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약품이 2년 연속 매출 1조원 달성에 근접했다. 한미약품은 2019년 3분기 연결회계 기준으로 매출액 2657억원, 영업이익 249억원을 달성했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12.9%(2353억원), 16.0%(215억원) 성장했다. R&D에는 매출 대비 19.7%인 523억원을 투자했다. 한미약품의 1~3분기 누적 매출은 8107억원으로 올해 매출 1조원 이상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제넨텍으로부터 받은 신약 라이선스 계약금의 분할인식(매월 30억원씩 30개월)이 지난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와 갈라파고스(Galapagos)가 함께 개발 중인 JAK-1억제제 '필고티닙(filgotinib)'이 루푸스(Lupus)와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환자의 증상 개선에 실패했다. 길리어드는 2019년 3분기 결과 보고자리에서 필고티닙을 투여한 루푸스와 쇼그렌 증후근 환자 대상 임상 2상에서 1차 종결점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지난 24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루푸스는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만성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으로 피부 점막의 염증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와 HER3 이형중합체(heterodimer) 형성을 막는 이중항체가 췌관선암(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환자의 종양을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암연구협회(AACR), 미국국립암연구소(NCI), 유럽암연구및치료기구(EORTC)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분자표적 및 암치료 국제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M
아이메디신이 알츠하이머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를 선별하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뇌파분석 솔루션의 확증 임상시험을 완료했다. 이를 통해 경도인지장애 선별 정확도 90.9%의 결과를 확보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연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를 통해 생체신호 기반 인공지능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허가를 위한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아이메디신은 29일 경도인지장애를 선별하는 아이싱크브레인(iSyncBrain)의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아이싱크브레인은 뇌파데이터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기억장애형 경도인지장애(amnestic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자체 개발한 폐 비정상 소견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가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폐 결절, 유방암 검출 소프트웨어에 이어 루닛이 받은 세 번째 국내 허가다. 이번에 허가받은 제품은 ‘루닛 인사이트 CXR 2’로 지난 21일 식약처로부터 국내 판매 허가(의료기기 2등급, 허가명: Lunit INSIGHT CXR MCA)를 받았다. 루닛 인사이트 CXR2는 루닛과 서울대학교병원이 공동 개발한 제품이다. 루닛 인사이트 CXR 2는 지난해 허가받은 폐 결절 검출 제품(Lunit INSI
국내 연구진이 악성중피종·흑색종 등을 포함한 다양한 암의 유발, 내성과 관련있는 ‘YAP 단백질’을 억제하는 타깃 유전자를 찾아냈다. 김상겸 연세의대 교수(병리학교실), 김민환 연세암병원 교수(종양내과), 김준 카이스트(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YAP 단백질을 억제하는 타깃 유전자 ‘MK5’를 발굴한 연구결과가 최근 국제 학술지 ‘Cancer Research(IF 8.378)’에 게재됐다고 29일 밝혔다. YAP 단백질은 활성화되면 암 발생은 물론, 항암제 내성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YAP
Idience, the affiliate of Ildong Holdings establish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enters into Phase 1b/2a Clinical Trials of 'IDX-1197', a PARP inhibitor. A total of 420 patients suffering seven kinds of carcinomas will be participating in the large scaled ‘basket’ clinical trials to verify th
바이오니아가 C형간염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하는 'AccuPower HCV Quantitative RT-PCR Kit(HCV 정량분석키트)'의 CE-IVD, List A를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바이오니아의 HCV 정량분석키트 인증 획득은 2018년 HIV-1(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정량분석키트의 CE-IVD, List A 인증을 획득한 것에 이어 두 번째다. List A 인증은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질병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고도의 정확성이 필요하다. List A에 속하는 HIV, HBV, HCV는 2018년 기준 전
국내 파킨슨병 분야 권위자인 이승재 서울대의대 신경질환실험실 교수가 창업한 뉴라메디(Neuramedy)가 본격적인 파킨슨병 신약 개발에 들어가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 뉴라메디는 시드(seed) 머니로 35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동시에 임상2상을 끝낸 TLR2 항체를 도입하면서 아밀로이드솔루션과 전략적 투자(SI) 및 공동개발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29일 밝혔다. 투자 기관으로는 하나벤처스(20억원), 아밀로이드솔루션(10억원),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1억원) 등이 참여했다. 대표직을 맡은 이승재 교수는 지난 25년 동안 파킨슨병과
