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자이랩(Zai Lab)이 미라티(Mirati therapeutics)의 KRAS 저해제 ‘아다그라십(adagrasib)’의 중화권 상업화 권리를 사들였다. 지난주 암젠이 KRAS 저해제로는 최초로 ‘루마크라스(Lumakras)'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이끌어 내면서 이에 아다그라십 승인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딜이다. 자이랩은 지난 1일(현지시간) 미라티와 KRAS G12C 저해제 ‘아다그라십(adagrasib)’의 중화권(중국, 홍콩, 마카오, 타이완)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인수하는 라이선
SK텔레콤(SKT)이 자회사 SK플래닛과 함께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기반 유방암 조기진단 기업 베르티스에 투자한다고 3일 밝혔다. SK플래닛은 베르티스에 pre-IPO로 150억원을 투자했으며 이로써 2대 주주가 된다. 이번 투자 배경으로 회사측은 향후 바이오 헬스케어 영역의 지속적인 혁신과 빅데이터· AI 기반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해, SK플래닛과 베르티스 간의 지분 약정을 체결하게 됐다고 밝혔다. SK플래닛은 단순 투자를 넘어 베르티스와 ▲ 딥러닝 기반 기술협력 ▲ 헬스케어 분야 빅데이터 분
케어닥(Caredoc)이 3일 80억원의 후속 투자유치를 통해 총 106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후속 투자에는 뮤렉스파트너스, 롯데벤처스, 현대해상, 인사이트에퀴티파트너스, 하나은행, 휴맥스 등이 참여했다. 이로써 케어닥은 지난해 7월 시리즈A 오픈 당시 확보한 26억 원을 포함 총 106억원의 시리즈 A 투자를 성공적으로 마감하게 됐다. 현재까지 케어닥의 총 누적 투자금액은 115억원이다. 케어닥은 2018년 설립된 시니어 헬스케어 플랫폼이다. 요양시설과 노인돌봄 서비스 전문가 중개를 주요 사업으
뉴라클제네틱스는 3일 시리즈B로 30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뉴라클제네틱스는 지난 2018년 이연제약으로부터 100억원 규모의 전략적투자를 포함 2019년 시리즈A로 159억원을 유치해 현재까지 약 459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투자자인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쿼드자산운용, 아르케인베스트먼트, 새한창업투자와 함께 신규투자자로 세븐트리에쿼티파트너스, 디에이밸류파트너스, 유경PSG자산운용, 위드윈인베스트먼트, 얼머스인베스트먼트, SV인베스트먼트, 데일리파트너스, 얼라인드제네틱스, 링크드비전 등이 참여했다.
아토피피부염(atopic dermatitis, AD) 치료제 시장에서 ‘first-in-class’ OX40/OX40L 타깃 약물이라는 타이틀을 잡기 위한 개발 경쟁이 한층 뜨거워지고 있다. 올해 2월 사노피(Sanofi)가 임상2상 단계의 OX40 에셋을 가진 카이맵(Kymab)을 11억달러에 인수한데 이어, 이번엔 암젠(Amgen)이 일본 쿄와기린(Kyowa Kirin)의 임상3상을 앞두고 있는 OX40 항체를 계약금 4억달러를 포함해 총 12억5000만달러에 사들였다. 두 회사가 사들인 약물은 OX40/OX40L 신호전달을
노바티스(Novartis)가 VEGF 항체로 치료 중임에도 망막액(retinal fluid)이 생기는 노인성 황반변성(nAMD) 환자에게 '비오뷰(Beovu, brolucizumab)'를 4주마다 투여하는 임상 3상을 안전성 문제로 중단했다. 비오뷰를 투여받은 환자들에게서 망막혈관염(retinal vasculitis, RV) 등 안내염증(intraocular inflammation, IOI)과 망막폐쇄혈증(retinal vascular occlusion, RO), 시야감소 비율 증가 등 이상반응이 대조약물인 ‘아일리아(Eyelea
미국 브릿지바이오파마(BridgeBio Pharma)의 국소 진행성 및 전이성 담관암(CCA) 치료제 ‘트루셀틱(Truseltiq, Infigratinib)’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시판 허가를 받았다. 트루셀틱은 1차 치료를 받았으나 암이 재발한 환자를 대상으로 객관적반응률(ORR) 23%를 달성했으며, 이에 따라 치료옵션이 제한적인 담관암 환자에게 새로운 표적 치료 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됐다. 브릿지바이오의 자회사 QED 테라퓨틱스(QED Therapeutics)와 스위스 소재 파트너사 헬신(Helsinn Gro
제일약품의 신약개발부문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Onconic therapeutics)는 2일 췌장암 신약후보물질 'JPI-547'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BRCA(Breast cancer susceptibility gene)변이 또는 HRD(Homologous Recombination Deficiency) 양성인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또는 전이성 췌장암’에 대해 개발단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았다고 밝혔다. 이 신약 후보물질은 지난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췌장암치료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은 바 있다. JPI-547
페넥 파마슈티컬스(fennec Pharmaceuticals)가 소아 난청 예방약 '페드마크(PEDMARK™, sodium thiosulfate)'의 신약허가신청서(New Drug Application, NDA)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다시 제출한다. 지난해 8월 생산 설비에 관한 최종보완요구서(Complete Response Letter, CRL)를 받은 이후 9개월만이다. 페넥은 만약 페드마크가 허가된다면 백금 기반 항암제에 의한 귀독성(ototoxicity) 위험을 감소시키는 최초의 미국 FDA 시판 허가 약물이 될 것이
