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에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관련 6건의 임상이 승인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적으로 연구가 활발한 렘데시비르, 칼레트라, 클로로퀸뿐 아니라 최근 한국파스퇴르연구소가 제안한 시클레소니드(상품명 알베스코)도 임상 승인을 받았다. 렘데시비르 2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학술연구용 임상이지만 모두 대상자 수를 100명 이상으로 늘려 많은 코로나19 환자들이 치료의 기회를 얻도록 한 것도 특징이다.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코로나19 관련 임상시험이 총 11건이 신청됐으며 이중 6건이 승인된 것으로 나타났다(27일 기준). 이미
마크로젠은 이수강 마크로젠 최고운영책임자(Chief Operation Officer, COO)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수강 신임 대표이사는 대우자동차 기술연구소, i2 Technologies, Ariba, Descartes System Group, LG CNS 등 기업에서 경영 및 컨설팅, IT 분야 내 25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전문가다. 2016년 마크로젠에 합류한 뒤, 최고운영책임자 및 기술혁신본부장을 역임하며 사업총괄을 담당했다. 마크로젠측은 "신임 대표이사는 ’소비자 친화적 글로벌 유전체 분석 혁신기
다케다(Takeda)가 에복스 테라퓨틱스(Evox Therapeutics)와 엑소좀기반 희귀질환 치료제 공동개발에 나섰다. 다케다는 26일(현지시간) 에복스와 희귀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다케다와 에복스는 에복스의 전임상 프로그램인 C형 나이만-픽병(Niemann-Pick disease type C, NPC) 치료제 후보물질과 비공개 희귀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을 포함해 총 5개의 새로운 단백질 대체제(protein replacement)와 mRNA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한다. 다케다는
Bio-Pharm Solutions Co., Ltd. has expanded its clinical pipelines from infantile spasms(IS) to status epilepticus(SE) and Alzheimer’s disease. Based on the performance of its first pipeline, an infantile spasms drug, BIo-Pharm Solutions is currently planning to capitalize through an IPO to advance o
제넥신이 오는 4월 자궁경부암 치료제로 개발중인 DNA백신(GX-188E)과 면역항암제(키트루다) 병용요법의 2상 중간결과를 공개한다. 제넥신은 오는 4월 27일부터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미국암학회 AACR(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버츄어 미팅(Virtual Meeting)에 초청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제넥신은 이번 미팅의 Plenary 세션에서 핵심 파이프라인인 자궁경부암 DNA 백신 GX-188E와 머크(MSD)의 면역항암제 키투르다(pembrolizumab) 병용 2상 중간 결
유유제약이 27일 박윤상 중앙연구소장을 영입했다. 박윤상 연구소장은 성균관대 약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와 원광대 약학대학원을 거쳐 충북대 약학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경동제약, 한올바이오파마를 거쳐 식품의약품안전처 약효동등성과 및 의약품정책과에서 의약품 인∙허가 심사와 정책 수립 업무를 수행했으며 이후 신일제약 제제연구실장을 역임했다. 특히 개량신약 및 퍼스트제네릭 발굴 및 개발, 우선판매권 획득 등 제제연구 분야에 특화된 연구개발을 주도했다. 박윤상 연구소장은 "다수의 제약사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축적한 다양한 연구개발 경
SK바이오팜은 27일 유럽 파트너 아벨 테라퓨틱스(Arvelle Therapeutics)가 유럽의약청(European Medicines Agency, EMA)에 제출한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Cenobamate)의 신약판매허가 신청서(Marketing Authorization Application)가 서류 요건을 통과, 본격적인 심사에 돌입했다고 발표했다. 세노바메이트는 SK바이오팜이 독자 개발해 2019년 1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판매 승인을 받은 신약(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TM, XCOPRI)로, SK바이오팜은
에이조스바이오와 웰마커바이오가 표적항암제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항암제 개발에 나선다. 기존 약물의 내성과 관련한 새로운 표적도 찾았다. 에이조스바이오와 웰마커바이오는 26일 바이오마커 기반 표적항암제 공동개발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웰마커바이오는 최근 개발 중인 약물의 표적단백질에서 내성이 있는 새로운 변이를 발견했고 에이조스바이오와 이 내성변이를 극복할 수 있는 고형암 표적치료제 공동 개발에 최종 합의했다. 이번 신약은 새로 발굴한 내성변이 극복 약물이라 경쟁 약물이 없으며 향후 적용 가능한 환자군이 넓고 적응증 확대도 기대
마크로젠 미국 자회사인 소마젠(PSOMAGEN, INC.)이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 해외법인 최초로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확정지었다. 소마젠은 이르면 올해 상반기 내 코스닥 시장에 입성할 계획이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시장본부는 지난 26일 코스닥시장 상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소마젠의 상장예비심사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소마젠은 지난해 7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A, A 등급으로 통과했으며 같은해 11월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소마젠은 이번 상장을 통해 527만8621주를 공모