아주대 김용성 교수팀과 SG메디칼이 2개의 항원을 동시에 타깃하는 이중항체에 대한 초기 연구개발 현황 및 결과를 지난 25일 열린 ‘혁신신약살롱 대한민국 2019’의 R&D 번개톡 및 포스터 세션에서 소개했다. 세포침투 항체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아주대 김용성 교수 연구팀의 김정은 박사과정 대학원생은 알레르기 천식을 치료하기 위한 IL-4Rα x IL-5Rα 타깃의 이중항체 연구 현황을 발표했다. 천식, 아토피, 건선, 비염 등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은 사이토카인에 의해 활성화된 Th1(T-cell helper type 1), Th2
레티노산 수용체 알파(retinoic acid receptor alpha) 양성 급성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환자에게 54%의 완전관해율(complete response, CR)을 보인 임상시험 결과가 공개됐다. 포르투갈 이스토릴에서 열린 5회 ESH 국제 급성골수성백혈병 학회에 참석한 시로스 파마슈티컬스(Syros Pharmaceuticals)는,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게 선택성 레티노산 수용체 알파 작용제(selective retinoic acid receptor alpha agonist
한올바이오파마는 28일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3분기 매출액은 28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7%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45억원을 기록하여 전년대비 115% 증가했다. 이같은 실적의 배경은 지난 2017년 기술수출했던 바이오신약의 임상이 순조롭게 진행됨에 따른 마일스톤 기술료 유입과 의약품 판매 확대에 따른 결과다. 이 기간 매출구성은 의약품판매 245억원과 기술료수익 34억원이었고, 특히 매출원가가 없는 기술료수익이 전년대비 103% 성장하며 수익성 향상에 기여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2017년 스위스
마크로젠은 폐 선암의 원인 융합유전자 ‘AXL-MBIP’와 관련한 국내 특허를 취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AXL-MBIP 융합유전자를 암 진단 및 항암제 스크리닝을 위한 바이오마커로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로 특허명은 ‘AXL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이다. AXL-MBIP 융합유전자는 암 전이 및 재발, 약물 내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AXL 유전자와 MBIP 유전자가 결합한 것으로, 폐 선암 환자에게서 특이적으로 관찰된다. 서울대의대, 서울대병원, 가톨릭의대 연구팀은 2012년 공동
혈중암세포(CTC) 기반 액체생검 전문기업 싸이토젠은 일본 시믹(CMIC)와 마케팅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싸이토젠은 CMIC이 보유한 다양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싸이토젠은 글로벌 제약업계, 연구소 등 고객들과 밀접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제안과 계약과정에서 CMIC의 지원을 통해 좀 더 원활한 글로벌 시장 진출이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다. 싸이토젠은 이번 협약을 통해 글로벌 제약사들을 대상으로 항암 신약 개발 과정 전반에서의 약물 효능 평가 서비스를
“블록버스터 약물을 보면서 우리는 언제 이런 걸 해보나 하면서도,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신약이라는 것이 꼭 돈이 많아서 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역할을 하고 그 안에서 가치를 창출해나가면, 전체에서 (자신만의) 포지션을 갖고 갈 수 있는 사업이라는 생각이 든다. 신약을 처음 시작했었던 이전과는 다른 시선이다. 그런 면에서 이 일을 하면서 보람을 느낀다.” 박승국 한올바이오파마 대표는 지난 25일 경기도 판교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열린 ‘혁신신약살롱 대한민국 2019’의 행사 키노트(Keynote) 발표를 이같이 시작
암질환, 섬유화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서 세포 간 부착(adhesion)에 관여하는 인테그린(integrin) 타깃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딜과 연구결과가 계속해서 발표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인테그린을 타깃으로 하는 항암제 후보물질이 공개됐다. 인테그린 억제제는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노바티스는 이번달 플라이언트(Pliant) 테라퓨틱스가 개발하는 인테그린 억제제를 사들이면서 계약금으로 8000만달러를 지불했다. 총 계약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올해 2월에는 인테그린 저해제와 항암제를 투여해 휴식기의 유방암 세포를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알테오젠, '아일리아 시밀러' 유럽 "시판허가 획득"
에이프릴, "전략변화" SAFA 개선 '차세대 플랫폼'은?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신규 뇌전증 3상 "1차 충족"
에스티팜, 내달 PoC 결과 ‘ALLINI’ HIV “개발전략은?”
어타이어, 'NRP2 조절제' 폐질환 3상 "1차 미충족"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GC녹십자 美자회사, 텍사스주 혈장센터 '개소'
씨어스, '부정맥 탐지 AI모델' 국제학술지 게재
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 "추가매입 결정"
지노믹트리, ‘얼리텍 BCD’ 美AUA 가이드라인 "공식 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