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이비엘바이오가 자체 이중항체 항암제 개발과 상업화에 속도를 내기 위해 새롭게 과학자문위원회(Scientific Advisory Board, SAB)를 구성했다고 18일 밝혔다. 자문위원단은 항암제 분야에서 다양한 신약 후보물질의 연구개발, 임상개발과 상용화 전략을 이끌었던 전문가를 영입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과학자문위원회의 전문가를 지난 16-17일 이틀 간 본사로 초청해 현재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연구개발자문행사(R&D Days)’를 열었다. 에이비엘바이오의 과학자문위원
Aiming to complete the project by the 15th of next month, HLB has started the process of merging with U.S.-based developer Elevar Therapeutics (formerly LSK Biopharma). HLB announced on Thursday (U.S. local time) that it signed a merger contract with HLB USA and Elevar. In June, HLB USA, a wholly-ow
국내 신약개발기업 메드팩토가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지난 17일 메드팩토의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승인했다. 테라젠이텍스 계열사로 혁신신약 연구개발기업인 메드팩토는 TGF-β 저해제 '백토서팁'을 개발하는 회사다. TGF-β 저해제는 면역세포가 암 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종양 주변 환경을 개선해 면역항암제의 낮은 반응률을 높일 물질로 글로벌 신약개발 현장에서 주목받아왔다. 메드팩토는 골수이형성증에 대한 미국 백토서팁 단독 임상 1·2상 뿐 아니라 머크(키트루다), 아스
노브메타파마가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통과했다. 지난달 4일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한 노브메타파마는 코넥스 기업의 빠른 코스닥 상장을 돕는 신속이전 상장제도(패스트트랙)에 힘입어 약 한달 반만에 상장을 확정지었다. 17일 한국거래소는 노브메타파마에 코스닥 상장을 승인한 예비심사결과를 통보했다. 지난 4월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자진철회한지 6개월만에 재도전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냈다. 지난달 4일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한 이후로는 한달 반만이다. 노브메타파마는 신속이전 상장제도를 통해 빠르게 코스닥 상장을 확정했다. 거래소
입센(Ipsen)과 블루프린트 메디슨스(Blueprint Medicines)가 희귀 유전질환인 진행성 골화성 섬유이형성증(fibrodysplasia ossificans progressiva, FOP) 치료제 공동개발 계약을 16일(현지시간) 체결했다. 블루프린트와 최대 5억3500만달러 규모에 이르는 계약을 체결한 입센은 진행성 골화성 섬유이형성증 치료후보물질 ‘BLU-782’에 관한 독점적인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획득했다. 블루프린트는 2500만달러의 계약금과 함께, 최대 5억1000만달러의 개발, 규제, 상업화 단계별 기술료
바이오큐어팜은 급성백혈병 CAR-T치료제 임상을 위해 클립스(CliPS)와 CRO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바이오큐어팜은 공동개발사 파로스백신과 함께 이달 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 1상 시험계획서를 제출할 예정으로 연내 승인을 기대하고 있다. 바이오큐어팜의 CAR-T(BCP401)는 CD19 표적항원을 이용해 말기 급성백혈병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2018년 10월 비임상시험을 완료했으며 이후 임상시험 진행을 위해 세포주 은행 확립, 제조공정 확립 등의 준비과정을 진행해왔다. 전임상에서는 자가혈액유래 CD19 CA
피에이치파마(pH Pharma)가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기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피에이치파마는 미국 이뮤놈(Immunome)과 다양한 ADC 항암제 연구를 위한 공동 연구개발 및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 개발 계약에 따라 이뮤놈은 독자적인 항체 개발 플랫폼을 활용하여 최적의 항체를 발굴하게 된다. 이뮤놈은 인간면역 시스템을 활용해 신규 항암 치료용 항체를 탐색 및 발굴하는 항체 개발 플랫폼을 갖고있다는 설명이다. 피에
알렉시온 파마슈티컬스(Alexion Pharmaceuticals)는 아킬리온 파마슈티컬스(Achillion Pharmaceuticals)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현재시간) 발표했다. 이번 인수계약에 따라, 알렉시온은 계약금 9억3000만달러 또는 아킬리온의 주식 한 주당 6.3달러의 현금을 아킬리온에 지급할 예정이다. 인수계약의 일환으로 알렉시온은 현재 아킬리온의 현금도 모두 인수하게 된다. 현금은 지난달 30일을 기준으로 약 2억3000만달러 정도였다. 아킬리온은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aroxysmal noctu
인벤티지랩이 탈모 치료제로 쓰이는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의 1개월 지속형 주사제를 개발, 관련 연구를 통해 새로운 제형의 성공 가능성을 확인했다. 2020년 의약품 허가를 위한 해외 임상에 본격 돌입할 예정이다. 인벤티지랩은 독자 개발한 미립구(microsphere) 기반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인 IVL-PPFM을 통해 차세대 필러, 동물의약품, 장기지속형 의약품을 개발하는 바이오벤처다. 인벤티지랩은 17일 김범준 중앙대학교병원 교수(피부과)와 나정태 연구교수와 함께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으로 남성형 탈모
