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슈의 PD-L1 면역관문억제제인 '티쎈트릭'이 비소세포폐암(NSCLC) 1차 치료제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영역을 넓힐 수 있게됐다. 해당 적응증에서는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로슈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티쎈트릭(Tecentriq, atezolizumab)과 화학치료제(아브락산+카보플라틴)을 병용요법을 EGFR, ALK 변이가 없는 전이성 비편평 비소세포폐암(non-squamous NSCLC) 1차 치료제로 지난 3일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로슈는 지난해 12월
인공지능 기반 헬스케어 솔루션 개발기업 메디픽셀이 쿼드자산운용으로부터 1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5일 밝혔다. 메디픽셀은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2020년 인공지능 심혈관중재시술 솔루션의 허가와 제품화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2017년 설립된 메디픽셀은 인공지능을 의료에 접목해 질병의 진단과 치료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메디픽셀은 설립 1년만인 2018년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 산하 제이랩스와 서울시가 공동개최하는 '서울 이노베이션 퀵파이어 챌린지'에서 우승자로 선정돼 주목받았다. 메디픽셀은 핵심기술은 의료 이
신생 큐로진생명과학이 6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AAV(Adeno-associated virus) 기반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는 큐로진생명과학은 이번 투자유치로 첫번째 파이프라인인 황반변성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5일 큐로진생명과학에 따르면 이번 60억원 규모 투자에는 디에스자산운용을 비롯해 라구나인베스트먼트, KB증권, 다담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큐로진생명과학(curogenels.com)은 황반변성과 같은 실명의 위험성이 높은 안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를 위한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2018년
젬백스앤카엘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알츠하이머병 임상시험 컨퍼런스(clinical trials of Alzheimer’s Disease, CTAD) 2019'에서 GV1001의 알츠하이머병 환자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한 국내 임상2상 결과를 지난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젬백스는 2017년 8월부터 2019년 9월까지 한양대 구리병원을 포함한 국내 12개 의료기관에서 중등도(moderate)에서 중증(severe)의 알츠하이머병 환자 중 콜린성 신경계 조절 약물인 도네페질을 3개월 이상 안정적으로 복용한 환자 96명
젠큐릭스가 빅파마 화이자(Pfizer)가 진행하는 유방암 치료제 입랜스(성분명: 팔보시클립)의 적응증 확장 임상에 참여한다. 젠큐릭스는 유방암예후진단 '진스웰 BCT'의 약물 표지자로서의 성능을 평가받아 입랜스 동반진단 허가에 도전할 계획이다. 젠큐릭스는 내년 1월 삼성서울병원, 화이자와 공동으로 유방암 치료제 입랜스와 내분비 병용요법에 대한 평가와 유방암 예후진단 검사인 진스웰 BCT의 약물 효능 표지자로서의 성능을 분석하는 임상시험을 개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지난 2월과 4월 각각 의약품,
파로스IBT는 호주 식품의약청(TGA)으로부터 차세대 급성골수성백혈병(AML) 환자를 대상으로한 FLT3 표적항암제 ‘PHI-101’의 임상1상 승인받았다고 5일 밝혔다. PHI-101은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 후보물질이다. 파로스IBT는 FLT3-ITD 돌연변이와 함께 퀴자티닙(quizartinib, AC220)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PHI-101은 파로스IBT가 자체 개발한 빅데이터 기반의 AI(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인 케미버스(Chemiverse)를 이용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및 대구경북첨단의료
골격계 질환을 타깃하는 AAV(adeno-associated virus) 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가 등장했다. 일반적인 AAV 신약개발 회사가 특정 유전자 변이를 타깃한 희귀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과는 다른 접근법이다. 세달 전 설립된 아바테라퓨틱스(AAVAA Therapeutcis)의 전략이다. 최근 AAV 기반 유전자 치료제의 인수(M&A) 및 투자가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회사의 차별화된 전략에 주목된다. 아바테라퓨틱스는 구아핑 가오(Guangping Gao) 메사추세대 의과대학(UMMS) 교수와 동대학의 심재혁 교수, 송
바이오젠은 치료제가 제한적인 루푸스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BIIB059의 임상2상에서 1차 충족점에 도달한 긍정적인 결과를 지난 3일 발표했다. BIIB059는 루프스 환자의 형질세포양 수지상세포(Plasmacytoid Dendritic Cells, pDCs)에서 발현하는 혈관 수지상세포 항원2(Blood Dendritic Cell Antigen 2, BDCA2)을 억제하는 항체로, 결과적으로 염증 사이토카인 생성을 줄이는 기전이다. 루푸스는 면역체계가 피부, 신장, 관절 등 조직을 공격해 생기는 만성적인 자가면역질환이다. 미국
