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초파리에서 생체리듬에 관여하는 핵심 유전자인 'period'를 발견한 제프리 C. 홀(Jeffrey C. Hall, 72), 마이클 로스바쉬(Michael Rosbash, 73), 마이클 영(Michael W. Young, 68)이 선정됐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노벨위원회는 2일 미국에서 활동하는 3명의 과학자를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이들은 생명체에서 '내재된 시계(inner clock)'는 행동, 생리학이 최적화하기 위한 방식을 설명했다"며 "그들은 식
동국제약은 최근 충북 제천에서 열린 ‘제천국제한방바이오산업엑스포’에서 마다가스카르와 ‘천연물 의약품 및 건기식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키로 합의했다고 29일 밝혔다. 마다가스카르는 아프리카 남동쪽 인도양에 위치한 청정지역으로 ‘신비의 섬나라’와 ‘보물섬’이라 불릴 정도로 천연물 자원이 풍부한 나라로 알려졌다. 동국제약의 간판 상처치료제 '마데카솔'의 주원료가 되는 ‘센텔라아시아티카’라는 식물은 마다가스카르가 주산지이다. 마데카솔이라는 브랜드명도 바로 ‘마다가스카르’의 지명으로부터 유래됐다. 이번 공동연구 합의는 마다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013년부터 올해 9월까지 주사기와 수액세트에서 이물이 혼입됐다고 접수된 건수가 246건으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주사기의 경우 이물보고는 136건이며 2013년 14건, 2014년 32건, 2015년 37건, 2016년 39건, 2017년 9월 14건이었다. 이물로는 머리카락 25건, 파편 21건, 벌레 3건, 기타 87건이다. 수액세트는 110건 이물보고가 접수됐다. 2013년 19건, 2014년 23건, 2015년 27건, 2016년 27건, 2017년 9월 14건 보고됐다. 이물로는 머리카
정말 재수없는 전화 한 통 "삐리리리링~ 삐리리리링~" "여보세요? 형??" "응, 나야 현일아, 잘 지냈고? 근데 니는 얼마 벌었니?" 이 형은 늘 이렇다. 단도직입적이고 약간 예의 없는 돌직구의 전형적인 인간형. 거래 관계에서 내가 '을'만 아니었어도 이 형이랑 이렇게 엮이진 않을 거다. 연구결과에 대한 피드백 메일을 보내는 중이라 어깨에 핸드폰을 끼우고 눈은 컴퓨터 모니터에 고정한 채 건성으로 질문을 던진다. "뭘 벌어요?" "아니 니가 저번에 추천한 책 있잖아. 내 니 서평 보고 산 책들이 다 맘에 들었는데, 마침 니가 바
녹십자는 내달 5일 창립 50주년을 앞두고 녹십자엠에스, 녹십자랩셀 등 가족사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본사 목암빌딩 강당에서 창립기념식을 가졌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창립기념식은 충북 오창공장과 전남 화순공장 등 전국의 공장과 사업장, 중국과 캐나다 현지 법인인 GC China, GCBT 등 해외 법인을 화상 회의 시스템으로 연결해 진행됐다. 창립기념식에서는 녹십자의 지난 반세기 동안의 성공은 물론 고난과 역경의 역사를 담은 ‘사사’를 신입사원들에게 전달하는 봉정식도 진행됐다. 허일섭 녹십자 회장은 “
면역항암제 연구개발 벤처기업인 유틸렉스는 최근 중국의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Huahai)와 850만 달러 규모(마일스톤 포함)의 기술이전 계약 및 3000만달러의 지분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유틸렉스가 기술이전하는 물질 EU101은 면역항암 항체치료제로 현재 시판된 옵디보나 키투르다가 T세포를 억제하는 수용체를 차단해 항암작용을 일으킨다면, EU101은 암 항원 특이적 T세포 활성화 수용체에 작용하는 항체를 이용해 항암효과를 일으킨다. EU101은 환자의 몸 속에서 암 항원 특이적 T
최초의 CAR-T 치료제가 시판된 가운데 차세대 기술을 개발하려는 연구개발이 탄력을 받고 있다. 효능은 높이면서 안전성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플랫폼기술을 개발하려는 움직임이다. 차세대 CAR-T 치료제를 연구하는 오토러스(Autolus)는 시리즈C에서 8000만 달러를 확보했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오토러스는 총 1억7300만 달러(1980억원) 규모의 자금을 확보면서 세번째 AUTO4 프로그램의 임상을 시작하기 위한 추진력을 얻게 됐다. 회사는 6개월 내에 임상에 돌입한다는 입장이다. 오토러스는 최근 두개의 프로젝트가 임상
스위스 기반의 인공지능 기반 유전체분석 전문회사인 소피아제네틱스가 30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D 투자유치에 성공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시리즈D 펀딩에는 런던의 360O 캐피탈 파트너스, Balderton 캐피탈과 기존 투자사인 Invoke 캐피탈, 벨기에 기반 Alychlo 등이 참여했다. 2011년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이노베이션센터에서 스핀오프한 소피아제네틱스(Sophia Genetics)는 AI, 머신러닝을 적용한 유전체분석 전문 회사다. 이번 투자로 소피아제네틱스(소피아)는 인공지능(AI) 기반 유전체분석 서비스
코스닥 시총 1위 바이오시밀러 기업 셀트리온의 코스피 이전이 확정됐다. 셀트리온은 29일 인천광역시 송도컨벤시아 2층 회의실에서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서 '코스닥 시장 조건부 상장 폐지와 유가증권시장 이전 상장 결의의 건'을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통과시켰다. 이날 주총에는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1억 2263만 5222주의 51.4%인 6272만 5200주가 참여했으며 출석 주주 수는 1만 3324명에 이르렀다. 이전 상장 안건 통과를 위한 '출석주주 의결권의 과반수', '발행주식 총수의 1/4 이상' 찬성모두를 충족했다. 코스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는 오는 11월 1~2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제3회 KoNECT 국제 컨퍼런스(3rd KoNECT International Conference, KIC)’를 개최한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KIC는 국내외 관·산·학·연 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글로벌 임상시험 및 개발 분야와 관련한 최신 이슈와 동향에 대해 함께 발표하고 논의를 나누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국제 컨퍼런스이다. 이번 KIC는 KoNECT와 미국약물정보학회(Drug Information Association, DIA)가 공동으로 주최하며,
