(ESMO 2025)에서 개발 단계로 가장 앞서가는 후보물질 가운데 하나로, 청두강홍 파마슈티컬(Chengdu Kanghong Pharmaceutical)이 듀얼페이로드 ADC ‘KH815’의 초기 임상1상 결과를 발표했다. KH815는 TOP1 저해제에 RNA 폴리머라아제II(RNA Pol II) 저해제를 결합시킨 약물로, 초기 저용량(0.5, 1mg/kg)을 투여한 고형암 환자 4명 모두에게서 안정반응(SD)을 관찰했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