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스텔라스(Astellas)가 미토콘드리아 질환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조절하는 저분자화합물에서, 환자에게 건강한 미토콘드리아를 다량 전달하는 ‘세포치료제’까지 영역을 넓힌다. 아스텔라스는 자체 줄기세포 기술을 기반으로 ‘off-the-shelf’ 미토콘드리아 세포치료제(mitochondrial cell therapy)를 개발하겠다는 목표다. 아스텔라스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을 주력분야로 포커스하고 있는 회사다. 최근 4년동안 2개의 회사를 인수했다. 먼저 2017년 4년의 파트너십 끝에 미토브릿지(Mitobridge)를 2억2500
RNAi 치료제 개발회사 앨라일람(Alnylam)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일본의 펩타이드 발굴회사 펩티드림(PeptiDream)과 ‘펩타이드-siRNA 접합체(peptide-siRNA conjugates)’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해 22억달러 규모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엘라일람은 펩티드림에 계약금 및 연구자금을 지급한다. 계약금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엘라일람은 개발, 허가 및 상업화 마일스톤으로 총 22억달러(2440억엔)를 펩티드림에 지급할 예정이다. 또한 펩티드림은 상업화된 앨라일람의 제품 매
애브비(AbbVie)는 칼리코 라이프사이언스(Calico Life Sciences)와 암과 신경퇴행 질환을 포함한 노화 관련 질환에 대한 공동연구 파트너십을 한번 더 연장하고, 10억달러를 추가 투입한다고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에 따라 애브비와 칼리코의 파트너십은 2022년에서 2025년까지 3년 연장된다. 칼리코는 2025년까지 컴퓨팅 능력을 활용해 연구 및 초기 개발을 담당한다. 2030년까지는 임상2a상으로 프로젝트를 발전시킨다는 목표하에 진행하는 공동 연구다. 애브비는 칼리코의 연구 및 임상개발을 지원하며,
차세대 세포치료제 및 나노의약품 개발 바이오텍 테라베스트(THERABEST)는 포트래이(Portrai)와 공간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인공지능(AI) 분석 플랫폼 기술 기반 신약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테라베스트는 포트래이의 기술을 도입해 현재 개발하고 있는 CAR-EiNK 및 차세대 나노의약품 등에 대한 병변내 미세분포와 치료효과에 대한 작용 기전을 입증하고, 공간 전사체-인공지능 융합기술을 통해 폐암 특이적 신규 타깃을 발굴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유기
미국 머크(MSD)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를 고위험 초기 삼중음성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환자 대상 수술 전 기존 화학요법의 병용투여와 수술후(adjuvant) 단일요법으로 시판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머크는 키트루다가 고위험 초기 TNBC 환자 대상으로 허가된 최초의 면역항암제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허가의 근거가 된 임상3상에서 키트루다 치료군은 키트루다 대신 위약을
일라이릴리(Eli Lilly)의 연구개발 자회사 록소(Loxo Oncology)가 컴쿼트 바이오사이언스(Kumquat Bioscience)와 종양 특이적 면역자극 저분자 신약 발굴,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릴리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컴쿼트는 2019년에 설립된 캘리포니아 샌디에고(San Diego) 소재의 비상장 기업(privately-held)으로, 항암신약 발굴 및 개발을 전문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바이오텍이다. 릴리는 컴쿼트의 저분자 면역항암제(IO) 플랫폼을 통해 특정 암세포의 항원을 타
유바이오로직스는 지난달 30일 HA(히알루론산) 필러 및 기능성 화장품 개발전문회사인 피움바이오에 전환사채(CB) 48억원을 투자한다고 공시했다고 2일 밝혔다. 취득예정일은 오는 8월 19일이다. 공시에 따르면 유바이오로직스는 △프리미엄 필러 및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기술 경쟁력을 갖춘 피움바이오의 전략적 투자 △보툴리눔 톡신과 필러 사업 동시 진행에 따른 시너지 확대가 목적이다. 또 전환사채의 주식 전환 시 총 44.9% 지분으로 경영권 확보도 가능해지며, 피움바이오를 통해 자체적으로 준비중이었던 보툴리눔 톡신과 함께 에스테틱
강스템바이오는 2일 이사회를 통해 5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강스템은 주당 4040원에 신주 1237만6237주를 발행한다. 1주당 신주배정주식은 0.4828961주. 강스템은 오는 10월 7일 신주 발행가액을 확정 공고한 뒤 구주 대상 청약을 10월 13~14일 진행할 예정이다. 신주 교부 예정일 및 상장예정일은 오는 11월 2일이다. 강스템바이오는 유상증자를 통해 현재 임상 진행 중인 아토피피부염, 류마티스관절염, 골관절염 치료제와 다양한 후속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에 투자할 계획이
