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또다시 미국 머크(MSD)가 암종과 상관없이 바이오마커 기반의 항암제 시판허가라는 마일스톤을 이뤄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종양변이부담(TMB) 바이오마커에 기반한 첫 면역항암제로 시판허가를 받았다는 소식이다. 머크는 지난 17일 FDA로부터 큰 종양변이부담(TMB-H, ≥10 mut/Mb)을 가진 절제불가능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키트루다를 가속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전 치료법을 받고 다시 병기가 진행돼 마땅한 치료 옵션이 없는 환자가 대상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머크가 주력한 PD-L1 바이오마커와 경쟁
JW중외제약이 STAT3 타깃 표적항암제를 새로운 파이프라인으로 도입했다. JW중외제약은 C&C신약연구소와 차세대 표적항암제의 상업화를 위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JW중외제약은 C&C신약연구소에서 발굴한 STAT3을 타깃으로 하는 ST-2286(코드명) 등 관련 모든 물질에 대한 권리를 획득했다. STAT3은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 전이 및 약제 내성 형성에 관여하는 다수의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단백질(전사인자)이다. ST-2286은 STAT3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의 혁신신약 후보물질로 삼중
안지오랩이 삼출성중이염 치료제 'ALS-L1023'의 임상 2상에 본격 돌입한다. 안지오랩은 오는 26일부터 ALS-L1023의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무작위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의 임상 2a상 시험의 피험자 모집을 전남대병원에서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안지오랩은 삼출성중이염 환자를 대상으로 위약 또는 ALS-L1023을 6주 간 경구투여 후 청력, 고막에서 삼출액의 부피 개선 및 고막움직임 개선 정도를 비교평가해 삼출성중이염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안전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삼출성 중이염은 소아에서 흔한 질환으로 1
국내 바이오 기업공개 시장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암흑기를 딛고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에스씨엠생명과학과 드림씨아이에스 등이 성공적으로 코스닥 시장에 안착한데 이어 '대어' SK바이오팜을 포함한 후발주자들의 기업공개도 흥행조짐을 보이는 등 분위기가 급반전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내달 2일 코스피에 상장하는 SK바이오팜은 지난 18일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결과 835.66대 1의 경쟁률 속에 희망 공모밴드 상단인 4만9000원의 공모가를 확정했다. 이에 따라 SK바이오팜은 1조
로슈가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 임상 3상에서 PTEN변이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1차 종결점을 충족시킨 결과를 내놨다.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의 표준 치료제로 사용하는 안드로겐 저해 약물인 존슨앤존슨(Johnson&Johnson)의 ‘자이티가(Zytiga, abiraterone acetate)’ 또는 아스텔라스와 화이자의 ‘엑스탄디(Xtandi, enzalutamide)’와는 다른 기전이다. 로슈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
SK바이오팜은 지난 17일과 18일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공모가를 4만9000원으로 확정했다고 19일 밝혔다. 당초 공모 희망밴드는 3만6000~4만9000원으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공모가를 밴드 상단인 4만9000원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총 공모 금액은 9593억원으로 확정 됐으며,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3조8373억원 수준이다. 전체 공모 물량의 60%인 1175만주에 대해 진행된 이번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총 1076개 기관이 참여해 835.6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SK바
루닛(Lunit)이 글로벌 1위 의료영상장비 기업인 GE헬스케어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글로벌 시장으로 판로를 넓혔다. GE헬스케어 엑스레이 장비 플랫폼에 루닛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의 보조진단 소프트웨어 ‘루닛 인사이트(Lunit Insight)’를 탑재한 제품을 출시한 것. 의료진의 부담은 줄이고 진단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접근법이다. 루닛은 GE헬스케어와 파트너십과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GE헬스케어는 인공지능 기반 엑스레이 분석 솔루션 ‘흉부케어 스위트(thoracic care suite)’를 출시했다고 19일
지난해 설립된 암질환 및 희귀질환을 타깃한 표적치료제 개발에 포커스하는 아름테라퓨틱스(Arum Therapeutics)가 모습을 드러냈다. 아름은 한글 ‘알음’이 가지는, 지혜와 지식이 있음과 신이 보호해준다는 의미에 착안해 지은 이름이다. “아름테라퓨틱스는 의약화학(medicinal chemistry) 기반의 신약개발에 강점을 가진 회사로 암질환 분야에서 합성치사(sythetic lethality), 내성 및 암성장을 유도하는 종양유전자(unmarked oncogene), 면역회피 기전을 타깃한 면역항암제(IO) 세가지 분야에
