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드론(BioDrone®) 플랫폼 기업 엠디뮨이 11일 노르웨이 항암치료 전문 제약사 PCI바이오텍(PCI Biotech)과 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엠디뮨은 PCI바이오텍과 전임상 연구협약 체결을 통해 양사가 보유한 플랫폼 기술의 호환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추가적인 개발 및 협력 가능성을 모색할 예정이다. PCI바이오텍은 PCI(Photochemical Internalisation) 기술 플랫폼을 통해 항암제 개발과 상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다. PCI는 암 국소치료를 위한 화학 요법을 강화하는 fima
구글, 알파벳(Alphabet)의 자회사 베릴리(Verily)가 GPCR(G-protein-coupled receptors) 표적신약 개발에 합류했다. 상대회사는 지난 몇 년간 애브비(Abbvie), 제넨텍(Genentech) 등 빅파마와 GPCR 약물개발 파트너십을 다수 체결한 일본의 소세이 헵타레스(Sosei Heptares). 소세이와 베릴리는 지난 6일(현지시간) 면역 관련 질환을 타깃으로 GPCR 표적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 및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GPCR은 암, 유전장애, 염증 및 대사질환까지 다
사노피(Sanofi)가 엑센티아(Exscientia)와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종양 및 면역질환에 대해 15개 약물을 개발에 최대 52억달러 규모 딜을 체결했다. 계약금만 1억달러를 베팅했다. 엑센티아는 지난해 1월 스미토모와 공동개발한 세로토닌 수용체(5-HT1A) 작용제(agonist) ‘DSP-1181’의 강박장애(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임상 1상에 진입했다. AI기술로 개발한 저분자화합물의 첫 임상 진입 사례로, 현재 약물 3개를 임상 1상단계에서 개발 중이다. 사노피는 지난 2016년부터
큐라클은 10일 경구용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wet AMD) 치료제 후보물질 ‘CU03-1001’의 임상 2a상 결과를 공시했다. 큐라클은 이번 임상2a상에서 CU03-1001의 내약성과 안전성을 확인했지만 유효성 측면에서는 적은 수의 탐색적 임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했다며, 환자수를 늘리고 아일리아와 병용하는 방식으로 임상 2b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임상에는 기존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치료제인 루센티스, 아일리아, 아바스틴 등에 불충분한 반응을 보이는 환자들 75명을 대상
암젠(Amgen)은 지난 6일(현지시간) 제너레이트 바이오메디슨(Generate Biomedicines)와 5개 표적에 대한 단백질 약물의 공동발굴 및 개발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개발할 약물은 다수의 모달리티(modality)에 기반해 불특정한 몇가지 적응증을 목표로 한다. 암젠과 제너레이트는 구체적인 약물 표적 및 적응증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다. 계약에 따르면 암젠은 5개 표적에 대한 약물의 발굴 및 개발을 위해 제너레이트에 계약금 5000만달러를 지급하고 개별 약물에 대해 각각 3억7000만달러의 향후 마일스톤을 제너레이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10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주가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셀트리온이 매입할 자사주는 총 54만7946주, 취득 예정금액 약 1000억원 규모로,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총 67만3854주, 취득 예정금액 약 500억원 규모다. 양사는 2022년 1월 11일부터 4월 10일까지 장내매수를 통해 자사주를 취득할 계획이다. 자사주 취득 전 현재 보유중인 자기주식은 셀트리온 132만3130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173만6205주다. 셀트리온그룹 관계자는 “회사의
일루미나(Illumina)가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회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단백질체학 시장으로 자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플랫폼을 확장하고 있다. 상대회사는 질병 단백질 분석 플랫폼 ‘SomaScan®’을 개발한 바이오텍 소마로직(Somalogic). 일루미나는 지난 5일(현지시간) 소마로직의 단백질체학 진단 플랫폼 ‘SomaScan®’를 자사 NGS 플랫폼에 활용해, 신규 분석플랫폼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일루미나는 구체적인 계약
노바티스가 다시 RNAi(RNA interference) 신약개발의 비중을 늘리고 있다. 독특하게 노바티스는 간세포 기능을 되돌리는 RNAi 치료제를 개발하겠다는 목표로, 오래전 파트너였던 앨라일람(Alnylam)과 3년의 연구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지난달 노바티스가 미국 시장에서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연 2회 투여 RNAi 약물 ‘렉비오(Leqvio, inclisiran)’의 시판허가를 받은지 한달만에, 새로운 움직임을 보인 것이기도 하다. 노바티스는 렉비오가 매년 최대 수십억달러를 올릴 것으로 전망한다. 노바티스는 6일(현지시간