국내 연구진 주도 국제 컨소시엄이 아시아를 포함한 64개국, 217개 민족의 유전체 정보를 공개했다. 아시아인 유전체 데이터 중 최다 지역 및 인종을 포함한 연구결과여서 아시안에서 자주 발병하는 질병 원인을 규명하고 진단, 치료하는 정밀의료를 확산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마크로젠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공동 연구팀은 국제 컨소시엄인 ‘게놈아시아 100K 이니셔티브(GenomeAsia 100K Initiative)’를 통해 진행한 아시아인 유전체 분석 연구 성과가 국제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 최신호의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알테오젠이 독자개발한 '인간 히알루로니다제(ALT-B4)' 플랫폼 기술의 잠재력을 글로벌 빅파마와의 1조6000억원 '비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입증했다. 이로 인해 알테오젠은 이 플랫폼 기술을 통한 다양한 신사업 추진동력도 얻었다. 알테오젠의 ALT-B4는 위기 속에 찾은 보석이었다. 지난 2017년 임상 1상을 마친 허셉틴 바이오시밀러(IV제형)를 추가 개발하는 대신 허셉틴 피하주사제형을 개발키로 전략을 수정하면서 이를 위한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기술개발에 돌입한 것이 시작이었다. 알테오젠은 2년여만에 미국의 할로자임 테라
'2019년도 제2회 바이오파마 테크콘서트'에서는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기다리는 5가지 신약후보물질이 공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바이오스펙테이터가 공동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오는 17일 오후 인터콘티넨탈호텔 서울 코엑스 회의실에서 열린다. ◇SCF/c-kit 신호전달계 억제 항체치료제 개발 박상규 아주대 교수는 SCF/c-kit 신호전달계 관련 치료제 후보물질을 소개한다. 첫번째는 SFC/c-kit 신호전달계를 억제하는 c-kit 길항제(antagonist)다. 혈관 누수를 유발하
이수앱지스가 고셔병 치료제 애브서틴의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호주 1상에 돌입했다고 4일 밝혔다. 이수앱지스의 애브서틴은 사노피 젠자임의 세레자임(Cerezyme, 성분명: 이미글루세라제, imiglucerase)과 동일한 성분명을 가진 고셔병 효소대체요법(ERT) 치료제다. 2012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승인받은 이후 이란, 멕시코 등에서도 판매 승인을 받아 국내를 포함한 해외 고셔병 환자들도 애브서틴을 투약받고 있다. 이수앱지스는 애브서틴의 유럽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전략으로 이번 임상 시험을 결정했다. 특히
텔로머라제를 증가시키는 화합물이 TERT(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 증가를 통해 신경세포를 아밀로이드베타에 의한 독성으로부터 보호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생체시계'라 불리는 텔로미어를 합성하는 효소인 텔로머라제는 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텔로미어의 길이를 유지하는 고유의 기능 이외에 면역 항암 효과, 항염, 항산화, 세포 보호 효과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스라엘 벤구리온 대학의 Natalie Baruch-Eliyahu 교수는 지난 2일 네이처의 자
지난주 중국 정부가 중국정부의약품 보험목록(NRDL) 추가 리스트를 공개하면서, 중국에서 첫 보험수가가 적용되는 PD-(L)1 제품으로 이노벤트바이오로직스(Innovent Biologics)와 일라이릴리가 공동 개발하는 '티비티(Tyvyt®, sintilimab)'가 이름을 올렸다(中, 보험적용 의약품 추가 공개 “약가 평균 61% 인하”). 현재 중국에서 시판된 5개 PD-(L)1 제품 가운데, NRDL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것은 티비티가 유일하다. BMS의 '옵디보'와 머크(MSD)의 '키트루다'도 제외됐다. 머크는 중국 정부와
한미약품이 미국 바이오기업이 개발중인 CCR4(C-C motif chemokine receptor 4) 표적 경구용 면역항암제를 도입(license-in)해 공동개발 한다. CCR4는 면역항암 효과를 억제하는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s, Tregs)의 종양 내 이동에 관여하는 단백로 림프종 및 조절 T세포에서의 과발현이 기존 보고돼 면역항암 치료제 개발 타깃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미약품은 미국 'RAPT Therapeutics(랩트)'와 임상 개발 단계 면역항암제 'FLX475'에 대한 라이선스인 계약을 체결했다
뉴로크린 바이오사이언스(Neurocrine Bioscience)는 소아뇌전증 치료제로 개발중인 제논 파마슈티컬스(Xenon Phamaceuticals)의 'XEN901'을 계약금 5000만달러를 포함해 최대 17억5000만달러 규모에 인수하는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 치료제는 SCN8A 진행성 뇌전증 뇌병증(SCN8A-DEE, SCN8A developmental and epileptic encephalopathy)과 부분 뇌전증(focal epilepsy)을 적응증으로 개발중인 선택적 Nav1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알테오젠, '아일리아 시밀러' 유럽 "시판허가 획득"
에이프릴, "전략변화" SAFA 개선 '차세대 플랫폼'은?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신규 뇌전증 3상 "1차 충족"
에스티팜, 내달 PoC 결과 ‘ALLINI’ HIV “개발전략은?”
어타이어, 'NRP2 조절제' 폐질환 3상 "1차 미충족"
'플래그십' 릴라, 시리즈A 2.35억달러..“AI 과학공장”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GC녹십자 美자회사, 텍사스주 혈장센터 '개소'
씨어스, '부정맥 탐지 AI모델' 국제학술지 게재
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 "추가매입 결정"
지노믹트리, ‘얼리텍 BCD’ 美AUA 가이드라인 "공식 등재"
셀트리온제약, 벡톤디킨슨과 PFS CMO 파트너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