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터스는 14일 쎌마 테라퓨틱스(구 메디파트너 생명공학)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신약후보물질 기술이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의 양해각서 체결식은 지난 13일 인천시 송도에 위치한 노터스 본사에서 진행됐다. 노터스와 쎌마는 협력하에 세부 계약내용(계약금, 마일스톤 등)을 빠르게 마무리짓고 개발일정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노터스가 이번에 기술이전한 NASH 신약후보물질은 자체 개발한 것으로 생체내 선천 면역을 개시하는 수용체 중 하나인 TLR-7
MET 엑손14 스키핑(METex14)에 의해 유발되는 비소세포폐암(NSCLC)에 대한 첫 타깃 치료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우선심사 검토에 들어갔다. 기존 비소세포폐암에서 EGFR, ALK, ROS 등의 타깃 항암제는 있었지만 MET를 선택적으로 타깃하는 항암제는 없었다. 노바티스(Norvatis)는 지난 11일(현지시간) METex14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을 대상으로 '캡마티닙(capmatinib)'을 1차 치료제로 사용하는 데 대해 FDA가 우선심사(priority
대식세포의 면역관문분자 ‘CD47’를 타깃해 치료제를 개발하는 ALX 온콜로지(ALX Oncology)가 임상2상 진입을 위한 자금유치에 성공했다. ALX온콜로지는 12일(현지시간) 시리즈C로 1억500만달러(한화 약 1241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 유치에는 Vivo Capital의 주도하에 Logos Capital, Janus Henderson, Foresite Capital, Cormorant Asset Management, BVF Partners, HBM Healthcare Investments가 새로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mTNBC) 1차 치료제로 평가한 임상3상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얻으면서, 유방암으로 영역을 확장한다. 머크는 이전 삼중음성유방암 2차·3차 치료제로 키트루다를 단독투여한 임상에서 실패를 알린 바 있다. 또한 지난해 유방암에서 첫 면역항암제로 로슈의 티쎈트릭과 아브락산(Abraxane) 병용요법이 삼중음성유방암 1차 치료제로 승인받은데 이어,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한 2번째 임상 결과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마땅한 치료 대안이 없는 악성 고형암종인 삼중음성유방암에서 면역요법이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한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임랄디(SB5)가 염증성 장질환(IBD) 환자 대상 리얼월드 데이터에서 오리지널 약과 동등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결과는 2018년 하반기 유럽에서 출시된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의 실제 임상현장의 데이터, 게다가 주 연구대상인 류마티스 관절염이 아닌 염증성 장질환 대상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탈리아 AOU 카레기병원 연구진은 12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막한 ‘제15회 유럽 크론병 및 대장염학회(European Crohn's and Colitis Organisation
신테카바이오는 로봇을 이용해 자동화된 실험 설비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국 아크토릭스(Arctoris)와 공동연구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신테카바이오는 유전체 빅데이터 통합 및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천문학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신약개발 과정을 가속화 시키고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AI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플랫폼 중 하나인 딥매쳐(Deep-matcher)는 질병 원인 단백질에 결합해 그 기능을 저해하는 화합물 후보를 발굴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활용해 면역항암제 선도물질을 성공적으로 도출한 바
혈중순환종양세포(circulating tumor cells, CTCs) 기반의 액체생검 기업 싸이토젠(Cytogen)이 플랫폼 기술에서 확장해 자체 암 조기진단 기술 확보에 나섰다. 싸이토젠은 ‘골전이암 조기 진단시스템’ 상용화를 위해 서울대학교병원(조선욱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을 라이선스 인했다고 14일 밝혔다. 싸이토젠이 조선욱 교수팀으로부터 도입한 이번 기술은 진단이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은 암의 골전이를 간단한 혈액 검사로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법이다. 특히 이 기술은 세포기반의 진단기술로, 싸이토젠의 혈중순환
카이노스메드가 코스닥 상장심사를 통과했다. 카이노스메드는 이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파킨슨병 치료제와 함께 적응증 확대 질환인 다계통위축증(MSA)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카이노스메드는 지난 13일 한국거래소가 카이노스메드와 하나금융11호기업인수목적과의 합병상장예비심사를 승인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29일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한지 약 두달만이다. 2007년에 설립된 카이노스메드는 퇴행성 뇌질환, 바이러스성 질환, 암 등에 대한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파킨슨병 치료제(KM-819)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코로나19 mRNA 백신이 개발돼 임상 1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모더나(Moderna Therapeutics)는 백신에 대한 분석시험(analytical testing)을 거친 후 이를 미국 국립보건원(NIH)으로 보내 임상 1상에 들어갈 계획이다. 모더나는 코로나19(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COVID19) mRNA백신 ‘mRNA-1273’을 개발해 임상 1상에 들어가기 위한 배치(clinical batch) 작업을 마쳤다고 13일 밝혔다. 배치작업은 약물을 병에 넣어 밀봉하는 작업을 말한다. 모더나는 mRNA-1273백신의