대웅제약은 10일 당뇨병 치료제 후보물질 SGLT-2 저해제 ‘이나보글리플로진(enavogliflozin, DWP16001)’에 메트포르민(metformin, DWC202101)을 더한 복합제 'DWJ1525' 임상 1상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국내 임상정보사이트 의약품안전나라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복합제인 DWJ1525와 이나보글리플로진(DWP16001), 메트포르민(DWC202101)을 병용투여시의 약동학적 특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을 진행한다. 대웅제약은 메트포르민은 당뇨병 치료에 표준적으
지난 2021년 국내 바이오제약기업의 기술수출, 즉 라이선스아웃(L/O) 딜(deal)은 26개 기업, 총 12조5589억원(44건) 규모로 집계됐다. 하지만 계약 체결과 함께 지급받는 계약금은 2510억원(21건)으로 총 계약규모의 2% 수준에 불과했다. 대외적으로 알려진 총 계약규모에 비해 실제로 현금을 지급받은 금액은 초라한 성과에 그쳤다. 물론 계약금을 공개하지 않은 계약이 다수 있었다. 하지만 계약금을 비공개하는 경우 계약금이 미미한 경우가 일반적이라는 점, 그리고 계약금과 단기마일스톤을 합산해 공개한 경우 합산금액을 계약
상가모(Sangamo therapeutics)는 지난 6일(현지시간) 겸상적혈구병(SCD)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SAR445136’에 대한 사노피(Sanofi)와의 공동개발 계약이 종료된다고 밝혔다. 이에 상가모는 사노피로부터 SAR445136의 글로벌 연구,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반환받게 됐다. 상가모가 제출한 관련 공시(Form 8-K)에 따르면, 사노피는 개인맞춤형의 자가유래(autologous) 세포치료제보다는 범용성을 지닌 동종유래(allogeneic) 유전체의학에 집중한다는 전략에 따라 상가모와의 계약을 종료한다. 두
투자전문회사 SK가 글로벌 선도 세포∙유전자 치료제(Cell∙Gene Therapy, CGT) 원료의약품 위탁개발생산 기업(CDMO)을 향한 도약에 속도를 낸다. SK는 CDMO 통합법인 SK팜테코를 통해 미국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인 CBM(The Center for Breakthrough Medicines)에 3억5000만달러(약 4200억원)를 투자해 2대 주주로 올라섰다고 9일 밝혔다. SK는 지난해 3월 프랑스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이포스케시(Yposkesi)를 인수한지 약 9개월만에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를
일라이릴리(Eli Lilly)가 중추/말초신경계 약물전달을 위해 캐나다 엔토스 파마슈티컬즈(Entos Pharmaceuticals)의 핵산전달기술을 4억5000만달러에 사들였다. 엔토스의 핵산전달기술 '퓨소제닉스(Fusogenix)'는 FAST(Fusion-Associated Small Transmembrane)와 중성지질로 구성(fomulated)된 PLV(proteo-lipid vehicle)로 치료효과를 가진 핵산 페이로드를 세포로 전달한다. 특히 FAST 단백질은 표적 세포의 원형질막과 신속하게 섞이는 촉매로 작용하며 탑재
GSK(GlaxoSmithKline)가 미국 머크(MSD)를 단숨에 추월했던 대상포진 백신(shingles vaccine) 시장에서, 화이자와 바이오엔텍(BioNTech)이 ‘mRNA 기술’로 맞불을 놓으며 승부를 걸고 나섰다. 대상포진은 미국을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3분의1에 영향을 미치는 흔한 감염증이며, GSK는 2017년 대상포진 백신을 출시하면서 시장의 판도를 바꿨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텍은 mRNA 기술이 기존 대상포진 백신의 내약성과 효능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보령제약은 7일 계열사 임원승진 인사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보령홀딩스 ▲남흥수(자산관리팀) ◆보령제약 ▲김영석(Onco부문장) ◆보령바이오파마 ▲이영(경영본부장(CFO))
지난 202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산하 의약품 평가연구센터(CDER)가 승인한 신약 51건, 세포치료제, 백신, 혈액제제 등 바이오의약품 평가연구센터(CBER)가 승인한 신약 10건으로 총 61건의 신약을 승인했다(▲FDA 2021년 CDER 신약허가 전체 리스트 링크, 2021년 12월 28일 기준). 회사별로 신약승인 수를 비교하면 지난 한 해 사노피(Sanofi)와 화이자(Pfizer)가 3건으로 가장 많은 신약승인을 받았다. 특히 화이자의 경우 코로나19 mRNA 백신 ‘코미나티(Comirnaty)’를 포함해 총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SMC 임상의 6人 'ADC 현장'서 본 "4가지 인사이트"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라포, ‘TARPγ8’ 뇌전증 첫 PoC “기대이상, 주가 폭등”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비온, ‘PSMA RPT’+키트루다 “국내 1상 IND 승인”
지아이이노, 'CD80-IL2' 노화 마커 2a상 "국내 IND 신청"
HLB라이프케어, 연세대와 ‘AI 디지털헬스케어’ MOU
큐로셀,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대통령표창 수상
유한양행,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