한국제약기업들이 선진 의약품 시장에 복제약과 같은 후발의약품으로 진출하는 사례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원 개발국에 후발의약품을 내놓는 역수출이다. 기존에 없는 신약보다는 개발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쉬운데다 이미 검증된 제품으로 기존에 구축된 시장에 진출한다는 점에서 매력있는 분야다.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할만한 성과도 속속 등장하는 추세다. 다만 현지 허가를 받기 위해 수많은 난관을 넘어서고 유사 약물과의 경쟁을 뚫어야 한다는 무거운 숙제가 남아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CJ헬스케어는 일본 바이오의약품 기업 YL바이오로직스
NRDO(No Research Development Only, 개발중심 바이오벤처) 신약개발 전문기업인 브릿지바이오가 138억원의 시리즈B 펀딩을 마무리했다. 지난해 7월 145억원의 대규모 시리즈A 펀딩 이후 1년만으로 총 283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브릿지바이오는 시리즈A 투자기관 중에서 SV인베스트먼트, KTB네트워크, 신규 창투사로 메가인베스트먼트, IMM인베스트먼트, UTC인베스트먼트, 그리고 전략적 투자로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 및 KB증권으로부터 총 138억원의 유상증자를 완료했다고 28일 밝혔다. 또한 기존
유전자·분자진단은 '맞춤(정밀)의료의 꽃'으로 평가받으며 많은 기업들이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정작 의료현장에서는 외면받고 있다. 기술의 성숙도 문제뿐 아니라 의료인의 수용성, 인·허가부터 건강보험 적용까지의 각종 규제 등이 복잡하게 엮여 있는 탓이다. 이 문제를 풀지 못하면 아무리 혁신적인 기술이라도 시장에서 빛을 보지 못하고 사장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28일 국회에서 '분자진단사업 핵심이슈 및 전략'을 주제로 열린 바이오경제포럼 역시 유전자·분자진단을 바라보는 각계의 시각차를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특히 신기술 발
알테오젠은 디엠바이오, 동아쏘시오홀딩스와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 생산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계약 체결에 따라 알테오젠은 개발 중인 황반변성치료제인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인 ‘ALT-L9’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임상시료 생산 및 상업화 후 제품 생산에 있어 디엠바이오와 협력할 예정이다. 알테오젠은 일본 키세이제약과 공동으로 황반변성치료제 아일리아(애플리버셉트) 바이오시밀러(ALT-L9)를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에서 비임상 시험 중이다. 알테오젠은 황반변성치료제 아일리아 오리지널의 제형 특허를
한올바이오파마는 28일 미국 식품의약품국(FDA)으로부터 안구건조증치료제 'HL036'의 임상2상시험 계획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지난달 말 임상승인 신청을 한 이후 한달만에 승인받았다. 안구건조증치료제 HL036은 한올이 대웅제약과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베터 제품으로 점안액과 같이 국소 적용에 적합하도록 분자 개량된 항TNF 단백질이다. 한올은 수용성 TNF 수용체를 자체 분자개량 기반기술을 이용해 분자 개량해 조직투과성을 높이고 TNF를 억제하는 작용을 크게 강화시킨 개량 단백질인 HL036을 개발, 안구건조증 치료
세레토닌 수용체(5-HT6) 길항제 계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임상시험이 또 실패했다. 같은 계열 약물을 개발하던 화이자, 룬드백의 뒤를 잇는 임상실패 소식으로 향후 5-HT6 계열 치료제 개발동력을 잃을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다. 신경질환 전문회사인 엑소반트 사이언스(Axovant Sciences)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인 ‘인테피르딘(intepirdine)’의 임상3상 시험에서 일차 유효성 평가목표를 충족하지 못했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인테피르딘은 뇌세포 중 세레토닌 수용체인 5-HT6를 차단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BMS, 'PRMT5 저해제' 새 단서? "EGFR 폐암 ORR 57%"
보로노이, 'RIPK1 저해제' 美앤비아서 옵션행사 "양도"
에임드바이오, 코스닥 상장예심 통과.."연내상장"
알지노믹스,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통과"
화이자-아비나스, '무색해진' 최초 PROTAC "매각 결론"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머크, ‘키트루다 SC' 유럽 허가 “CHMP 긍정의견”
유한양행, 오송 신공장 기공..'글로벌 수준' 제조라인 구축
종근당, '자율형 공장 구축사업' 발대식