일라이릴리가 반감기를 늘린 싸이토카인 약물인 '페길로데카킨(pegilodecakin)'의 췌장암 대상 임상3상 실패를 알렸다. 일라이릴리가 지난해 6월 아모바이오사이언스(Armo BioSciences)를 16억달러에 인수하면서 확보했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다. 릴리는 전이성 췌장암 2차 치료제로 페길로데카킨과 기존의 화학항암제를 병용투여하는 SEQUOIA 임상3상에서 1차 충족점인 전체 생존기간(OS)을 연장하지 못했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자세한 데이터는 다가오는 학회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페길로데카킨은 페길레이션으로 반감기를
테라시드 바이오사이언스가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후보물질 TB-840의 성공적인 해외기술이전을 위해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해외마케팅에 나선다. 테라시드바이오와 서울대 산학협력단은 16일 서울시 관악구 서울대학교 행정관에서 윤의준 서울대 산학협력단장(재료공학부 교수)과 김흥재 테라시드바이오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해외기술이전 및 해외마케팅 활성화를 위해 상호협력 관계 구축을 골자로 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양측은 헤외마케팅 인프라 강화를 위해 각자가 보유한 해외기술이전 경험과 해외 네트
지플러스생명과학이 유전자가위 기반 바이오의약품 연구를 위한 ‘오송 유전자가위 신약연구소’ 의 1단계 시설을 준공했다. 지플러스생명과학은 지난 16일 오송 첨단의료산업복합단지 부지에서 박구선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을 비롯한 외부 인사들과 최성화 대표 등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오송 유전자가위 신약연구소’ 1단계 준공식을 열었다고 17일 밝혔다. 오송 첨단복합단지 부지 14,725.3㎡에 자리잡은 오송 유전자가위 신약연구소는 2019년 4월 4일 착공식을 갖고 7개월의 공사 기간을 거쳐 지난 9월 25일 사용승인을 받았다.
국내 바이오벤처와 연구진이 TLR7/8(toll-like receptor 7/8)을 가진 나노에멀전(nanoemulsion, NE) 기반 주사제로 면역관문억제제의 반응률을 높이는 새로운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 단디바이오사이언스는 17일 임용택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단디바이오 연구소장)이 TLR7/8을 포함한 나노에멀전이 실험동물모델에서 면역반응을 촉진해 종양 부피가 감소했으며 면역항암제와 병용해 투여했을 때 더 큰 수준으로 종양이 감소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nano에 게재됐다. 인체의 면역반응
팔, 등, 배, 엉덩이에 부착해 아세나핀(asenapine)을 투여하는 패치형 조현병 치료제 ‘세쿠아도(Secuado)’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FDA의 승인을 받은 패치 형태의 조현병 치료제는 세쿠아도가 처음이다. 노븐 파마슈티컬스(Noven Pharmaceuticals)는 세쿠아도가 FDA의 승인을 받았다고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세쿠아도는 18세 이상 성인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하며, 1일 1회 부착 후 24시간 동안 아세나핀을 피부로 투여한다. FDA로부터 2009년 8월 승인받은 비정형 항
스위스계 빅파마 로슈의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 허셉틴, 리툭산의 매출이 큰 폭으로 줄었다. 유럽 바이오시밀러 시장 개방에 따른 두 제품의 매출 하락세가 진정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16일(현지시간) 로슈의 실적발표에 따르면 허셉틴은 올해 3분기 15억3500만스위스프랑(1조8300억원) 매출을 올려 전년 같은기간 16억8300만프랑 대비 매출이 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럽의 허셉틴 매출은 2억3300만프랑으로 전년 같은 기간 4억1900만프랑 대비 44%나 감소했다. 전분기 2억6800만프랑과 비교해도 13% 줄어든 것으
아우라 바이오사이언스(Aura Biosciences)는 바이러스 유사 입자(Viral-like particle) 기술로 개발된 ‘AU-011’의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맥락막 흑색종(Choroidal melanoma)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임상1b/2상(NCT03052127)의 결과를 2019 미국 안과학회(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AAO)에서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바이러스 유사 입자 기술은 미국 국립 암연구소(NCI)의 John Schiller 박사가 개발한 기술이다.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알테오젠, '아일리아 시밀러' 유럽 "시판허가 획득"
에이프릴, "전략변화" SAFA 개선 '차세대 플랫폼'은?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신규 뇌전증 3상 "1차 충족"
에스티팜, 내달 PoC 결과 ‘ALLINI’ HIV “개발전략은?”
어타이어, 'NRP2 조절제' 폐질환 3상 "1차 미충족"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GC녹십자 美자회사, 텍사스주 혈장센터 '개소'
씨어스, '부정맥 탐지 AI모델' 국제학술지 게재
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 "추가매입 결정"
지노믹트리, ‘얼리텍 BCD’ 美AUA 가이드라인 "공식 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