천랩이 코로나19 신속 항체 진단키트인 ‘EZSpeed COVID-19 IgG/IgM’를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천랩은 체외진단의료기기 전문기업과 손잡고 진단키트 자체 브랜드, ‘EZSpeed’의 CE 인증을 받고 해외수출 준비(식약처 수출허가)를 완료했다. 천랩의 항체 진단키트는 현장진단(POCT, point of care testing)용 키트이며, 간단한 채혈(혈액 한 방울)을 통해 10분 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항체가 형성되는 약 1주일 이후부터 민감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의료기관에서 완치자 확인을 하
애브비가 자가면역 및 염증질환을 타깃한 T세포 공동자극인자 CD28/ICOS를 이중 길항제(antagonist) 후보물질에 대한 옵션 권리를 사들였다. 현재 치료옵션이 제한적인 전신성 홍반루프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환자 대상으로 임상2상을 준비하고 있는 약물이다. 알파인 이뮨사이언스(Alpine Immune Sciences)는 애비브와 ‘first-in-class’ CD28/ICOS 이중 길항제 ‘ALPN-101’의 전세계 개발 및 상용화 권리에 대한 라이선스 옵션 딜을 맺었다고 18일(현지시간)
대웅제약 우루사의 위암 환자 담석 예방 효과를 입증한 연구가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대웅제약은 ‘우루사’의 담석 예방 효과에 대한 임상 결과가 SCI급 국제학술지인 ‘JAMA Surgery’에 등재됐다고 19일 밝혔다. JAMA Surgery는 1920년부터 간행된 미국의사협회 공식 학술지다. 이번에 등재된 연구는 위 절제술을 받은 위암 환자에서 담석 예방 효과를 입증한 연구다. 대웅제약은 해당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해 우루사 300mg의 '위 절제술을 시행한 위암환자에서의 담석 예방'에 대한 적응증을 획득한 바 있다. 연구
셀레믹스(Celemics)가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 셀레믹스는 이에 따라 연내 공모절차를 거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셀레믹스는 지난 18일 코스닥 시장위원회로부터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승인받았다. 지난 3월 18일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한지 약 3개월만이다. 셀레믹스는 상장 절차 돌입에 앞서 기술력을 입증하기 위한 기술성 평가를 신청 A, A 등급을 확보했다. 하지만 셀레믹스는 기술특례가 아닌 성장성 특례를 택해 코스닥 상장에 도전했다. 상장주관사는 대신증권이다. 2013년 설립된
로고스바이오시스템스가 19일 제약·바이오 연구소 맞춤형 자동세포카운터 'LUNA-FX7'를 출시했다. 기존 LUNA 자동셀카운터 라인업 중 최상위 버전의 제품이다. LUNA-FX7은 ▲산업용 세포배양 과정을 편리하게 기록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바이오프로세스 기능, ▲정기적으로 장비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밸리데이션 슬라이드 및 QC 기능, ▲데이터 접근·권한·전자 서명을 FDA 규정에 적합하게 적용해 다른 공간에 있는 여러 제품을 연결해 관리하는 CountWire 소프트웨어 등을 담았다. 또한, LUNA-FX7는 ‘빠르고 정확한
라센 테라퓨틱스(Lassen Therapeucis)는 IL-11 수용체(IL-11 receptor alpha, IL-11R) 항체 개발을 위해 3100만달러를 유치했다. 2019년 미국 샌디에이고에 설립된 라센은 17일(현지시간) 섬유증, 희귀질환, 항암제 후보물질 개발을 위해 3100만달러 시리즈A를 마감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리즈A는 프레이저 헬스케어(Frazier Healthcare Partners)가 주도했으며 알타 파트너스(Alta Partners), 롱우드 펀드(Longwood Fund)가 참여했다. 라센은 IL-11
뷰노는 소니 자회사 엠쓰리(M3)와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의 일본 내 판권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뷰노는 엠쓰리의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본 의료시장에 전략적으로 접근,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엠쓰리는 소니가 지분 33.9%를 보유한 일본 최대 의료 정보 플랫폼 기업이다. 의료계 관계자 28만 명을 회원을 두고 있으며, 임상연구 기획, 제약사 마케팅 지원, 원격진료 사업 등 광범위한 의료 분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최근 엠쓰리는 네이버 자회사 라인과 일본 도쿄에 합작회사를 설립, 원격의료 사업을
큐라티스가 239억원의 Pre-IPO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큐라티스는 올 하반기 상장을 목표로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도 청구했다. 18일 큐라티스에 따르면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인 열림파트너스, 포커스자산운용을 비롯해 신규 투자사인 와이어드파트너스, 이베스트 신기술조합이 참여했다. 이번 투자자금은 올해 하반기 완공 예정인 충청북도 오송바이오플랜트 건립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큐라티스는 이와 함께 지난 17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진입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 큐라티스는 지난해말 2곳의 전문평가기관에서 진행한 기술성 평가에서 A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동아ST, 사이러스와 면역·염증 ‘분자접착제’ 공동연구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신규 뇌전증 3상 "1차 충족"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
'플래그십' 릴라, 시리즈A 2.35억달러..“AI 과학공장”
어비디티, ‘TfR AOC’ DMD 기능지표도 “개선"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마크로젠 참여 컨소시엄, '맞춤형 질환예측 AI' 국가과제 선정
차백신硏, 면역증강제 ‘리포-팜’ CEPI 라이브러리 등재
광동제약, 美오큐젠 '안과 유전자치료제' 국내권리 도입
앱클론, HER2 어피바디 '스위처블 CAR-T’ 美특허 등록
HK이노엔, '케이캡' 인도 "출시"..닥터레디, 영업·마케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