제넥신은 2일 코로나19 DNA백신 후보물질 ‘GX-19N’의 임상 1상 결과를 의학논문 사전 공개사이트인 메드아카이브(medrxiv)에 발표했다고 밝혔다(doi: 10.1101/2021.05.26.21257700). 발표에 따르면 제넥신은 19~55세사이의 건강한 성인 21명을 대상으로 GX-19N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확인하는 임상을 진행했다. 제넥신은 4주간격으로 3mg 용량의 GX-19N을 2회 접종했다. GX-19N은 접종 후 43일차, 57일차 분석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 역가(neutralizing G
압타머 기반 신약개발·진단 기업인 압타머사이언스(Aptamer Sciences)가 신약개발 바이오텍 피노바이오(PINOTBIO)와 압타머-약물 접합체(Aptamer Drug Conjugate, ApDC) 기반 항암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양사는 각자가 보유한 핵심기술인 압타머 발굴기술과 링커-약물 접합기술을 연계하여 기존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기술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표적 항암제 개발을 추진한다. 두 회사는 ADC가 분자크기로 인한 암조직 투과에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는 이스라엘 KAHR메디칼(KAHR Medical)과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DSP502'의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DSP502의 세포주 개발부터 임상용 원료의약품(DS)생산 및 완제생산 서비스, 임상시험계획(Investigational New Drug, IND) 승인 지원까지 신약개발에 필요한 전과정을 아우르는 ‘원스톱 서비스(One Stop Service)’를 제공할 예정이다. KAHR메디칼은 융합 단백질 분야의
20세기 초반 오토 와버그(Otto Warburg)는 암세포가 산소호흡이 아닌 해당 작용(Glycolysis)을 통해 ATP를 생성한다는 와버그 효과를 발표하였고, 이후 최근까지 암세포의 독특한 대사 특성을 대표하는 기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정상세포와 달리 무분별한 증식과 생장을 반복하는 암세포의 물질대사는 저 산소(Hypoxia), 저 양분, 산성, 면역 억제성 대사물질(Suppressive metabolites)의 분포 등의 종양내 대사환경(Metabolic environment)을 조성하게 된다. 이러한 암세포의 활발한 대사
셀트리온은 2일 유럽 류마티스학회(EULAR)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 고농도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Yyflyma, CT-P17)의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유플라이마의 임상 3상을 52주 동안 진행해 유효성(Efficacy), 약동학(PK), 면역원성(Immunogenicity)을 포함한 전반적인 안전성(Safety)을 평가했다. 그 결과 셀트리온은 유플라이마 투약군, 휴미라 투약군, 휴미라 투약 26주 후 유플라이마 교체투약군 등 3그룹에서 모두 유사한 유효성 및 약동학, 안전성
지노믹트리(Genomictree)는 2일 세브란스병원 비뇨의학과(임상시험책임자 최영득 교수)와 메틸화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방광암 재발모니터링 유효성 평가 임상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임상시험에서는 지노믹트리의 방광암 조기진단용 메틸화 바이오마커인 ‘PENK 유전자’를 이용한다. 방광암 수술 후 추적관찰 시기 환자의 소변 검체 및 방광 세척액으로 테스트해 재발환자 모니터링에 대한 PENK 유전자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임상이다. 지노믹트리는 이번 임상시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허가용 임상시험을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전문기업 디어젠(Deargen)이 한미약품 합성신약팀 연구 책임자였던 배인환 박사를 최고개발책임자(CDO) 상무로 영입했다고 2일 밝혔다. 디어젠은 배 상무를 총괄로 신약개발그룹을 신설하고, 신약 개발 단계에서 발생하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미충촉 수요를 개선해 신뢰성 높은 신약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배 상무는 성균관대를 졸업하고 중앙대 약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중외제약, 미국 시애틀 소재 테리악(Theriac) 연구소, 한미약품 등에서 약 20년 동안의 신약개발 경험을 쌓았다.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
셀비온, ‘PSMA RPT’+키트루다 “국내 1상 IND 승인”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리제네론, '알러젠 항체' 고양이 알러지 3상 "1차 충족"
뉴라클제네틱스, '저용량 AAV' wAMD 1/2상 "첫 공개"
인터셉트, '오칼리바' PBC 적응증도 결국 "美 시판철회”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네오이뮨텍, 유상증자 472억 조달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당뇨약 공급계약
유한양행, 휴이노와 '메모큐' 판매계약 M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