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신창민 기자
▲정재훈 동아에스티 사장(왼쪽), 김경수 서울대 첨단융합학부 교수
동아에스티(Dong-A ST)는 22일 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에서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와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AI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신약개발 가속화를 목표로, 동아에스티의 임상 데이터 및 신약개발 역량과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의 AI 원천기술을 결합한 공동연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했다.
두 기관은 △AI 기반 신약개발 △연구데이터 디지털전환 관련 공동연구에 협력한다. 또한 이번 협약을 계기로 서울대 석박사 과정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해 차세대 AI신약개발 인재를 양성하고 중장기적으로 산학협력 체계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대 첨단융합학부는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 가능한 범용 AI원천기술과 핵심 알고리즘을 개발해왔으며, 축적된 연구성과와 기술적 전문성을 통해 독자적인 AI기술 경쟁력을 갖췄다고 동아에스티는 설명했다.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의 AI 경쟁력과 동아에스티의 약물 자산, 임상데이터, 신약개발 역량을 결합해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AI신약개발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기대했다.
김경수 서울대 첨단융합학부 교수는 “노벨상 수상으로 그 성과가 입증된 알파폴드와 최근의 임상성공 사례들이 보여주듯, 상용화 가능한 신약개발 인공지능은 이제부터가 진정한 본격적 시작 단계에 있다”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인공지능, 디지털 헬스케어, 의생명과학, 신약개발 등 다양한 분야를 전문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첨단형 인재양성과 각 분야 최고 수준의 교수진 구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이 모든 역량을 고루 갖춘 서울대 첨단융합학부는 대한민국 대표 제약기업인 동아에스티와 함께, 글로벌 상용화를 목표로 한 원천기술 개발과 신약의 세계 시장진출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부연했다.
정재훈 동아에스티 사장은 “AI는 신약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핵심 기술로, 서울대와의 협력을 통해 동아에스티의 연구개발 역량에 새로운 혁신동력을 더할 것”이라며 “양 기관의 협업을 통해 AI신약개발 속도를 높이고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 있는 혁신신약을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