로슈가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제 ‘악템라((Actemra, 성분명: tocilizumab)’를 적용한 임상3상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이후, 바이러스에 이어 박테리아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약물 개발에 약 2억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포지 테라퓨틱스(Forge Therapeutics)는 25일(현지시간) 로슈(Hoffmann-La Roche)와 심각한 폐 감염증 치료를 위한 항생제 ‘FG-LpxC LUNG’을 공동개발하고 기술이전할 수 있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녹농균(Pseudomon
젠큐릭스는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 진단키트인 ‘진프로 COVID-19 Detection Test’의 수출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달 초 유럽 CE인증을 완료한 젠큐릭스의 코로나19 진단키트는 이번에 수출 허가를 획득함에 따라 유럽, 아시아, 북미, 남미, 중동 등 전 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수출을 진행할 예정이다. 젠큐릭스 관계자는 "수출 허가를 진행하면서 이미 생산 및 수출 관련 사항에 대한 모든 준비를 끝마친 상태"라면서 "하루 최대 10만 테스트까지 생산이 가능하며, 각국으로부터 쇄도하는 주문에 대응하기
아스트라제네카가 심장, 폐, 신장질환 등에 적용할 수 있는 RNAi 치료제 파이프라인 확보에 나선다. 이를 위해 RNAi 플랫폼 기술을 가진 사일런스 테라퓨틱스에 계약금으로만 8000만달러를 투자한다.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는 25일(현지시간) 사일런스(Silence Therapeutics)의 RNAi 플랫폼을 이용해 간을 비롯해 심장, 폐, 신장 등의 조직을 타깃하는 새로운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사일런스는 3년내에 5개의 RNAi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GC녹십자셀이 최근 췌장암 동물모델에서 100% 완전관해를 보인 메소텔린(Mesothelin) 표적 CAR-T세포치료제(MSLN-CAR-T) 연구결과를 공개해 주목받았다. 아직까지 누구도 정복하지 못한 고형암 표적 CAR-T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고무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안종성 GC녹십자셀 연구소장은 "지금까지 고형암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표적의 CAR-T 치료제가 시도됐지만 동물모델에서조차 완전관해를 보인 예가 거의 없었다"면서 "이번 MSLN-CAR-T의 경우 비임상실험의 임상실행 가능성(clinical feasibil
씨바이오멕스가 3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씨바이오멕스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방사성 신장암 치료제와 펩타이드 약물접합체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씨바이오멕스는 최근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와 이노폴리스파트너스로부터 30억원 규모의 시리즈A를 마무리했다. 씨바이오멕스는 에이티젠 연구소장(CTO)을 지낸 차준회 포스텍 겸직교수가 2017년 설립한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기업으로 재무적 투자자인 신풍제약, 기술보증기금, 포스텍기술투자를 통한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사업(TIPS)를 통해 초기 자금
큐리언트가 개발 중인 내성결핵제료제(텔라세벡, Q203)의 임상2A상 결과가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NEJM(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됐다. NEJM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의학 저널로 영향지수(Impact Factor)가 71로 가장 높다. 큐리언트에 따르면 국내에서 최초 개발한 'first-in-class' 혁신신약의 임상 결과가 NEJM에 발표된 첫 번째 사례다. 큐리언트는 지난해 텔라세벡의 임상2a상에서 1, 2차 유효성 충족점과 안전성 평가 목표를 달성했다고 발표했으며, 2
에빅스젠이 국내에서 진행중인 에이즈치료제 'AVI-CO-004'의 임상 2상을 베트남으로 확대한다. 에빅스젠은 최근 베트남 보건부(Ministry of Health)로부터 AVI-CO-004의 2상을 승인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AVI-CO-004는 국내 2상 승인을 받아 지난해 12월부터 환자 모집에 들어갔으며 베트남에서는 하노이, 호치민의 병원 2곳서 2분기 부터 임상에 돌입할 예정이다. 국내와 베트남에서 총 36명의 환자를 통해 AVI-CO-004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에빅스젠 관계자는 "베트남의 경우 임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동아ST, 사이러스와 면역·염증 ‘분자접착제’ 공동연구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신규 뇌전증 3상 "1차 충족"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
어타이어, 'NRP2 조절제' 폐질환 3상 "1차 미충족"
에이프릴, "전략변화" SAFA 개선 '차세대 플랫폼'은?
'플래그십' 릴라, 시리즈A 2.35억달러..“AI 과학공장”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GC녹십자 美자회사, 텍사스주 혈장센터 '개소'
씨어스, '부정맥 탐지 AI모델' 국제학술지 게재
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 "추가매입 결정"
지노믹트리, ‘얼리텍 BCD’ 美AUA 가이드라인 "공식 등재"
셀트리온제약, 벡톤디킨슨과 PFS CMO 파트너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