대웅제약이 보툴리눔톡신 나보타를 비롯한 전문·일반의약품의 성장을 바탕으로 별도 기준 첫 1조원 매출을 달성했다. 대웅제약은 2019년 매출(별도 기준) 1조52억원, 영업이익 314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9435억원에서 6.5% 증가, 영업이익은 308억원에서 2.2% 증가했다. 전문의약품(ETC)과 일반의약품(OTC)의 고른 성장과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미국 제품명: 주보, Jeuveau)의 미국 수출 등이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를 이끌었다. 전문의약품(ETC) 부문은 전년 대비 6641억원에서 6.9
젠큐릭스가 13일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젠큐릭스는 기술특례를 통한 코스닥 상장을 추진해왔으며 이를 위해 지난해 12월 진행한 기술성 평가에서 A, A 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젠큐릭스는 두달여간의 준비 끝에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하게 됐다. 젠큐릭스는 오는 5월 코스닥 상장심사를 완료해 이르면 상반기 상장도 기대하고 있다. 상장주관사는 미래에셋대우다. 젠큐릭스는 2011년 설립된 분자진단 바이오기업이다. 국내 최초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유방암 예후예측 검사인 진스웰BCT를 개발해, 2016년 품목허가를
바이엘(Bayer)은 지난 11일(현지시간) 400명에 달하는 저분자 화합물 연구유닛(research unit)을 국제 CRO업체인 누비산(Nuvisan)에 이전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바이엘은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이를 단행했으며, 누비산은 이들 인력을 바탕으로 독일 베를린에 저분자화합물 기반 신약개발 연구 센터가 설립할 예정이다. 독일 노이울름(Neu-Ulm)에 본사를 둔 누비산은 독일과 프랑스의 6개 지역에서 CRO(Clinical Research Organization), CDMO(Contract Manufacturing
제노포커스와 옵티팜은 미니돼지(miniature pig)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후보물질 유효성 평가 모델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제노포커스와 옵티팜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① 미니돼지를 이용한 염증성 장질환(IBD) 및 노인성 황반변성(Wet AMD) 등 인체질환모델 개발 ②인체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된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해 질환모델 미니돼지에서 효능 정밀 검증 및 차세대 치료 기술 개발 ③박테리오파지 및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장내 질환 관련 미생물 제어 기술 개발 등을 공동으로 진행키로
존슨앤드존슨(Johnson&Johnson, J&J)은 11일(현지시간) 얀센(Janssen)과 미국 보건부(HHS) 산하 생물의약품첨단연구개발국(Biomedical Advanced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 BARDA)이 신속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영어식 이름; COVID-19) 백신 개발을 위해 확장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얀센과 BARDA는 2017년 에볼라 백신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은 바 있다. 이번 계약은 코로나19 발병에 다각적인 대응(multi-pron
엔솔바이오사이언스의 동물 골관절염치료제 조인트벡스가 국내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엔솔바이오는 같은 기전의 인간 골관절염 치료제 엔게디1000(E1K)의 국내 1상도 진행하고 있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동물 골관절염치료제 조인트벡스(JointVex)가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동물 신약으로 품목허가 승인을 받았다고 13일 공시했다. 이에 따라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외에는 치료적 대안이 마땅치 않은 동물 골관절염 치료제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게 됐다. 조인트벡스는 동물 골관절염을 치료하는 펩타이드 신약이며
아이진이 당뇨망막증 치료제 'EG-Mirotin'의 유럽 2a상 및 욕창치료제 'EG-Decorin'의 국내 1/2상 최종 결과를 공개했다. 임상진입 당시 목표로 했던 유효성 평가지표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하지만 다음단계 임상에 진입하기 위한 의미있는 세부 데이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아이진은 EG-Mirotin의 미국 2상, EG-Decorin의 2b/3상 진행을 위한 준비절차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아이진은 지난 12일 서울 강서구 본사에서 열린 기업설명회를 통해 EG-Mirotin의 유럽 2a 임상 최종보고서와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동아ST, 사이러스와 면역·염증 ‘분자접착제’ 공동연구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신규 뇌전증 3상 "1차 충족"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
어타이어, 'NRP2 조절제' 폐질환 3상 "1차 미충족"
에이프릴, "전략변화" SAFA 개선 '차세대 플랫폼'은?
'플래그십' 릴라, 시리즈A 2.35억달러..“AI 과학공장”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GC녹십자 美자회사, 텍사스주 혈장센터 '개소'
씨어스, '부정맥 탐지 AI모델' 국제학술지 게재
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 "추가매입 결정"
지노믹트리, ‘얼리텍 BCD’ 美AUA 가이드라인 "공식 등재"
셀트리온제약, 벡톤디킨슨과 PFS CMO 파트너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