노화질환 신약개발 바이오텍 세네릭스(Senelix)가 저분자 펩티도미메틱스(peptidomimetic) 연구개발 수파드엘릭사(SupadElixir)로부터 '아디포넥틴수용체 작용제(adiponectin receptor agonist)'에 대한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수파드엘릭사는 펩티도미메틱스 선도물질 개발을 진행해왔다. 이번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세네릭스는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알츠하이머병, 안구건조증 치료에 적용가능성을 가진 아디포넥틴수용체 작용제 작용제를 확보하게 된다. 회사에 따르면
세닉스바이오테크(Cenyx Biotech)가 2일 신임 최고과학책임자(CSO)로 박진성 박사를 영입했다고 발표했다. 박진성 CSO는 서울대 수의학 학사 출신으로 동 대학원에서 수의학 석사를 거쳐, 일본 동경대에서 수의학 박사 과정을 마쳤다. 그 후 일본 리켄(RIKEN) 뇌과학연구소, 호주 가반(Garvan) 의학연구소와 콜링(Kolling) 연구소, 시드니대학교 등에서 연구활동을 지속했다. 회사측은 박진성 CSO가 국내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전임상 실험부에서 연구교수 및 GLP 운영 책임자로서 활동하며, 독성전문가로 국내외에서
심혈관질환 세포치료제 개발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보여주는 카리스바이오(KarisBio)가 시리즈A로 103억원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 참여한 기업으로 산업은행, 프리미어파트너스, 아주IB투자, 서울투자파트너스, 데브시스터즈벤처스 등 5개 기관이 참여했다. 윤영섭 카리스바이오 대표는 “이번 투자금은 내년 상반기 하지말초혈관질환(POAD)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작을 계획하고 있는 인간유도만능줄기세포 내피세포(iPSC-EC) 임상개발에 투입될 예정이다”며 “또한 후속 심혈관질환 세포치료제와 GMP 생산시설
웨어러블 약물전달 솔루션기업 이오플로우는 2일 유엑스엔의 3자배정 유상증자에 약 40억원 규모로 참여한다고 지난달 30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이오플로우는 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유엑스엔의 상환전환우선주 16만900주를 취득해 지분 4.64%를 가지게 된다. 취득예정일은 오는 9일이다. 코넥스 상장사인 유엑스엔도 이오플로우에 35억원 규모 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이오플로우 보통주 5만9353주(지분 0.51%)를 취득한다고 같은날 공시했다. 양사가 상호 지분을 취득하는 전략적 투자를 진행한 것이다. 이오플로우는
에스씨엠생명과학(SCM Lifescience)은 2일 김석조 연구소장과 이서종 사업개발 담당 이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김석조 연구소장은 미국 노스웨스턴대(Northwestern University), 미시간대(The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류마티스 등 면역학 분야와 노화 분야 연구를 진행했다. 김소장은 8월 1일부터 에스씨엠생명과학 연구소장으로 합류했으며, 항노화·섬유화증 관련 연구개발을 이끌 예정이다. 이서종 이사는 한국노바티스에서 18년동안 근무한 경력을 갖고 있는 바이오 분야 사
인사이트(Incyte)의 PD-1 항체 ‘레티판리맙(retifanlimab)’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을 받지 못했다. FDA는 지난 6월에 있었던 자문위의 승인보류 권고사항을 받아들였으며, 인사이트에 기존 치료옵션 대비 더 나은 레티판리맙의 효능과 안전성을 보여줄 수 있는 추가적인 임상 데이터를 요구했다. 인사이트는 FDA가 레티판리맙의 바이오의약품 품목허가 신청서(BLA)에 대해 최종보완요구서(CRL)를 발행하며 승인 거절을 했다고 지난달 23일 발표했다. 인사이트는 레티판리
지난 6월 바이오젠의 ‘아두헬름(Aduhelm, aducanumab)’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가속승인이 신경질환 분야에 오랫동안 손을 놓고 있었던 빅파마에게, 알츠하이머병(AD) 치료제 개발을 위한 '각양각색의 R&D 전략 변화'라는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가장 최근 딜로 GSK는 알렉토(Alector)로부터 인간 유전체 기반으로 발굴된 신경면역(immuno-neurology) 어셋을 계약금 7억달러에 사들였다. 이 소식에 앞서 한달전에는 BMS가 프로테나(Prothena)와 체결한 옵션딜에 대한 권리를 행사하
GC녹십자가 일본 돗토리대학교와 GM1 강글리오시드증(GM1 gangliosidosis, GM1)에 대한 경구용 샤페론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GM1은 유전자 결함에 따른 체내 효소 부족으로 열성 유전되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신생아 10만명 당 1명 꼴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6세 미만의 소아기에서 발병된다. GM1은 신경퇴행과 함께 발작, 근육 약화 등이 동반되며, 현재 출시된 치료제는 없다. 이번 계약에 따라 두 기관은 GM1 경구용 샤페론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셀비온, ‘PSMA RPT’+키트루다 “국내 1상 IND 승인”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리제네론, '알러젠 항체' 고양이 알러지 3상 "1차 충족"
뉴라클제네틱스, '저용량 AAV' wAMD 1/2상 "첫 공개"
인터셉트, '오칼리바' PBC 적응증도 결국 "美 시판철회”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네오이뮨텍, 유상증자 472억 조달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당뇨약 공급계약
유한양행, 휴이노와 '메모큐' 판매계약 MOU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